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2 박민규
  • 이영란 PM 요청 사항
    • 개인 소개 (전공/이력/팀에서 기대하는 역할 등 포함) 페이지가 1장이 있었으면 함. 그래야 개인에 대한 백그라운드 이해를 기반으로 코멘트가 가능함
  • 신동석 PM 요청 사항
    • 6년 타 전공인데 같은 6년의 전산전공자의 역량을 기대하지 말았으면 함
    • 6년 타 전공에 대한 경험을 과제에 녹여낼 수 있는 기회를 잘 부여했으면 좋겠음
      • 시스템 내의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개선 등
      • 시스템에 붙이는 알고리즘의 크기를 작게해서 시스템에 반영



질문답변

수습은 잘 종료했나?

단위 작업의 목적은 잘 달성했다고 말한 것 같은데, 그를 통해 수습 기간 동안 본인에게 조직이 기대한 바가 잘 달성되었다고 생각하나요?

본인 스스로는 수습 기간 동안 조직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 것과 업무 수행을 위해 스스로 갖춰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잘 찾았나요? 


프로그래밍 수준을 0~10 점으로 부여한다면 입사초기와 현재가 각각 몇 점이라고 생각하나요? 그 근거는?

팀장 생각에 0점에서 5점이 된 것 같음

프로그래밍 수준을 몇 점까지 가야한다고 생각하나요? 가기 위한 방안은?


PR 을 사용한 경험이 있나? 지금까지 몇 회정도 PR 을 생성했나?
코드 리뷰를 통해 받은 코멘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코멘트는?

Socket 통신에서 전송할 파일 크기가 크면 왜 산술연산자 오버플로우 문제가 발생했나?

원인을 어떤 과정을 통해서 찾아냈고 어떻게 해결했나?

이제 몇십기가도 전송이 가능한 상태인가?


코드를 살펴봤더니 본인이 발표에서 말한 것과 같이 하드코딩/절대경로 등이 보인다.

해당 부분은 하드코딩은 로컬변수/전역변수로 변환이 필요함 (다수 반복되는 하드코딩이면 무조건!!)

절대경로는 상대경로로 변경해야 함. → 다른 사람들이 해당 코드를 다운받아서 실행하면 실행이 되지 않게 됨!!


자신만의 용어집을 갖고 있는가? 개인 용어집은 필요함. 꾸준히 관리해 주기를 바람.

찾아봤는데 안 보임. (개인 페이지에 숨겨놨나?)

용어가 바로 떠오르지 않을 수 있음. 하지만 어디서 찾아야 하는지는 알고 있어야 함.

코드를 작성하는 것도 비슷함. 모든 것을 다 알고 있을 수는 없음.

다만 경험을 통해서 어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어디를 어떻게 찾아야하는지,

찾아낸 코드가 목적에 맞는지 어떻게 확인하고 이해하고 적용할 것인지 본인만의 프로세스를 적립해야 함.

본인의 오답노트/체크리스트 작성해서 자신의 작업이 완료됐을 때, 잠깐이라도 회고해보기.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수 있도록.

전달 완료!

우리가 프로그램 구현 시, Git 을 왜 사용한다고 생각하나? DB 는 왜 사용한다고 생각하나?

왜? 본질/목적에 대해서 궁금해하는 습관을 가졌으면 좋겠음.

전달 완료!

본인이 작성한 confluence page 중에서 가장 많이 조회한 페이지는 무엇인가? 왜 조회를 했는가?

기록을 열심히 남기는 것을 잘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중에 찾아보기 힘든, 의미없는, 부실한 기록은 있으나마나 한 것이 된다.

기록을 작성하고 나서 후에 다시 볼 때, 헷갈릴만한 내용은 없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전달 완료!

노파심에 한마디

창작금지/모방우선과 비슷한 맥락에서...

일의 순서는 작업의 목표를 우선 달성하는 것이고 그 후에 추가 수정/구현을 하는 것임. 잊지 말아주길!

신입의 기본 자세는 물어보기임.

시도때도 없이 물어본다면 선임자를 괴롭히는 것이 되겠지만 특정 시간 이상 막혀서 정체하고 있다면 바로 선임자에게 물어보길!!

전달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