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 최종 결과
|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68. 면접관
- 한재중, 김인영, 전유길, 박근석, 허웅
69. 기록 내용
- 사전 시험 2시간 반 정도 걸림
- API 를 검색해서 사용함
- 주석보다는 readme 를 이용해서 설명함
- 변수/함수의 이름을 명확하게 사용하려 함
- 도전에 대해 강조함
- 본인 자료를 nas 의 본인 폴더에 올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공유
- 다른 사람들의 반응이 좋음
- 성공/실패 사례를 공유하기 때문임
- 평소 하루에 1시간 정도 사이버대학교 공부, 주말 이용해서 리포트 만들기
- 영어를 열심히 공부하고 있음
- BE 개발자는 아닌 것으로 보임. 관련 준비가 아직은 덜 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함.
- 팀 문화에 대해서 궁금증이 있음. GT7 의 업무 분위기, 업무 수행 프로세스
- 전유길 답변 → 코드 리뷰 문화도 있고, Atlassian 을 이용해서 정보공유/작업관리/소스관리하고 있음. 테스트 툴을 자동화해서 사용 중
70. 내 서류 평가 의견
N/A (사내추천) |
71. 질의 응답
| 질문 | 답변 |
|---|---|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 9월 5일 |
| 본인이 생각하는 희망 연봉이 3500. 회사 내규에 따라 변동이 될 수도 있음. 괜찮은가? | 괜찮음. 내규에 따르겠음 (협상 잘해서 많이 받으라고 김인영 PM 이 조언해 줌) |
| 병특인데 지금 이직이 가능한가? | 가능함. 전 직장에 알아봤음. |
| map layer 를 3개로 구분했음. 그 이유는? | 지도 표출 2개 벡터 1개 벡터를 덧씌우기 |
| 비교를 할 때, === 을 사용했음. 보통 개발 언어에서 같은지 비교하는 것은 == 을 사용함. === 은 어떤 의미이고 왜 사용했나? | type 까지 확인함 |
| java script 에서 변수 할당 시, 기본 자료형은 무엇인가? | naun 으로 알고 있음 "" 붙이면 string |
| 사전 문제에서 terrain / osm 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했음. kakao map 을 추가하려면 현재 코드에서 어떤 부분을 수정하면 될까? | html 부분은 수정 안해도 됨 js 부분에서 수정하고 api key 숨기는 코드 함수 등을 수정해야 함 |
| 사전 문제에서 성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가 무엇이며 어떻게 해당 문제를 회피할 수 있을까? | marker 수 등을 제한 2만개 올리려면? → 가벼운 API 를 사용. CSS 등을 이용해서 좌표 지정해서 polygon 사용 |
| JS 에서 GC 가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설명해 달라. new/old space, code space, minor GC, major GC 언급해야 함 | 동작 방식 모름 |
| 변수의 값 중, null 과 undefined 의 차이는 무엇인가? | null 은 아직 할당 받지 않은 것 undefined 는 값이 없는 것 반대로 설명함 |
| 변수 선언을 할 때, let 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let 이 어떻게 동작하는가? 왜 사용해야 하는가? | 전역으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 함수 안에서 주로 사용함 |
| 변수/함수 이름을 명확하게 한다고 했는데, 코드를 보니 function Kt (t, e, r) 이라고 되어 있음.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참고한 코드라서 그냥 둔 것? | API 여서 그냥 두었음 |
prompt 관련 문제 const scoreA = prompt("A"); //10 const scoreB = prompt("B"); //20 const result = (scoreA + scoreB) / 2; console.log(result) → ? | 15 라고 답변함 result 는 문자열을 2로 나눠서 undefined 나올 것이라고 함 → 뭐지?? prompt 를 별로 안 썼다고 함 |
코드 작성 시, 함수 호출을 함수 선언보다 윗쪽에 선언하면 어떻게 되나? (정상 동작함) 그렇게 동작하는 것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호이스팅) 함수를 선언하지 않고 함수 표현식(변수에 함수 할당)으로 만들어도 함수를 먼저 사용해도 되나? | 정확하게 답변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