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97. 기록 내용

  • SW 외부 개발 업체의 SW 를 QA 하고 인수부서로 전달
  • 웹/모바일 SW 테스트 수행 경험
  • 암호화 소프트웨어 QA 및 인증
  • 디버그는 힘들었지만 QA 는 흥미가 있음
  • QA 를 계획한 경험은 없어보임. QA 를 수행한 경험이 주인 것 같음 →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QA 항목을 식별해서 수행한 경험이 있음!!
  • 발표 및 질의 응답은 명확함
  • QA 계획/결과의 보고 체계를 수정 (메일링 → 특정 형식으로 저장)
  • QA 수행 일정을 협의하여 정의하는 체계 수립
    • QA 일정을 산정하는 수식을 수립
  • 요구사항 리뷰 회의에 모두 참석하고 있음
  • 아이컨택이 좋은 편임
  • 질문 2가지
    • 답변 중 미숙하다고 생각되는 부분, 원하는 것 대비 아쉬웠던 답변
    • SI 가 가지고 있는 회사의 비전

98. 내 서류 평가 의견

경력(7.9) - 석사 - 2.71/4.5 - 3.5/4.5 - 군필
희망 5500 - 직전 5700 - 서울 거주
위너다임(0.10)-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1)-한국전력공사(2)-단비교육(0.11)-펜타시큐리티(2.11)
이직-계약종료-이직-대전으로이직
희망언어 없음
QA 관련 경력 6년 정도
어떤 QA 경험이 있는지 확인 필요. 상황에 따라 김선주 님을 리딩할 수도 있을 듯함

99. 질의 응답

질문답변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4월 1일. 여유가 있다면 5월 1일
희망 연봉이 5500인데 내규에 따라 조정이 될 경우, 조정이 가능한가요?내규 따르겠음
QA 후에 이직의 사유가 무엇인가요?

계약직 계약 완료

단비의 텃세 및 문화에 이겨내지 못했음. 업무가 고객 상담까지 했음. 직무와 무관.

와이프 16주 임신. 현실적인 연봉/육아 환경을 보고 대전을 생각했음

이직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개발을 하다보니 디버그가 중요하다 느꼈음

디버그에 대해서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는 자신을 발견했음

방황하다가 QA 를 만났고 그래서 지금까지 하고 있음

왜 쎄트렉아이인가? 쎄트렉아이에 입사한다면 어떤 족적을 남기고 싶은가?

그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개인의 준비 and 회사의 지원)

회사 경쟁력, 비전, 생활 안정을 위한 대우, 업무 시간, 자아실현

업무 측면에서 QA 하면 SI 의 유현상이라는 소리를 듣고 싶음

오류 없는 제품은 없을 것. 이슈 발견, 담당자, 대응을 하는 방식을 잘 정리하면 될 것이라 생각함

경력이 QA 경험 6년만 인정되도 될까요? 안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문제 없음
리더의 입장에서 QA 를 수행한 과제는 몇개인가요?
QA 리더 입장에서 주니어 or 시니어를 리딩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사람 성향에 따라 다른 것. 업무를 수행하는 방향이 본인의 방향과 살짝 다른 경우.
웹과 모바일 앱에 대한 QA 를 수행할 때, 크게 신경써야 하는 부분은? 왜 신경써야 하는가?
스스로 테스트 항목/스크립트를 작성한 경험은? 입력은 무엇이었나? 합격 기준은 어떻게 정했나?

기능명세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기능의 유형을 결정

입력 값의 boundary 결정

요구사항 기반

보안성/사용성/안정성을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 Test 의 예를 들어달라.
  • 보안: KISA 에서 요구하는 정책을 스크립트로 만들어서 사용. 언어는 다른 사람이 개발하고 본인은 사용
  • 사용: 암호키 개수가 많을 때, 정상적으로 되는가? 성능 검사, 24/7 동작?
  • 안정: 데이터가 문제 없이 처리되는가?
자격증 및 교육을 이수는 자의? 타의? 왜 했는가?

자격증 자의, 교육 타의

내 실력의 기반 자료 만들기

세미나를 주도적으로 진행 (QA 시장의 기술적인 부분, 쿠버네티스에 관하여)

김형식 교수님 랩. reference check 한다면?

장점: 잘 모르겠음

단점: QA 한다고 했을 때, 아쉬운 느낌을 가지실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