항목내용비고
CONOPS 6하원칙 분석
  • 누가
    • 작성자가 (운영 개념을 만든 사람이)
    • 시스템 엔지니어가
  • 언제
    • ES DDR 시점에
  • 어디서
    • ??
  • 무엇을
    • CONOPS 문서를 작성했음
  • 어떻게
    • AD 문서들의 내용을 기반으로 분석해서
    • 미션 분석 / 시스템 설계 / 미션 계획 시점에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
    • 메인 줄기가 흔들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 각 시스템이 일관성 있는 처리 흐름을 갖게 하기 위해서

CONOPS 문서 정리/질문
  • ESGS 미션
    • 아래를 만족하는 광학 지구 관측 위성체 및 지상체를 만드는 것
      • 550km 에서 PAN 0.5m, MS 2.0m GSD 를 갖는 영상을 제공
  • 구성 요소 설명 단위가 왜 다르지? 우주와 지상의 어쩔 수 없는 차이?
    • 우주는 Element → Subsystem → Module
    • 지상은 System → Subsystem
  • 지상의 Subsystem 으로 인해 영향 받는 우주쪽 요소를 매핑하면 추후에 좋을 듯 함
  • GSS 가 MCS/IRPS 에 준하는 덩어리임
  • 운영 단계 정의 및 그 때 수행되어야 하는 전반적인 작업 내용 기술
  • Mission Termination Phase 에서 딱히 하는 일이 없는데 굳이 왜 기술해야 하는 것일까?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명시적으로 기술?
  • 본 문서의 내용을 통해 각 phase / operation 에서 우주/지상의 어떤 system/subsystem 이 유기적으로 동작해야 하는지 약간 알 수 있음
  • Image Acquisition Scenario 의 경우, mission 을 분석해야 알 수 있는 것 아닌가? CONOPS 에서 선언하면 그를 만족하도록 우주에서 분석/설계/개발하는 것?
  • AD 문서에 Requirement Specification 문서가 없는데, Tech 문서로 대체?

코드 레벨 확인
  • 박정훈 선임 주도로 MCS 을 컴파일 및 실행하기 위한 환경 설정을 step by step 수행
    • Windows OS 만 있다는 전제 하에 필요한 모든 것을 작성
    • ORM 이 code first 로 구동됨
  • 누구든지 Bitbucket 으로부터 코드를 받아서 SCS Server/Client 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뉴얼을 만들었음
    • → 이걸 각 software 별로 어떻게 해야 편하게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