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내용
조직 관련
  • 지상 5팀의 관리 부하 꾸준히 확인 필요함
OVG
  • 7월 착수 전에 지상체의 운영개념 상세 및 Level-4 요구사항 정리 필요함!!!
  • K7 보다 먼저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한화쪽에서 원하는 것 → 팀장들에게 말하면 안 됨 (PM 에게도 오픈하지 않을 것임)
    • Owner 가 관심을 갖고 있는 과제이기 때문에 조 단위로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있음
      • 지구 관측 비지니스 전반적으로 조 단위를 말함
강기동 이슈
  • 트랙 전환과 관련하여 면담을 한 최초 시점부터 1달 동안은 박근석 팀장이 관리를 해 줘야 함
    • 강기동 팀원이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여지를 줘야 함
    • 강기동이 변해야 한다는 것을 계속 주지시키면서...
      • 팀장의 생각이 변할 수도 있다는 여지를 강기동에게 알려줘야 함
      • 서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기저에 깔아야 함
    • 그 동안 박근석 팀장이 관리하려고 했던 노력과는 별개로...
  • 일방적인 통보 후에 일사천리로 진행하면 마치 찍어내는 듯한 느낌이 들 수 있음 → 객관적인 시선에서 바라본다면...
  • 현재 시점에서 실장이 개입하는 것은?
    • 이번 주에 만날 때, 실장이 들어가서 상호 간에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을 듣고 기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 박근석 팀장이 해야 할 일
    • 그 동안에 있었던 사건에 대한 증빙자료 수집
      • 날짜와 사건에 대한 일지 기록 필요
    • 과거 뿐만 아니라 데일리로...요청 필요함
  • 일지 작성은 필수로 필요함!!! → 박 팀장이 하고 면담이나 증거 수집 필요 (녹음 필요)
    • 근태/업무와 관련하여 기록해야 함
  • 박근석 팀장과 상세 일정을 논의해서 수행
  • 중요한 것은
    • 개발자로서 부족한 역량을 강기동 스스로 인지/인정하는가?
    • 역량 개선의 여지가 있는가?
    • 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인정하는가? 개선의 여지가 있는가?
    • 가시적인 액션이 필요함
  • 김현숙 case 에서는 3달치 월급을 더 주고 퇴사를 했었음
    • 자문계약서 형식으로 추가금액 지불했었음
  • 김민국 과장이 면담 수행함
    • 강기동 연구원은 R&D 에 남겠다는 의지를 보여줬음
    • 김민국 과장이 느끼기에도 조직이 원하는 역량과 본인이 생각하는 역량의 차이가 있다고 느꼈음
    • R&D → DA 는 전례가 없기 때문에 어떻게 행정처리해야 하는지 인사팀에서도 준비가 필요한 상태임
정병교 이슈
  • ESGS 과제를 위해서 박성도 책임이 투입되었음
  • 현재 시험/데이터생성/설치 등의 업무만 수행하고 있음
  • 예를 들면 2시간이면 할 일을 3일이 지나도 끝내지 못했음 (찬구/대근과 의사소통 되지 않았음)
    • JDTime, CalcTime 에 대한 인터페이스 오류
  • 박정훈 DIS 투입은 올 해 3월 쯤이었음
  • 의사소통 시, 전달력의 부재가 있음
  • 구현 능력이 매우 부족함
  • 대응 방법
    •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with 팀장
    • 데리고 일을 해도 될 수 있는 사람/일 속에 숨기기
      • ex> 박성도 밑에 두기...
  • 박성도를 통해 정병교 전임의 현재 상태에 대해서 확인이 필요함
  • 정진호 팀장과도 논의가 필요함
    • 강기동처럼 일지 관리가 현 시점에서 필요할 것 같음
  • 이영란 PM 의견으로는...
    • 현재는 과제 일정에 지장을 받지 않는 중요하지 않은 간단한 일만 주고 있는 상황임
  • 이영란 PM 요청 사항
    • 프로그램 구조를 잡지 못잡는, 업무 흐름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 개선이 필요함
    • 개념이 없다라고 볼 수도 있음
    • 공부가 필요함 → 정병교 전임이 개발한 프로그램의 class diagram 등을 그려보고 조언에 따라 수정한 부분에 대해서 인지하기
약어정리
다면 피드백 검토
  • 부문장에 대한 피드백 내용 from 대표이사
    • 지상은 소프트웨어 조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음
      • SW 개발에 특화해서 조직 구성 및 운영 필요함
      • 기술 스택 필요함
      • GS 교육에서도 반영이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함
        • 이 부분은 위성 시스템 교육에서 내려온 것이기 때문에 기존 위성에 대한 교육이 주가 된 것임
        • SW 는 큰 category 로 나눠서 아직 설계가 안 된 것임 → 부문장이 생각하는 오해의 소지...
    • 투입률 쪼개지 말고 1인 1과제 보장되었으면 함
    • ENG 의 조직에 대한 의사전달 과정에서 누락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음
    • 기술에 전문화가 될 수록 더 많은 과제에 투입될 수 밖에 없는 현실임
      • ex> 박혜영 대리가 여러 과제에 들어갈 수 밖에 없음
    • 오히려 full stack 이면 단일 과제 투입이 가능한 상황이기도 함 (현재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 이상의 과제에 투입되는 경우도 있지만...)
