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목 | 내용 |
|---|
| 일시 및 장소 | - 2021-09-02 15:30 ~
- 위성활용동 3층 회의실
|
|---|
| 참석자 | - KARI
- 하종성 선임
- 염종민 선임 (이학박사, 위성정보센터 / 위성활용실)
- 김보람 연구원
- 김이지(? 예지?) 연구원
- SI
|
|---|
| 하종성 협상 이력 | - 하종성 선임 경험 상, 협상 중에 과제 수주를 포기하는 경우도 있었음
|
|---|
| 준비 내역 | |
|---|
| 금액 | - 1.1억 제안 → 금액은 변동사항 없이 수행하기로 함
|
|---|
| 과업기간 | - 외부업체 입찰 영향성(가능성, 공정성 저하)으로 인해 기간은 2021년 12월 31일로 고정
- 변동 불가
- 그로 인해 오늘 협상 후, 계약까지 시일이 소요되겠지만, 협상 완료 후에 바로 과제를 수행해 주기를 요청 by 하종성
|
|---|
| 협상결과서 | - 붉은색 부분에 대해서는 SI 에서 기술하여 KARI 에 전달해야 함
|
|---|
| 참여연구원 | - 참여인원의 참여율이 낮아보임. 기일 내에 완료할 수 있을지 염려되는 부분이 있음
- 하던 사람이 하는 부분이 있어서 혁신성이 없을까봐 염려됨
- 해당 부분 고민해서 수정사항 있으면 수정해 주기를 바람
|
|---|
| 주요회의 | - 기간이 줄어듬에 따라 최종보고회의 기간을 줄여야 할 것 같음
- 중간보고 회의는 11월 1일 주에 수행하는 것으로 변경했음 (제안대비 1주 당김)
- 사업수행 계획보고와 착수보고를 착수회의보고에서 같이 진행
- 설계검토회의는 중간보고회의로 대체
- 월간업무보고는 10월에만 1회 수행
- 다른 월에는 다른 보고 회의가 존재함
- 월간 수행 내역에 대해서만 대면으로 간단히 진행
|
|---|
| 납품내역 | - 설계보고서 1식
- 기본설계 정도의 깊이를 원함 (몇 백 페이지 나올 것으로 예상)
- 시스템 설계자료 1식
- 추후 활용 가능한 흐름도, 구성도, 그림 등의 원본
|
|---|
| 시스템 설명 | - 초기 설계
- 별도 SW 에서 산출물 생성하여 본 과업에서는 취합 및 관리
- 수정된 설계
- 각 부가 산출물 생성 쪽은 알고리즘만 담당
- 본 과업에서 만들어진 SW 에서 알고리즘 import 해서 산출물 생성
- 염종민 요청 내용
- 입력 및 출력에 대해서 빠른 결정 필요
- 부가산출물 오류 리스트 필요 → 알고리즘별로 나오는 것이 아닌가? → (하종성) 설계에서 할 수 없는 부분임. 개발을 하는 쪽에서 담당해야 함
- 내년 1월부터 알고리즘 개발이 시작됨. 알고리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필요한 로그를 본 과제에서 정리를 해 주기를 바라는 것임
- (하종성) LP 단위로 로그를 작성할 것임. 본 과업에서. 각 LP 에서 꼭 맞출 로그를 본 과업에서 만드는 것이 아님
- 입출력 확인, 처리 단계별 로그에 대해서 표준화해 줄 수 있는 안을 주기를 원함
- 초소형 지상국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음
- 그로 인해 본 과업에서 설계할 시스템이 받을 데이터에 대한 정의가 되어 있는 것이 없음
- 지상체 → Cal/Val → 활용 으로 데이터가 자동으로 넘어올 것으로 가정하고 진행해야 함
|
|---|
| SSD-01 | - 사이트 분석 요청했음
- 3개만 요청했는데 제안한 2곳 추가해서 산출물이 나오기를 바람
- 각 사례의 FE 뿐만아니라 BE (구조, Cloud) 등에 대해서 조사가 되었으면 좋겠음
- (최재승) BE 는 자료가 별로 없음. 공개된 자료를 정리할 수 있음. 회원가입을 직접해서 사용 흐름을 파악하는 수준으로 분석했었음. BE 의 중요성은 떨어진다고 생각함. FE 를 잘 파악하는 것 (서비스가 어떻게 되는지) 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함
- 사용자 개인정보를 어느정도 수준까지 수집하는지 조사 필요
- 산출물 다운로드 방법
- 기능도 단순 나열하지 말고 카테고리를 나눠서 (대분류/중분류/소분류 등) 정리 요청
|
|---|
| SSD-02 | |
|---|
| SSD-03 | -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본 과업의 운영 개념 설계 필요
- 발주처는 운영까지 할 생각은 없음 (?, 체계의 마인드?)
