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내용
ST Pathfinder
  • 공식 보도자료 배포되었음 → 해외 등지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음
  • 매주 화요일 오후 2시에 회의가 수행될 예정
정병교 이슈
  • ESGS 과제를 위해서 박성도 책임이 투입되었음
  • 현재 시험/데이터생성/설치 등의 업무만 수행하고 있음
  • 예를 들면 2시간이면 할 일을 3일이 지나도 끝내지 못했음 (찬구/대근과 의사소통 되지 않았음)
    • JDTime, CalcTime 에 대한 인터페이스 오류
  • 박정훈 DIS 투입은 올 해 3월 쯤이었음
  • 의사소통 시, 전달력의 부재가 있음
  • 구현 능력이 매우 부족함
  • 대응 방법
    •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with 팀장
    • 데리고 일을 해도 될 수 있는 사람/일 속에 숨기기
      • ex> 박성도 밑에 두기...
  • 박성도를 통해 정병교 전임의 현재 상태에 대해서 확인이 필요함
  • 정진호 팀장과도 논의가 필요함
    • 강기동처럼 일지 관리가 현 시점에서 필요할 것 같음
  • 이영란 PM 의견으로는...
    • 현재는 과제 일정에 지장을 받지 않는 중요하지 않은 간단한 일만 주고 있는 상황임
  • 이영란 PM 요청 사항 (Remind! 한재중이 정진호 팀장에게 전달하지 못한 듯 함)
    • 프로그램 구조를 잡지 못잡는, 업무 흐름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개선이 필요함
    • 개념이 없다라고 볼 수도 있음
    • 공부가 필요함 → 정병교 전임이 개발한 프로그램의 class diagram 등을 그려보고 조언에 따라 수정한 부분에 대해서 인지하기
약어정리
조직개편 방향?
  • 부문장/그룹장이 생각하는 방향이 있을까요?
  • 1월 1일 or 3월 1일
  • 조직 개편의 방향성은 딱히 없음
  • 사업 정리 후 고민이 필요함
  • GT1/5 이슈가 있음
  • 부문장이 하고 싶은 것
    • 가장 어렵고 위험하지만 GT3 의 컬러 유지임 (팀의 특색을 가져가는 것! 실제로 하는 것! 색만 있고 수행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아쉽게 안 느껴지게 하기!)
  • 사업/로드맵 중심으로 개편할 마음 없음
  • GT3 은 유지하기 원함
  • GT3 에 몰을 수 있는 사람 추가 조사 필요
  • GT3 를 신경철 팀장이 맡는 방법도 있음
  • 공채 보고 내년 하반기에 조직개편 하는 방법도 하나의 안임
    • ESGS OSAT / 발사 등의 이슈로 다수 인원이 빠짐
  • 유재철과 3주 전에 이야기했었음 → 팀장직을 내려놓은 쪽으로 의견 전달 받음
    • 성과피드백하고 난 다음에 부문장과 3명 확인
  • GT1 은? 이운섭 팀장의 의견 존중
    • 부문장)
      • GK3 SOC 제안서 작성 시점(올 해 중하반기)에 PM 으로 옮기는 것이 맞지 않을까 함
      • 가능하면 현 상태 유지
      • 성도의 경우, 각 과제의 중반에 투입된 경우가 있었음. 팀장도 그렇게 하는 것보다는 연초에 하고 교육도 받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하는 면이 있음
  • GT3 는 현 상태 유지
  • GT5 는 분리
2021년 22시 이후 퇴근
  • 연간 36시간 넘는 사람은 지상에 약 10여명 있음
    • 김나래 대리가 눈에 띔
  • 해당 인원에 대해서 원인을 찾으라는 대표이사의 명이 있어서 부문장이 면담 예정
    • 이운섭 (O), 한우리 (O), 석정철 (O), 김나래 (O), 정영호 (O), 김의중 (X), 박근석 (O)
  • 경영진 논의 결과 추진 예정 방향
    • 7시에 출근 태그 찍을 수 있도록 하자 (300 명 중 10명 정도...)
