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11108 GPM/GTL GS Operation, GS Level-4 Requirements RID 회의
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11월 08, 2021
GS Operation 논의 사항
| 항목 | 내용 |
|---|
| Stakeholder 관련 정의 | - Owner 는 MPPS Owner 버전, MPPS Terminal 버전을 모두 사용할 것으로 생각
- MPPS Owner/Terminal 버전을 독립적으로 둘 지, Owner 가 Terminal 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갈 지에 대해서는 설계 시점에서 고민이 필요한 부분임
- Stakeholder 는 물리적인 개념이 아니라 논리적인 개념임
|
|---|
| PMS → MPPS Catalog 전송 | - 왜 전송이 필요한가? → 주문에 대해 영상 품질이 좋은지 판단하는 주체가 MPPS 이기 때문임
- 영상 품질 정보는 Catalog 에 포함될 것으로 생각
- 주문에 대한 영상에 대해 재촬영 여부는 MPPS Operator 가 아닌 고객이 결정해야 함
영상 재촬영 여부 결정 주체는 최종 결정되지 않았음
|
|---|
| 주문부터 제품까지의 주관자 | |
|---|
| Immediate Tasking | - Immediate Tasking 이라는 것을 별도로 두지 않음
- Direct Tasking 의 정의는 촬영/수신 계획을 직접 올린다는 것임
- Immediate 는 누가 올리든 Mission Planning 을 즉시 올린다는 것임
- 개념상으로 생각한다면 Immediate Tasking 은 Direct Tasking 에 포함됨
|
|---|
| Orbit Slot 예약 개념 | - 기차표 예약과 동일
- 촬영/수신을 다 계획한 다음에 Available Orbit Slot 을 알아보고 예약을 누르는 것임
|
|---|
| Available Orbit Slot 예약 우선순위는? | - 우선 순위 없음
- 먼저 예약하는 것이 우선
- 예약된 Orbit Slot 에 대해서는 변경/취소에 대해 고민하지 않음
|
|---|
| Resource 관리 | - 영상 촬영을 통해 점유된 위성의 Memory 는 수신 후, auto delete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함
Orbit Slot 을 예약하는 시점에 위성의 resource 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owner 에게 전달해줘야 함 → 요거 설계 시의 핵심!!!
|
|---|
| Orbit Slot 을 점유한 주체가 예약을 오버해서 올리면? | - 보안/인증에 대해서 확인이 필요함
- 10:00:00 ~ 10:01:00 동안 점유하고 Access Key 를 받았는데, Key 를 사용해서 올린 Mission Planning 은 10:02:00 까지 계획한 경우라면?? 등에 대한 고민
- 문서의 what-if question 에서 결정이 필요함
|
|---|
| 위성과의 Ack/Nck 는? | - 위성 쪽에 최소한의 TM/TC, Ack/Nck 정보를 요청해서 받을 예정임
|
|---|
| MPPE Owner/Terminal 의 역할 | - 현재 정의된 것은 Owner 와 Terminal 의 역할과 기능이 완전 다른 상황임
- 동일한 Element/Subsystem 일 필요가 없음. 또는 동일한 Element 안에서 Subsystem 을 나눌 수도 있음
- 부문장의 의도 → Mission 과 Maintenance 를 구분하는 Frame 을 씌우고 싶었음
- MPPE Owner 는 Mission 을 관장하는 역할을 수행!
|
|---|
| Access Key 관리와 관련하여 | - 왜 Access Key 가 있어야 하지?
- 위성이 mission 별로 user key 를 tag 해서 관리한다면 customer 의 privacy 가 지켜질 수 있음
- 즉, scenario upload 를 위해서 access key 할당 및 orbit slot 예약을 요구하지 않고 terminal 은 comm. slot 을 이용해서 언제든지 scenario 를 올릴 수 있음
- 이 경우에도 결과적으로 comm. slot 을 위한 orbit slot 을 예약해야만 함
- access key 업데이트는 owner 에 의해 바뀌게 됨
- owner 는 blocked orbit schedule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access key update 가 가능함
- 관련하여 설계 시, 순서/범위를 고민해야 함
|
|---|
Version 에 대한 정의
- MPPS
- Terminal 이 생성한 무언가(Plan/Slot Reservation 을 기반으로)를 Owner 가 Orbit Slot 을 관리
- UIS
- User 가 생성한 무언가(Order)를 Operator 가 관리/처리
- PMS
- Owner 는 Client(?) 의 모든 기능 + Cal/Val
각 정의에 대해서 재정의
MPPS
- MPPS Terminal 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을 것 같음
- MPPS Owner
- MPPS Owner 를 SME 로 옮기기
- Owner 와 Terminal 이 수행하는 역할/기능이 너무 상이한데 같은 Element 에 묶는 것이 맞는가?
- 결론
- MPPS Owner → Mission XXX Subsystem (MXS) (TBD)
- MPPS Terminal → MPPS
- MPPE 로 묶는 것 유지
- MPPS 관련된 Version 은 제거
UIS
- ESGS 는 Login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화면이 다름
- Web 이었기 때문에 권한에 따라 페이지가 달라져도 이상함이 느껴지지 않았음
- 현재 상태 유지
PMS
Level-4 요구사항 논의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