- 발주처에 적합한 것에 대해서 설계 필요함
- 하드웨어에 대해서 하종성은 잘 모르겠다고 함. 용어 등을 명확하게 정의할 필요 있음
- 국토부는 '장치' 라고 해서 그 안에 여러 장비를 넣었던 것으로 기억함
- 전송속도가 중요할 것 같음
- HW 별로 상용 SW 탑재 여부, 개발 SW 설치 여부에 대해서 표로 정리 필요
- GK 위성 데이터는 부가산출물 쪽에서 수집해서 산출물을 만들면 본 과제의 시스템에서 산출물을 수집해오는 개념이 기본임 → 아직 결정된 것은 아니라고 함
- KARI 내부망에 대해서 상세 조사가 필요할 경우, 발주처에 요청하면 됨
|
|---|
| DDP-01 | - 검보정된 자료가 올 것으로 기대함
- 수집의 정의
- 본 과제의 시스템에서 시스템 외부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행위
- 외부망 접근 및 보안과 관련된 내용을 고민할 필요가 있음
- 염종민 요청
- 구현 과제 종료 시점에 초소형 위성이 뜨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테스트를 위해 타 위성 영상이 필요함
- 테스트 영상으로 Planet, KOMPSAT 위성 영상을 고려하고 있음
- 수집영상을 쉽게 가져올 수 있도록 최대한 앞쪽이 쉽게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 필요함
- (하종성) 구현 완료 시점에 어떤 위성 영상을 사용할 지, 결정하겠음
- (최재승) 외부 위성 영상을 받더라도 meta 정보를 초소형 위성 영상 meta 로 변경해서 테스트 하는 것이 맞다고 봄
- 설계 상에서 타 위성 정보를 초소형 위성 정보화하는 것을 '언급' 만 해 주기를 원함
- 현재 설계 요구사항을 조금 더 상세하게 풀어 놓은 요구사항을 작성하기를 원함?? → 그건 아닌 듯. 상세설계 및 개발 과제에서 요구사항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임 → 우리에게 입력 자료를 원하는 것임?
