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01222 E2 항목 부문 성과 목표 수립
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12월 23, 2020
부문/실 성과 목표 후보
| 항목 | 세부내용 | 부문목표? 실목표? | 비고 |
|---|
| 신입 리더들의 Soft Landing | - 그냥 전반적인 안정화? (신임 실장/팀장의 안정적인 Landing)
| 실목표 | |
|---|
| 역할 기반 로드맵 | - 부문의 사람들이 갈 수 있는 역할 기반 로드맵 정의
- 현재 각자가 어디에 있는지, 어떤 역할을 수행 가능한 지 파악
- 각 개인의 기대 역할 수립 가능
- 부문에서 필요한 역할 별 필요/적정/최소 인원 정의 가능

| 실목표 | 역량 지표와 관계성 고민 필요 |
|---|
| 역량 지표 수립 및 달성 | - 적격성 평가 역량 항목 선정 및 측정 방법, 현재 수준 및 필요 수준 정의?
- 그를 기반으로 필요한 역량 수준 달성을 위해 노력?
- 우리만의 Index 가 필요? 다른 곳에도 내세울수 있을만한(공인된?) Index 가 필요?
- 역량 점수는 주기적(분기/반기)으로 업데이트 필요
| 부문목표 | 로드맵과 관계성 고민 필요 |
|---|
| 교육 | - Informal Learning 문화 정착
- 부문 SNS/Blog 에 글 작성하기
- 개인 Blog 에 글 작성하기
- 작성 포인트 등을 통해 보상을 줌으로써 적극적인 참여 유도
- Formal Learning 커리큘럼 확보
| 부문목표 |
|
|---|
| 자산 축적 | - 공통모듈 품질 고도화 (사용성 증가 및 모듈 유효성 관리)
- 양적 증진
- 언어 별 동일 기능 수행 모듈 추가
- 공통모듈 후보 적극 발굴 및 등록
- 질적 증진
- 언어 별 동일 기능 수행 모듈 통합 관리
- 오류로 인해 한쪽이 수정되면 다른 쪽도 반영이 될 수 있도록
- 공통모듈 활용 고도화
- 공통모듈 활용 상황 대시보드를 통해 사용 현황 시각화
- 공통모듈에 어떤 모듈이 있는지 시각화, 구조화
| 실목표 |
|
|---|
2021년 부문 성과 목표
기존
| 구분 | 부문전략과제 | 구체적 목표 / 부연설명 | KPI |
|---|
| E 내부 역량 | E.2 개발 리더 양성 | 분야 별 리더 양성을 위한 공격적 교육(OJT) 수행 및 자격 획득 - S/W 아키텍쳐, UI 디자인, 테스터 엔지니어링, 테스팅 (적격성 기준) | - 교육 수행의 충실도(30%) 및 대상의 만족도(30%)
- 자격증 획득 (40%)
TOPCIT 취득(700점 이상) : 5명 DAsP(Data Architect semi-Professional)취득: 1명 DAP(Data Architect Professional) 취득: 1명 SQLP(SQL Developer Professional) 취득: 5명 AWS 기초 수준: 3명 AWS 어소시에이트 수준: 3명 UI 디자인 자격증? 테스트 엔지니어링 / 테스팅 자격증? → TBD (적격성 기준)
|
제안
| 구분 | 부문전략과제 | 구체적 목표 / 부연설명 | KPI |
|---|
| E 내부 역량 | E.2 적격성 기반 역량 지표 수립 및 달성 | - 부문 필요 역량 달성을 위한 교육/학습 수행
- ~3월
- 현재 관리되고 있는 적격성 평가 항목을 기반으로 실제 활용 가능한 역량 항목 선정 및 항목 별 등급 부여 방법 수립
- 등급을 기반으로 개인/팀/실 차원의 역량 점수 확인 및 올해 목표 역량 점수 설정
- ~4월
- 목표 역량 점수 달성/유지를 위한 (Informal, Formal) 교육/학습 방안 결정
- ~11월
| - 수립한 역량 항목 및 측정 방법의 타당성 (30%)
- 교육/학습 수행의 충실도 (20%) 및 대상의 만족도 (20%)
- 부문(실) 목표 역량 점수 달성 여부 (30%)
|
최종
| 구분 | 부문전략과제 | 구체적 목표 / 부연설명 | KPI |
|---|
| E 내부 역량 | E.2 체계적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 | - 적격성 기반 역량 지표 수립 및 달성
- 실제 활용 가능한 역량항목 선정 및 등급 부여 방법 수립
- 현 역량 확인 및 역량 달성 목표 설정
- (Informal, Formal) 교육/학습 수행을 통한 목표 역량 점수 달성
| - 수립한 역량 항목 및 측정 방법의 타당성 및 현실성(30%)
- 교육/학습 수행의 충실도 및 대상의 만족도 (40%)
- 실 목표 역량 점수 달성 여부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