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최종 결과
|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77. 기록 내용
- 발표자료 깔끔함. 하지만 발표 능력이 좋지는 않음
- 발표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하지 못함
- 그로 인해 뒷 부분에서 말이빨라짐
- eye contact 없음
- 생각이 많은 것일까? 답변을 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끝내 대답을 못하는 경우가 있었음
- 답변은 솔직하게 했다고 생각함
- C# 개발에 있어서 아예 모르는 상태가 아님. 별도 교육 없이 투입은 가능함.
- 바로 개발 투입 가능한 신입이다...생각하고 채용하면 나쁘지 않을 듯. post 선한빛??
78. 내 서류 평가 의견
| 경력 (2.8) - 학사 - 3.35/4.5 - 미해당 희망 3400 - 직전 3120 - 충북 진천 거주 전산 전공 아님 (통계학). 전산 과목 수강 이력은 프로그래밍2 B. 디엘정보기술 (2.8) 기존 회사의 업무 수행 방식 (강제/비상식) 이 싫어서 이직 결심 C#/DevExpress/MSSQL 개발 경험 있음 java 관련 960 시간 교육 수강 3년 공무원 준비하다가 개발자로 진로 변경 개발자에 대한 강력한 의지(절실함)는 느껴지지 않음 신입이다 생각하고 교육한다면 나쁘지 않을 듯 함. java spring 개발 경험 있음 1 -> 1 (신입이다 생각하면 괜찮을 듯. 문제 풀이 능력이 아쉽다고 생각됨) |
79. 질의 응답
| 질문 | 답변 |
|---|---|
| 이직의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 이유를 우리 회사가 만족시켜줄 수 있나요? | 지인을 통해 회사를 알게 됐음 복지가 좋고 업무 강도가 쎄다고 들었음. 일이 많다기 보다 배울게 많다고 들었음 |
| 통계학을 하다가 왜 개발자가 되었나? | 발표에서 말함 수업 중 프로그래밍 과목이 있었는데 흥미가 있어서 개발 관련 교육을 수강하고 현재 회사에 입사했음 |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재미있나? 행복한가? 왜 그런가? |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 결과물이 바로 나온다는 것. 문제 해결할 때의 희열. |
| 본인이 생활을 하면서 필요에 의해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경험이 있나? 과제한 것 말고... | Chatbot |
| RPA + Chatbot 개발 기간 2달. 수작업으로 메일을 처리하는 시간이 훨씬 적게 걸리지 않았을까? | 시간 절약보다는 재미있어보여서 했음 |
| 본인이 정의하는 꼼꼼함이란 어떤 수준인가? | 모든 기능을 일일이 수동으로 체크 |
| 본인이 생각하는 유지보수 업무의 장단점이 무엇인가? | 장점 - 레거시 코드 이해/해석하는 능력. 문제 대응 능력 (순발력) 단점 - 고객들을 상대해야 하기 때문에 을의 입장에서 감정적인 문제 대처 어려움 |
회사생활을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급하게 업무에 투입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본인이 참을 수 있는 수준은 어디까지인가? 현재 회사에서 느낀 부당함. 그것 대비 본인이 참을 수 있는 수준이란? | 야근/주말 출근에 대한 것이 아니었음 AI 팀이 신규 생성됐는데 전문가 없이 7명으로 구성됐음. 경력 2, 신입 5명 거기에 갑자기 사전 언지 없이 본인 또래 직업 3명이 긴급 투입됐음. 더군다나 PL 을 맡으라고 했음. 잘 마무리되지 않을 프로젝트에 설거지 하러 간 느낌 |
| MSSQL 에서 DB 를 생성하면 어떤 파일이 물리적으로 생성되나? 파일의 역할은 무엇인가? | mdf, ldf 파일 |
| MSSQL 사용 시, 인덱스 설정, Stored Procedure, View, Backup/Restore 를 사용한 경험이 있나? | 인덱스 설정해봤음. 개념 알고 있음. |
| 코드 작성 시, 본인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이 있다면? 3개 정도 말해 달라. | |
| Visual Studio 에서 본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 5개 정도 말해 달라. | VS 2019 컨트롤 K+F 컨트롤 D+Q, 함수 바로 실행 및 결과 확인 F5, F6 등등 |
| 상속 개념을 적용해서 구현해 본 적이 있나? | 해 본 경험 있음 |
| 인터페이스와 추상클래스의 차이가 무엇가요? 각각 어떤 경우에 사용해야 하나요? | 추상클래스 개념 잘 알고 있음, 인터페이스도 어느정도... |
|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사용해봤던 경험이 있나요? 어떤 경우에 사용했나요? | 오버라이딩 - 재정의 오버로딩 - 동일 메소드, 파라미터 다르게 |
| Cross Thread Exception 이 무엇인가? 어떤 경우에 발생하나? 어떻게 해결할 수 있나? | 경험해 본 적 없음 |
| 2차 코딩 시험 소요 시간? | 6시간 정도 |
| 아쉬운 점은? | TLE 뿐 아니라 다른 파일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를 제대로 하지 못한 부분 |
| 메시지박스? | 이후 처리가 안될 것임. 인지하고 있음 |
| 동시에 다수개의 과제를 수행한 경험이 있나? 몇 개까지 동시에 수행했었나? | |
| 대전은 인구 150만이 사는 곳입니다. 대전에 대략 몇 개의 주유소가 있을까요? | 10,000개 정도 한 주유소에 고객 100명 정도라고 생각 → 너무 단순한 접근 |
| 과거에 수행했던 프로젝트 (신입의 경우, 팀 과제) 에서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 해 주세요. 그 어려움을 어떻게 이겨냈고 본인에게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이야기 해 주세요. | |
| 직장 생활에서 행복함을 느꼈던 적이 있었나요? 있었다면 그 경험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팀장님과 일을 같이 하는것이 행복했음 현재는 팀장의 손을 떠나서 작업을 하고 있음 |
| 대전에서 생활을 하게 된다면 집을 구해야 하나? 아니면 출퇴근? | 집을 구해야 함 |
| 전공자들을 따라잡기 위한 본인만의 노력은? | 대답 못함 기술서적은 보고 있음 클린코드 서적 보고 있음 → 간결하고 쉽고 타인이 이해할 수 있고...라고 생각함 |
| Server/Client 구조로 프로그래밍을 해 본 경험이 있나? Socket 을 이용해 본 적 있나? | 경험 없음 |
| 그림판 개발 소요 시간은? | 5시간 → 현실감 전혀 없음. 선 긋는 것만 말한거라고 함 그림판 모든 기능 구현하는데 5일 → 역시 현실감 떨어짐 |
| 입사 가능 시점은? | 7월말이나 8월초 다른 팀에 인수인계 중이기도 하고 현재 여유가 있는 상태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