|
|---|
| DDP-02 | -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외부 영상을 수집할 때, 각종 권리(특허권/지식재산권)에 침해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기를 원함
- 어떤 해외 위성 목록을 받을지는 중간발표회의에서 발주처 제공 예정
- 절차에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함
- Landsat, Sentinel 2 는 기본적으로 활용 예정
|
|---|
| DDP-03 | - 기존 SI 경험 살리면 될 것 같다고 함
- 데이터 저장 및 관리 체계 정의 필요
- 1 scene 에 대한 용량을 발주처에서 줄 수 없는 상황임
- 한반도 표준영상 1년치 저장 시에 얼마나 될 지, HW 는 어떻게 구성해야 할 지, 제안사 설계 필요
- (최재승) 최소 가정을 한 상태에서 계산을 할 수 밖에 없음 (영상 크기, 저장 대상 등)
- 국토부 기반으로 조사해서 설계에 반영할 수 있기를 원함
- (염종민) 재난의 경우, 이벤트가 있을 때만 생성될 것이기 때문에 용량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 판단. 저장관리하지 않아도 될 듯함. 표준영상으로 재처리하는 방식도 괜찮음
- (최재승) 어떤 자료를 얼마나 저장할 지는 발주처가 결정해줘야 함
- SI 에서 참고자료 만들어주면 KARI 에서 세부 항목을 결정하려고 함
- 구축을 위한 장비 제안 요청
|
|---|
| DDP-04 | - 표준화를 제일 중요하게 생각했음
- 설계에서는 깊이가 떨어질 수 밖에 없음
- 타 기관 유사 산출물 기반 설계 요청
- (염종민) 병렬처리와 관련된 요청 근거 자료가 본 과제에서 나올 수 있는지 궁금함 → (최/하) 줄 수 없음. 거꾸로 알고리즘 쪽에서 줘야 함
- (최재승) 어떻게 만들지, 어떤 병렬처리를 할 지 발주처에서 제공해줘야 최적의 시스템을 제안해줄 수 있음
- (하종성) 본 과제에서 각 산출물 생서 프로세서에서 병렬처리를 할 지 안 할지를 결정할 수 없음.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쪽에서 필요여부를 결정해야 함. 최재승 PM 과 같은 의견
- 병렬처리 방식에 대해서 조사 요청 / 주로 어떤 알고리즘에 대해서 병렬처리를 하는지 경험/조사를 통해서 제안 요청
- (최재승) 조사를 해서 나온 결과가 어떤 으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음. 국토부에서는 입출력 정의를 우리가 주로 했음. 산출물 생성하는 업체에 필요한 하드웨어 스펙을 물어봐서 정리했었음.
- 기본적으로 어떤 경우, 병렬처리를 하는지에 대해서 조사 및 필요한 기술/HW 스펙을 제안해주기를 바람
- 표준화를 위한 절차, 필요 입력 등에 대해서 조사 및 제안 필요
|
|---|
| DDP-05 | - 분배/전송/전달
- 배포
- 분배를 할 때,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전송 결과의 안정성 등을 알기 원함
- 어떻게 할 지, 착수회의에서 말해 주기를 바람
|
|---|
| HAD-01 | - 제안요청서에 기술된 용어에 대해서 한정할 필요 없음
- 추가할 부분이 있으면 얼마든지 추가해서 설계 진행해주기 원함
|
|---|
| HAD-02 | |
|---|
| HAD-03 | - 현재 발주처는 항우연 네트워크에 대해서 잘 모름
- 항우연 내부망 구성(장비)을 재활용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기를 원함
- 장치 등 체크포인트를 알려주기를 바람
|
|---|
| HAD-04 | - 원내 네트워크 보안 / 위성 영상 수집배포 정책 / 개인 정보 보호 의 관점에서 보안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 그 관점에서 체크포인트 확인 요청
|
|---|
| SAD-01 | |
|---|
| SAD-02 | |
|---|
| SAD-03 | - 일반적인 내용을 제안요청서에 기술한 것임
- 기술한 것을 모두 적용할 필요는 없음
- 제안사에서 관련 사이트 조사 후에 최적의 구성 제안 필요
- 제안요청서의 항목 중 필요/불필요에 대해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주기를 바람
- 주문은 재처리 주문임 (촬영 주문 아님!!)