      • 해당 인원의 경우, core 근무 시간을 지킴으로 인해(질문) 월말에 오후 회의를 못 잡을 수 있음 
    • 10시 이후 퇴근은 사전 승인을 통해 수행할 수 있도록 함
      • 며칠 전, 1/2주 전
      • 1.5 배 인정
      • 퇴근했다가 다시 와서 10시 이후 퇴근하는 경우에는? → 퇴근 시점부터 복귀시점까지는 외출 필수 작성? → No, PM/팀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것이므로 10시 이후에 대해서는 관리자를 믿고 간다.
    • 주말 근무
      • 대체 휴일은 휴일을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에 1:1 의 효과가 있음
      • 주말 근무에 대해서는 노사 협의 상 1:1 로 결정되었음
      • 현재 1:1.5 로 해줘야 하지 않냐는 구성원의 목소리가 있음
      •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이 되지 않았음
      • 대체 휴일 신청서 작성할 때는 PM 과 구두 협의 하기!!
트랙 전환
  • 트랙 전환의 기준은?
    • 김정준이 마지막이었음 (SPC → R&D)
    • 사규를 기반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이 맞기는 함
    • 부문장 생각:
      • R&D 는 최적화 → 잘하는 것이 아니라 최선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선택에 따라 얻는 것과 잃는 것을 식별하고 목적에 따라 제대로 된 선택을 할 수 있는 것)
      • SPC 는 특정 분야에서 효율/효과적으로 잘해야 하는 것
      • 현재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 capa 가 있느냐 없느냐 가 되어야 함
    • 실장 생각:
      • R&D: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를 전체 경험하고 Subsystem 정도는 개발할 수 있는 능력 갖춘 자
      • SPC: 특정 분야에 대한 단위 업무를 설계/분석/구현 가능
    • 그룹장 생각:
      • 가장 큰 차이점은 최적화. 상황에 따른 판단. 이것을 스스로 고민해야 하는 것
    • 실장 생각 + 부문장/그룹장의 철학적인 부분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혜택은?
    • 원래 규정 상, 장영훈은 이번에 JR1 로 퀀텀 점프를 하는 것임
    • 영훈이에게 고마움을 표현한다는 차원. 마고의 롤모델로 삼았으면 하는 차원에서
    • JR1 으로 맞춰지는 것 + 알파 + 이번 인상률 하면 약 30% 정도 되지 않을까 싶음
    • 그리고 트랙 전환
    • 규정 상, 트랙 전환에는 연봉이 반영되지 않음
  • 트랙 전환의 이유?
    • 부문장) 이전 선택이다. R&D ↔ SPC 를 선택에 따라 이동할 수 있어야 함
      • 본인의 선택에 따라 달라지는 것임
      • 승진의 개념이 아님
      • 부서장이 당근의 개념으로 사용해서는 안됨 
연봉 인상
  • 10~12%
    • 성과인샹률 + 물가인상률 = 5.1%
    • 특별인상률 = 4.5%
    • 정액 = 100만원
  • 언제 공지? 3월 예정
  • 대기업 기준 1.5~2년이 늦은 정도라고 판단함
채용
  • 합격자 8명, 보류 2명
    • 백엔드 6명 합격, QA 2명 합격
    • 백엔드 보류 2명
  • 한재중 면접 불참 가능성 높음
  • 심사위원을 최소 3명, 최대 5명으로 맞출 계획
    • 2시 30분 회의 예정
면접관 특강
  • 허웅 선임도 부문장이 언급했음 → 정진호, 박근석, 허웅 참석
코로나 검사
  • 소비 시간
    • 팀 계정으로 PMS 입력
      • 팀 행정업무 WBS 에 넣으라고 팀장에게 권고했음 → 해당 권고 유지
  • 진단 키트
    • 의심 증상 있거나, 접촉 인원이 있으면 동네 병원 가서 신속하게 검사 받는 것을 권장
      • 확진자와 같은 사무 공간 사용 인원
    • 비용은 팀 계정으로 지출품의
  • 회사 보유 수량이 넉넉하지 않아서 출장자의 경우, 선택/필수적으로 사내 진단 키트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할 수 없는 상황임
    • 출장자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확진자 밀접 접촉이 되지 않았음에도 자가 진단했을 때, 사내 비용 청구가 불가함? → 사내 지침을 따랐을 때에 대해서만 청구하는 것이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