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85. 기록 내용

  • 발표자료를 읽는 스타일의 발표를 수행. 추가적인 설명을 하지는 않았음.
  • JAVA 를 주로 개발했는데 강의 등을 통해서 Python 을 익히고 있음. 영어도 신경쓰고 있음 → 자기 계발 노력
  • 답변을 하는데 있어서 배경 설명이 다소 긴 타입임. 핵심을 전달하는 능력이 다소 떨어진다고 생각함 (면접이 진행되면 진행될 수록 느껴지는 것이...다소가 아니라 꽤?)
    • 의사소통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생각함
  • 안정적인 생활을 원하는 것으로 보임
    • 지란지교에서 이직한 사유가 불안정적인 회사의 업무, 시장이었다고 함
      • 출장에 대한 지원이 부족 → 인력이 부족했다는 것을 의미했음
    • 우성사료는 SW 기술적으로 외부 의존도가 높고 전문성이 없음
  • 수행해야 할 업무 (JAVA 개발) 에 대한 지식은 중하 정도라고 판단됨
  • 입사하면 JR8 이고 내후년에 선임개발자가 되어야 하는데 SW 개발 사이클을 경험한 적이 없는 것이 염려됨
  • 본인의 필요에 의해서 Test Code 등을 적용했다기 보다는 해야 하니까 했고 의미를 부여하려고는 하지 않음
  • 제대로 솔직하게 답변하지 않는다는, 임기응변식으로 답변한다는 느낌을 받음
    • SW 개발 사이클(요구사항 분석부터 설계/구현/납품/유지보수까지 라고 설명해 줬음) 경험했나? 했다. → 요구사항 분석 해 봤나? → 안 해봤다. (이런 느낌)
  • 문제의 본질을 꿰뚫는 시야는 없어보임
    • 지표면에서 100km 고도가 올라가면 지표면 대비 지구 한바퀴 도는데 얼마나 거리가 늘어난다고 생각하나? 라는 질문에 아예 답변을 못함. 지구과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면서...흠... 


86. 내 서류 평가 의견

경력(7.2) - 학사 - 3.74/4.5 - 군필
희망 4500 - 직전 4400 - 대전 거주
전산 전공
케이엘정보통신(2.4) - 지란지교데이터 (4.4) - 우성사료 (0.5)
직무에서 요구하는 기술/경험을 갖고 있음
atlassia 사용 경험 있음
협업의 중요성
홈피 구축 및 재구축 업무를 주로 담당함
실무에 대한 질문을 많이 해야 할 듯함
1 -> 1 (언어에 대한 기본 지식은 없으나 문제 풀이 능력은 있음. 업무 수행 능력을 봐야 함)

87. 질의 응답

질문답변
우리 회사를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본인이 생각하는 전문성과 경력에 맞는 업무란 무엇인가요?

웹 개발 관련 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 (최신 개발 흐름을 파악하고 적용)

JAVA Spring 개발

끝까지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에 대한 답을 듣지 못했음

경력 1년차는 어떤 일, 2년차는 어떤 일인데 나는 7년차라 이런 부분을 커버해야 한다...라는 답변을 말하지 못함

Full Stack 을 해야 할 것 같다고 답변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재미있나? 행복한가? 왜 그런가?


전산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인이 했던/하고있는 노력은 어떤 것이 있는가?
본인이 생활을 하면서 필요에 의해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경험이 있나? 과제한 것 말고...
MSSQL 과 Oracle 의 Query 의 차이점이 대표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회사 대표 홈페이지를 지원할 데이터베이스로서 MySQL 과 MSSQL 중 어떤 것이 더 적합한가? 어떤 이유인가?
본인 스스로 만족감을 느끼는 업무는 어떤 종류의 업무인가?
본인 스스로 아쉬움(하기 싫은)을 느끼는 업무는 어떤 종류의 업무인가?
과제를 리딩해서 진행한 경험이 있나?
(꼭 물어보기) SW 개발 사이클 (요구사항 분석부터 설계/구현/납품/유지보수까지) 경험을 해 봤나?경험을 해 봤음
(꼭 물어보기) 어떤 설계 문서들을 작성해봤나?

UML 작성 경험은 없음

API 설계만 해 봤음

요구사항 분석 결과에 대해서 답변을 제대로 못함

(꼭 물어보기) 레거시 코드를 이해하기 위한 본인만의 노하우는 무엇인가?
(꼭 물어보기) 본인이 Unit Test Code 를 작성할 때, 작성 기준이 있을 것 같은데 어떤 것들이 있나?

코딩 전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이론상으로 맞다고 알고 있음

로직 구현하고 로직에 대한 정밀성 오류에 대한 것을 확인하기 위해 controller 단위로 작성

(뭔가 엉뚱한 대답)

FE 의 데이터 오류, 세션 유지 관리 오류 코드 작성한 경험 있음

예외처리에 대한 테스트 코드 작성

단순 검증을 위해서 작성. 딱히 기준을 가지고 작성을 하지는 않았음

(꼭 물어보기) 코드 작성 시, 본인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이 있다면? 3개 정도 말해 달라.
비개발자와 인터페이스한 경험이 있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본인이 시도한 것은 어떤 것이 있었나? 결과가 어땠나?
개발자들과 의견 충돌로 인해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나? 왜 겪었다고 생각하나? 해결됐나? 어떤 시도를 통해 해결했나?
어떤 IDE 를 사용하나? IDE 에서 본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 3개 정도 말해 달라.
상속 개념을 적용해서 구현해 본 적이 있나?

개념을 알고 있기는 하지만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지는 못함

예를 들면 부모/자식 클래스라는 표현이 아니라 '상속 받는게 함수를 오버라이딩' 한다는 식으로 표현함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의 차이가 무엇가요?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해야 하나요?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사용해봤던 경험이 있나요? 어떤 경우에 사용했나요?
본인이 알고 있는 Exception 중 아무거나 2개만 이름과 발생 사유를 이야기 해 달라.
대전은 인구 150만이 사는 곳입니다. 대전에 대략 몇 개의 주유소가 있을까요?
대전에서 생활을 하게 된다면 집을 구해야 하나? 
입사 가능일자가 7/5 로 되어 있었음. 기존 직장에서 인수인계를 하지 않아도 되나?
Server/Client 구조로 프로그래밍을 해 본 경험이 있나? Socket 을 이용해 본 적 있나?
그림판 개발 소요 시간은?
SI 에 궁금한 것. 하고 싶은 말.입사하게 된다면 열심히 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