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 답변 |
|---|---|
수습은 잘 종료했나? 단위 작업의 목적은 잘 달성했다고 말한 것 같은데, 그를 통해 수습 기간 동안 본인에게 조직이 기대한 바가 잘 달성되었다고 생각하나요? 본인 스스로는 수습 기간 동안 조직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 것과 업무 수행을 위해 스스로 갖춰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 잘 찾았나요? | 질문하지 않았음 |
| 프로그래밍 수준을 0~10 점으로 부여한다면 입사초기와 현재가 각각 몇 점이라고 생각하나요? 그 근거는? | 초기 - 1,2 점 현재 - 3, 4점 |
| 프로그래밍 수준을 몇 점까지 가야한다고 생각하나요? 가기 위한 방안은? | 7,8 점 SW code 구조 파악 → 그림 그리기 전체 개요 파악하기 문제 원인이 되는 클래스 파악하는 능력 키우기 |
GK2 FDS 기존 코드를 모두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되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일부 문법은 찾아보더라도...) 동작 흐름을 이해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 이해 가능한 수준이 되었음 |
| PR 을 사용한 경험이 있나? 지금까지 몇 회정도 PR 을 생성했나? | 질문하지 않았음 |
| 코드 리뷰를 통해 받은 코멘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코멘트는? | 질문하지 않았음 |
Estimate Maneuver 옵션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까지 파악을 했나요? 파악을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해결됐으니 끝! 이 아니라 왜! 해결된 것인지 파악을 하려는 노력은 필요합니다. 현재의 찝찝함이 나중에 어마어마한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음. | 파악했음. |
| GK2 에서 GK 는 무엇의 약자인가? 자신만의 용어집을 갖고 있는가? 개인 용어집은 필요함. 꾸준히 관리해 주기를 바람. | 있지만 부실함. 3월 3일이 마지막 업데이트 |
| 다른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업무 산출물을 만드려면 어떤 측면을 신경써야 할까요? |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내 의견 전달해주고 마무리 했음 |
| 문제점을 명확하게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통찰력을 기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구체적인 계획을 알려주세요. |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내 의견 전달해주고 마무리 했음 |
| 질문 | 답변 |
|---|---|
회사 입장에서 수습의 목적은 잘 달성되었다고 생각하나? (추후 팀장이 의견을 전달할 것임...) 본인 입장에서 수습의 목적은 잘 달성되었나? | 도메인 지식에 아직 약함이 느껴짐. 어떻게 개선. 방법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다가가야 하는지 파악했음. |
말할 때, 용어 선택에 대해서 스스로 신중하려고 하는 것이 느껴짐. 그렇다고 의사소통의 흐름이 끊기지도 않음. 의사소통에 있어서 좋은 자세라고 생각함. | 언급하지 않았음. 팀장에게 구두로 전달해 주면 된다고 생각했음. |
| 성능 개선 시, 수행 전/후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비교했나?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함. | 비교했음 그를 통해 True Data 라고 믿었던 것이 True Data 가 아님을 발견하여 이슈 해결 중임 |
| 자신만의 용어집을 갖고 있는가? 개인 용어집은 필요함. 꾸준히 관리해 주기를 바람. | 최근에 시작함 |
| 우리 회사에 적용했으면 좋을 것 같은 개발 문화가 있다면? | 우리 회사는 JIRA Issue 를 기준으로 작업을 진행함 이전 회사에서는 JIRA Issue 를 더 세밀하게 구분해서 진행함. 작업 계획에 대해서 참여하는 팀원들이 같이 리뷰하고 결정함. → 좋은 의견이라고 생각함. 하지만 수주 기반, 과제 기반인 우리 회사에서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