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문서 검토 -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7월 18, 2019
- 문서 명: 1.정보시스템_감리_수행_가이드 (v2.0-2013.8).pdf
| 페이지 | 주요 내용 |
|---|
| 8 | - 예비조사 필요 문서
- 사업관리문서(RFP, 제안서, 계약서, 사업수행계획서, WBS, 회의록, 주/월간보고자료, 쟁점관리대장 등 사업관리를 위해 작성된 문서)
- 산출물(요구사항정의서, 분석문서, 설계문서 등 적용 방법론에 따라 단계별로 제출하는 결과물)
|
| 10 | |
| 28 | - 감리대상사업의 사업비가 20억원(VAT 포함) 이하이거나 사업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 요구정의단계의 감리를 생략할 수 있다.
- 이 경우 발주자는 요구사항정의서의 과업내용 반영여부 등을 직접 점검하여야 한다. (감리기준 제3조제1항후문)
|
| 28 | - 감리는 과업대비표를 발주자의 확인을 거쳐 접수
|
| 28 | - 요구사항은 개별적으로 설계 적정성과 과업이행 여부 확인이 가능하여야 하고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
| 28 | - 요구정의단계에는 「소프트웨어사업 관리감독에 관한 일반기준」 별표의 기준보다 보완되고 구체화된 형태
|
| 28 | - 요구사항은 작성품질은 완전성, 정확성, 검증가능성, 추적성을 필수조건으로 준수
|
| 41 | - 요구사항 명세서(마치 분석서의 느낌임...정의서/명세서/분석서...그 차이는?? 용어 통일했으면 좋겠음)에서 아래와 같이 구체적인 내용들을 어떻게 기술하나? 작성 가이드나 샘플을 보여주면 좋을 듯 함
- 세부검사항목이란 요구사항을 검사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화한 것으로 검사대상이 되는 항목을 의미한다.
- 기능 요구사항의 경우에는 화면과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비기능 요구사항은 도입장비나 요구사항의 이행결과를 기록한 산출물로 구체화 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