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01214 팀 성과 목표 에세이 샘플 작성

본 에세이 문서에서는 2020년 전사 성과 목표를 기반으로 작성된 지상사업부문 엔지니어링 실 성과 목표를 기반으로 팀으로서 달성해야 할 목표에 대해 정리한다.


엔지니어링 실에서는 위성 지상체의 활용률 극대화를 위해 AWS GS 에 대한 조사 및 활용 방안 분석을 성과목표로 잡고 있다.

우리 팀은 지상체 중 IRPS 를 담당하는 팀으로서 수신소가 AWS GS 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서  AWS GS 사용 방법, 사용 비용 등에 대한 조사 및 시험 사용을 수행하겠다.

그를 통해 기존 안테나 시스템을 대체해서 지상국을 운영하는데 문제점은 없는지 파악하고 변경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겠다.

수행한 결과는 지상체 사업에 있어서 고객에게 선택가능한 옵션을 다양화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우리 조직의 지상국 관련 역량이 증진(기존 틀 깨기, 변화에 유연한 구조 고려)될 것을 기대한다. 


사업 수행에 있어서 성공적인 수행은 우리 사업부의 기본적인 목표이다. 따라서 해당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팀으로서도 당연하다고 판단한다.

  1. 우리 팀에서는 선임연구원 직급 이상에 해당하는 팀원들이 PL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겠다.
    정진호/유재철/전유길 선임연구원이 과제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팀장으로서 가이드를 하겠다. 또한 각 관련자들이 서로의 고민을 공유하고 더 나은 방법을 시도할 수 있도록 정보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겠다.
    결과적으로 각 과제 참여자들이 과제가 원활하게 진행됐다고 느끼도록 하겠다.
  2. 전임연구원 직급 이하에 해당하는 팀원들은 작업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겠다. 여기에서 품질이란 일정을 포함한다.
    매주 팀회의를 통해 A 이하의 평가를 받은 항목에 대해서 함께 리뷰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
    이를 통해 각 팀원들이 각자의 작업에 대해서 책임감을 갖게 될 것을 기대한다.

위의 목표를 달성하게 되면 PL 중심의 사업 수행 및 No-Penalty, No-Delay, 고객/이해관계자 만족 이라는 부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실 목표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아서 부문 목표 언급)


과거를 잘 돌아볼 수 있어야 현재를 제대로 살아갈 수 있고 더 나은 미래를 그려볼 수 있다. 그를 위해서 시행착오 공유를 위한 회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

공유회의 2주 전에 유지보수를 수행했던 팀원들이 각자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점검 및 가이드하겠다. 또한, 팀회의 시간에 팀 안에서 같이 논의할 수 있는 유지보수 경험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겠다. 

그를 통해 사업부 내에서 같은 이슈로 문제를 겪는 상황이 반복되지 않을 것을 기대한다.


현재 우리 조직은 어쩔 수 없이 저성과자가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렇다하더라도 저성과자를 방치한다면 개인적으로도 조직적으로도 Risk 를 안고 가게 될 것이다.

그를 방지하기 위해 작년 저성과자(점수/피드백 안 좋은 사람) 및 상반기 저성과(상반기 점수/피드백 안 좋은 사람)자를 식별하여 그에 맞는 관리/모니터링을 수행하겠다.

수행 중 문제가 됐었던 부분이 해결되는 시점부터 1개월을 모니터링 하여 문제 없는 상황이 지속되면 관리를 종료하겠다.

이를 통해 팀원들이 참여하는 각 과제의 품질/인터페이스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을 기대한다.


올 한 해 위의 목표들을 달성한다면 지상체를 개발하는 팀으로서 보다 나은 지상체를 그려볼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될 것이다. 기존 틀에만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지식이 생기게 되고 적용해 볼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될 것이다.

또한 능력적인 측면에서 조직이 믿고 과제를 맡길 수 있는 팀이 될 것이다. 그 가운데 팀원간의 꾸준한 인터페이스와 관심을 통해 혼자만 잘 나가는 것이 아니라 팀원 상호 간에 역량이 증진된 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