|
|---|
| SAD-04 | - 모든 것을 이중화할 수는 없다고 생각함
- 정말 필요한 항목을 식별해서 이중화 제안 요청
- 완전 오픈을 생각하고 있음 → (최재승) 상당 수의 인원에 대해서 설계를 해야 함. 낭비가 될 수 있음. 최저를 높게 둘 수 밖에 없음
- 표준영상은 배포 대상이 아님
- 활용산출물이 배포 대상임 → 영상의 경우, 해상도를 낮출 것임
- KSAT DB 를 생각할 때, 하루에 10명 정도 오고 있음 → 타 국내 위성영상 사이트 조사해서 제안해주기를 바람
- 제안한 내용에 대해서 증감은 발주처에서 할 것임
|
|---|
| SAD-05 | - 설문조사
- 어떤 목적으로 어떤 기관에서 가져가는지 알기 원함임
- 사용자 계정이 있으면 자동으로 수집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고 생각함
- (김이지) esa 의 경우, 상업용도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체크가 있음
- 설문조사의 경우, 기능 요구사항 만들 때, 필요한 것임을 인지하고 있음 → 본 과제에서는 첨언할 부분이 있는지 말해주기를 원함
|
|---|
| SAD-06 | - (김보람) 국내 IP 에 대해서만 접근 제한 가능한가? → (최재승) 가능함
|
|---|
| SAD-07 | |
|---|
| PGR-01 | - 추후 개발과제에서 필수로 수집해야 하는 납품 항목을 결정해주기를 원함
- KARI 가 알고 있는 노하우도 있는 상황이기는 함
|
|---|
| PGR-02 | |
|---|
| PGR-03 | |
|---|
| 기타-01 | - 의무사항 아님
- KARI 내부 Cloud 구축을 위해 필요한 항목/비용/절차 등에 대해서 제안 원함
- (최재승) 가상화 정도라면 SW 는 변동되는 것이 없음
- (김보람) 가상화 정도라고 생각함. 추가적으로 알아보기는 해야 함
- 전제조건을 살짝 수정하고 나머지는 삭제하겠음. SI 에서 설계한 결과를 cloud (가상화) 로 구축할 때 필요한 부분은 제안해 주기를 원함
- (김보람) 자료 저장부분을 cloud 화하는지, 처리하는 부분을 cloud 화 하는지 조사해서 SI 에 전달해 주겠음
- (최재승) 현재 시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HW 예산을 2개 만드는 것 정도임
|
|---|
| 기타-02 | - 유지보수 관련
- 과제 종료 후에 SI 에서 설계한 내용 중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음. 해당 내용에 대해서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지 확인 요청하는 것임. 6개월 정도
- (최재승) 해 줄 수 있음. 인터페이스 변경 등에 대해 코멘트 가능.
|
|---|
| 재난재해 알고리즘 | - (김이지) 재난재해 알고리즘이 어떤 언어로 작성해도 커버가 가능하게 설계하는 것인가?
- (하종성) 그런 상세한 내용을 커버하지는 않음. SI 는 기존 시스템 조사를 통해 제안을 해 주는 것임
- (김이지) 해당 부분을 최대한 빨리 제안해 줄 수 있나? 본인 과제도 설계가 비슷한 시기에 진행될 것이기 때문임
- (최재승) C++ 하고 정하면 끝나는 것인가? 항우연 기준으로 처리 알고리즘은 C++ 임. 정지궤도는 JAVA.
- (하종성) 본 과제에서 표준화를 생각하고 있기는 하지만 EXE 레벨에서 인터페이스만 정하게 될 수도 있음. 단순히 이식을 하는 개념. 알고리즘에 따라 표준화 대상이 될 수도 아닐 수도 있음.
- (최재승) K2/K3 때는 SI 에서 LP 를 만들고 DLL 을 KARI 에서 만들어서 LP EXE 가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었는데, KARI 보안이 강화되면서 KARI 에서 LP EXE 를 만들었음. SI 는 EXE 를 관리하는 형태를 갖고 있음. 성능/품질 요구사항 분리를 위해서도 EXE 로 나누는 것이 더 낫다고 봄
|
|---|
| 산출물 관련 | - (최재승) 전체 산출물의 종류, 형식, 처리 흐름 등을 알려주기를 바람. 인터넷의 reference 를 줘도 괜찮음.
- (하종성) 착수회의에서 요청하면 될 듯함. 착수회의에서 SI 가 언급해 주기를 바람. 착수회의에서 요청하면 KARI 가 받아서 해당 부서에 요청하겠음
|
|---|
| 착수회의 | - SI 에서 준비해서 자료 먼저 공유하고 진행하는 것으로 생각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