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 최종 결과
|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110. 기록 내용
- 긴장했나? 들어올 때부터 경직, 발표도 경직
- 발표 자료가 아쉬움. 자료 및 발표가 면접용으로 느껴지지 않음
- 불친절하고 S/W 구현과 관련된 세부 내용이 없음 (언어/IDE/네트워크/DB/Architecture 등등)
- 김지원 님을 봤을 때,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 대비 SI 가 더 고급
진 언어/표현/기술을 사용하고 있음
- 답변이 약간 장황함. 핵심을 전달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함
- C# 전문 지식 쌓기 및 인공위성과 관련된 개발이 매력적이어서 SI 에 지원
- 핵심을 설명할 때, 두루뭉실하게 답변함
- 질문에서 원하는 답변을 제대로 하지 못함
- 본인만 알고 있는 주변 내용을 설명함. 알아듣지 못하게 설명함
- ex> 상속 사용 경험을 말해 달라고 했는데, play method 에 대한 내용을 설명함. 왜? 를 설명해야 하는데...
- 답변 시, 선택하는 용어가 잘못되거나 불분명한 경우가 있음
- ex> C++ 보다 왜 C# 이라는 질문에 객체지향이라는 단어를 사용함. (둘 다 객체지향인데?)
111. 내 서류 평가 의견
경력(3.7) - 학사 - 3.3/4.5 - 군필 - 충남 아산 |
112. 질의 응답
| 질문 | 답변 |
|---|---|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 |
| 희망 연봉이 4500인데 내규에 따라 조정이 될 경우, 조정이 가능한가요? | |
| 고급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현재 본인이 하고 있는 노력은? | 지난 1차 면접과 관련된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갈음 |
| 반복된 SW작업이란? | 코드 복사 붙여넣기 |
| 의사소통 중시함. 의사소통을 잘 하기 위한 본인만의 노하우는? 막힐 때, 잘 안될 때 어떻게 대처 하나? | 웃으면서 다가서서 친근한 이미지, 친밀도를 통해 편하게 의사소통 이해가지 않는 부분을 질문하여 논의. 틀린 것은 바로 인정 |
| 응용력이 좋았다라고 말할 수 있는 직접적인 사례는? | 학창시절 수학에서 강점을 보였음 |
지난 채용에서 1차 면접 후, 결과를 받았을 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했나? 어떤 부분이었나? 오늘 면접을 위해 그 부분을 어떻게 채웠나? | 객체지향 이해도 부족 객체지향 공부했음 예제로 배우는 C# 사이트에서 공부했음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언급 캡슐화를 정답 비슷하게 답변함 (상속/다형성의 개념을 약간 섞어서 설명) |
수행 Project 에서 S/W 적인 기여부분이 잘 안보임 자료구조, 알고리즘, 영상처리, 네트워크, DB 등 사용한 것을 모두 이야기 해 주세요. | TCP/IP, 광통신, Bit/Word 영역 235/485 통신 MS-SQL → 단순 오타 정도만 수정. MS SQL Management Studio 사용.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이 아님 |
| 사전과제에서 모든 메소드의 접근제한자가 public 임. 왜 public 인가? | 개인 프로젝트여서 public 으로 했음 |
| 사전과제에서 입력 값의 한계값을 8877 로 설정했는데, 8877 을 어떻게 얻었나? | 테스트를 통해 여러 값을 넣어서 확인했음 BigInteger 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죽는 포인트 확인했음 자료형의 정보를 찾아보기는 했음 |
| 사전과제에서 10000! 을 계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가능한 자료형을 찾아보겠음 |
| 사전과제에서 허용 입력값에 control 을 추가했는데 어떤 목적인가? | 복사/붙여넣기를 위해서 |
Thread 사용 경험은? Thread 를 왜 사용? C# Windows Form Application 을 개발환경에서 Thread 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 설비 동작을 위해서 사용.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멀티 쓰레드 사용. 멀티 쓰레드는 동시작업을 위해 사용 주의해야할 점은 전역 변수 관리 사용 경험있음 |
| 추상화 or 인터페이스를 기존 설비 제어 시에 사용했을 것 같은데 사용하지 않았나? | 레거시 코드 사용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았었음. 기능적인 측면만 수정했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