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10311 김선주 - ESGS 이해 내용 발표

기능 및 필요 데이터

  • 기능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었나? 데이터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었나?
    • 지금은 두 내용이 적당히 혼재되어 있는데 그것으로 인해서 어떤 흐름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요점을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면이 있음
    • 차라리 각 기능 별로 설명을 작성하고 그 기능을 수행하는 흐름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서 데이터 흐름을 표기했다면 전달력도 향상되고 본인이 나중에 활용하기에도 좋은 자료가 됐을 것이라 생각함
    • 애니메이션을 구분했다면 번호를 흐름에 번호를 붙여서 흐름을 설명하기 더 편했을거라 생각함
  • L0 Product 처리에서 나오는 산출물이 Image Product? Image Catalog 만 생성하는 것 아닌가?
  • Image Catalog 와 카탈로그는 다른 것인가?
    • 발표 자료 내에서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함 


Task Analysis 이해

  • Operator 의 권한의 경우, 포함관계가 있는 것인가? 예를 들면 Supervisor 는 Operator 가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ESGS MCS & UIS AT/ET 수행

  • 절차서만 가지고 혼자서 테스트 수행 가능했나?
    • 스크립트 수행과 관련해서 문제 있었을 때, 김나래 과장의 도움을 받아서 진행할 수 있었음
  • ET 21 개를 직접 작성한 것?
  • ET 선정 기준은? 예를 들면, 데이터 누락 시를 확인, invalid 한 입력 처리 확인, 네트워크 불안정 상태 확인, 동일 데이터 중복 전송 확인 등
  • 선정한 모든 ET 를 수행할 수는 없었을 것임. 중요도는 어떻게 산정?
  • 왜 ET 21 개 중 1개만 success 일까? 혹시, ET 에 대한 success 개수를 늘리기 위해서 개발자에게 어떤 지침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해봤나?


지난 발표 검토의견 피드백


의사소통 기술

  • 질문에 대한 핵심을 답변하는 능력을 향상해야 함
    • AT 가 각 subsystem 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모두 커버하나요? → 일단, yes/no 언급하고 부연 설명을 하는 연습을 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