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일시/장소
- 2021-01-19 14:00 ~ 15:00 @위성정보활용동 of KARI
10. 참석자
- KARI: 전갑호, 김민아, 전정남
- SI: 최재승, 한재중
- G3: 서혁민, 남1
11. 회의 내용
| 안건 | 논의내용 |
|---|---|
| 인증사용자와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차이 | User Side 에서 API 를 쓸 수 있는 환경정도로 이해하면 됨 빅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용어는 수정 필요 → "API 사용자" 로 변경하기로 함 (호) 빅데이터서비스의 경우, DSS 에 속하는 개념임 |
| SGR 생성 기준은? | DAS 로 들어오는 모든 신규 영상에 대해서 수행 (재처리를 수행하여 생성된 영상은 제외) |
| 재처리 프로세스 | (호) DAS 는 모든 제품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것임. 오래된 영상은 삭제될 수 있음 |
(호) USS 와 DSS 는 같은 망 안에 존재할 것임. 적어도 DSS 와 인터페이스할 USS 구성요소는 같은 망에 들어가야함. USB 는 필요하지 않을 것임 | |
(호) DSS 에는 데이터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음. 그래서 DAS 에서 DSS 로 모든 product 를 전달한다는 것은 고려하지 않았음 (최) 착수보고 회의 때, DSS 에서 즉시 product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언급이 있었기 때문에 넣은 개념음 (호) 관련해서는 기관 사용자가 DSS 를 이용하지 않고 데이터를 가져가는 것을 의미했음 (호) 보안성 검토 시에 제품을 외부 망에 놓을 수 있도록 하려 했음. 결과는?? → 제대로 언급하지 않았음. 사용자 입장에서는 망영계더라도 5~10분은 버틸 수 있지 않을까 싶음 (호) raw 데이터는 망연계 환경 안쪽. product 는 망연계 바깥쪽에 둘 수 있음. DAS 가 망연계 안쪽/바깥쪽에 모두 위치해야 할 수 있음 (호) product 를 관리하는 기능은 DAS 의 역할이라고 생각함. 망연계 환경에서 내/외부에 분리될 수 있다고 생각함 (서) DSS 입장에서는 product 저장 용량을 고려해야 함 (호) DAS 는 Tape Lib 를 관리하는 기능까지 포함해야 함 (호) DSS 에서 무언가를 관리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함. DSS 에서 DAS 로 요청해야 하고 요청의 결과물에 대해서만 DSS 는 배포를 위한 관리를 해야 함 결론: DAS 에서 DSS 로 product 밀어넣는 것은 제외 | |
(호) DAS 는 카탈로그에 대해서도 재구성을 해서 접근 권한을 설정해서 DSS 로 전달해야 함 (최) 그 기능은 DSS 에서 수행하는 작업임 (서) 요구사항 상 DSS 에서 수행하는 것이 맞음 | |
(호) DAS 입장에서는 Catalog 에 대해 product 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DSS 로 전달해야 함 (최) DAS 에서 데이터를 지울 필요가 없음. DSS 입장에서는 Catalog 에 대한 Tile 영상을 갖고 있다면 영상 제품이 있다고 간주할 수 있음 (호) DAS 에 product 가 등록되지 않은 영상이 있을 수 있음. Catalog 는 존재하지만. DAS 에서 catalog 에 대한 product 가 있는지 없는지는 꾸준히 DSS 로 전달해야 함 (최) 아리랑과 DSS 의 catalog 수는 같은가? (호/서) 아리랑보다 북한지역 영상 정보가 추가로 있을 것임 | |
(서) CMS 에서 catalog 100건 전달. DAS 는 80개 product 갖고 있음. DSS 에 그 정보 전달 필요. DSS 는 100건에 대해 검색 가능. 배포요청 시에 배포가 즉시 가능한지, AO 를 내야 하는가? (호) 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