  • 팀장과 공유 필요함
    • 왜 이런 이야기가 나왔는지 팀장 선에서 논의가 필요함
    • 부문장이 기대하는 바는 딱히 없음
      • 지상이 가지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임
      •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풀었으면 좋겠음
    • 팀장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이 괴리를 더 줄일 수 있는 방안/고민이 필요함 → 지금 당장 솔루션을 원하는 것은 아님
    • 팀장 레벨에서 현재 이런 이슈가 있다는 것을 공유하는 것이 1차적인 목적임
  • 부문장은 15년간 들어온 이야기라 자괴감이 드는 부분이 있음 (농담처럼 한 이야기)
    • 이럴 경우, 핑계거리를 찾게 될 수도 있음 from 이영란 PM
  • 부문장은 피드백을 준 사람과 1:1 면담을 할 생각을 갖고 있음
  • 과제 목록을 펼치고 On/Off 를 해야 하는 시점이 된 것 아닌가...
    • Go/NoGo 를 결정하는 것
  • 직접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은 10% 팀계정 사용 절대 보장!!
    • 역량 증진과 관련 있는 것으로...
GS 교육
  • SW 과정 설계 완료 후, 9월에 진행이 될 수도 있음
    • 매주 금요일 10:30 ~ 12:00 (max)
  • 과정 설계 to 한재중  
  • GS 교육은 역량 강화가 아님. 지식 전달임. 그래서 SW 를 생각하지 않았던 것임 → 일단 보류
  • 구조/설계 등에 포커싱을 해야 할 것 같음
    • 실제 예시를 기준으로 토론/교육이 되어야 함
  • 부문장/그룹장 생각에는 SW 전문화를 원하는 사람들이 Domain 지식을 알고자 하는 욕구가 적다고 느껴짐
  • 결론
    • 8/6 부터 시작
    • 10:00~12:00
    • Introduction to Ground Segment / MCS 소개까지, 이영란
    • Teams 로 진행
    • 인턴 참여 가능
카작스탄
  • MR 이기 때문에 정부로서는 농림쪽과 엮어서 사업 진행을 하는 것이 어떤지 고민 중 
  • 3대 constellation
아포피스
  • 2029년? 에 지구 가장 가까이 오는 소행성(아포피스)에 대한 탐사
  • 30년 후에나 다시 올 기회
OO (500) 과제
  • 발사체 중심으로 회의가 진행되었음
  • 위성 운영 및 활용에 대해서는 언급이 거의 되지 않았음
  • RFP 는 참여자들에게 직접 써서 가지고 가라고 했다고 함 (한화에서 겁나게 수기로 씀)
  • 지상체에 대한 것은 이영란/이운섭에게 공유되었음
  • WBS
    • 체계
      • 발사체
      • 탑제체 (위성)
        • 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 위성쪽 온보드 SW + 지상 SW
  • 지상의 참여 분야
    • 관제 + CAL/VAL 조금 (LP 는 제외)
    • 어떤 heritage 를 기반으로 만들어서 작성할 것이냐? → ESGS or NueSAR 를 기반으로 작성 필요
      • 방산에서 수신소 개발 예정 (ICPS / DIS 포함)
      • NueSAR 의 경우, ICPS 의 기능이 MPS 에 많이 들어가 있음
      • ESGS 는 분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ESGS 의 전체 기능 중 일부 기능을 기반으로 시작을 해야 한다고 판단함
  • SE-M 을 기반으로 제안 예정 (추력기는 기본 포함)
    • 우주에 쓰레기 버리지 않기 위함
    • OO (500) 의 경우, 추력기를 포함하지 않은 듯 함 (내가 잘못 들었을 수도...)
    • 고도 유지 정도의 추력기 포함
    • 그래서 ESGS 의 MCS Subsystem 4 개 모두 포함
      • FDIR, MIMIC, Collision Avoidance, 3D Display 등은 제안하지 않는 것으로 이운섭 팀장과 부문장이 논의 완료했음
    • DMS 도 빼자고 이영란 그룹장이 의견을 줌
      • 시험 위성이라서 위성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고 부문장이 생각함. 그래서 포함한 상태임.
      • 기능을 포함하는 것은 맞다고 생각하는데 굳이 서브시스템 레벨로 가져갈 필요가 있나 싶음 (이영란 그룹장)
급전배열 안테나
  • 차기 425 사업
법정교육
  • 팀 별로 완료자를 주간 보고에 작성 필요 (완료자/팀원전체) 형식으로..
지상사업부 방향성 논의 회의
  • 진행자
    • one of PM, or 그룹장
    • 하고 싶은 PM 추천 받음
  • 참여자
    • 부문장
    • PMG
    • 실장
      • 팀장들의 대표로서 참석하는 것임
      • 회의 내용에 대해서는 팀장들에게 공유해야 함
    • 이운섭/박근석? → 실장으로 갈음
  • 방향성
    • 부문장은 본 회의를 통해 기존의 방향성이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함
    • 다만 방향성을 이루기 위한 제약 조건이 크게 걸렸음 (대기업 전환)
    • 그렇기 때문에 제약 조건 하의 수주 전략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 주된 목적임
    • 그래서 팀장을 제외하고 PM 중심으로 논의를 하려 한 것임
시스템실 에어컨
  • 각 에어컨 구입 시기 확인 필요
  • 고장을 고치는 것보다 신규 구입이 더 나을 수 있으니 확인 필요함
  • 가정용이 아닌 기업용으로 사야 함
  • 이용호 과장 포함해서 이 상황을 돌파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시설팀의 도움을 받아야 함
퇴사
  • 이원준의 거처에 대해서 확인 필요함
  • 지금 이직하는 것 보다 나중에 이직하는게 더 나을 수 있다라는 측면에서...
회의 방법
  • 지금처럼 수행?
  • 예전처럼 전부 다 모인 다음에 spl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