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프로세스 상 질문질문 목적 및 도출 필요 항목
요구사항 분석현행 업무를 충분히 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적정한 해결방안을 제시되었나?
  1. 업무 처리 개선 필요 사항
  2. 문제 원인, 영향 및 해결 방안 도출
  3. 시스템의 상위 수준 요구사항과 해결 방안 간 연관성
  4. 시스템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제약 사항 도출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및 분석의 충분석, 적성성(요구사항이 적절한가?)
  1. 요구사항 도출 방법 및 절차
  2. 이해 관계자의 참여 및 확인
  3. 기능/비기능 요구사항의 적정성 및 명확성
  4.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및 인터페이스
  5. 사용자의 활용성, 시스템의 효과성

시스템 기능에 대한 유스케이스 모형 상세화 수준 및 적정성
  1. 기능 요구사항과의 충분석, 추적성
  2. 상호 연동되는 외부 시스템, 시스템 간 상호작용 식별

유스케이스로부터 개념 수준의 분석 클래스를 충분히 도출하였는가?
  1. 각 클래스 간의 관계, 연산, 메시지 흐름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이핑 계획을 적정하게 수립되었는가?
  1. UI 프로토타입 대상 업무 선정 적정성
  2. 프로토타이핑 일정, 범위, 평가 계획 적정성
​설계 단계개발 대상 시스템의 업무영역이 충분히 분석되었는가?
  1. 주요 업무 식별 및 업무 우선순위 선정
  2. 업무 수행자와 업무 간의 상호작용
  3. 업무의 흐름
  4. 법제도 정비 등 위험요인 도출 및 해결방안

요구사항과 업무분석을 충분히 반영하여 누락된 기능이 없도록 유스케이스 모형을 정제하여 실체화 하였는가?
  1. 유스케이스 정의, 역할, 엑터 목록 누락여부
  2. 유스케이스 시나리오, 이벤트 흐름(기본, 예외) 적정성
  3. 변경, 확장, 유지보수의 용이성 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이핑이 계획에 따라 적정하게 실시되고, 결과가 충분히 검토/반영되었는가?
  1. 화면설계 항목 식별 충분성
  2. 프로토타이핑 결과의 사용자 검토 및 결과 반영 충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과 유스케이스 모형을 기반으로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식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흐름을 적절히 설계하였는가?
  1. 사용자 입출력 화면 구성요소, 메시지 도출 충분성
  2. 업무 흐름에 따른 화면간의 제어흐름 설계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보고서 양식을 충분히 상세하고 일관성 있게 설계하였는가?
  1. 공통/개별 화면 및 보고서 레이아웃 설계
  2. 화면 및 보고서 양식 설계의 적정성, 편의성, 일관성

유스케이스로부터 분석 클래스가 충분히 도출되고 상세화 되었는가?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클래스의 충분성 및 상세화 수준
  2. 제어 클래스의 충분성 및 상세화 수준
  3. 각 클래스 간의 관계, 연산, 메시지 흐름 정의

설계된 클래스가 구현 가능한 수준으로 충분히 상세화 되었는가?
  1. 유스케이스, 분석 클래스 간의 추적성
  2. 시스템 수준의 객체 식별
  3. 클래스의 도출의 충분성
  4. 클래스 정의, 속성/연산, 역할 명세의 상세화 수준
  5. 클래스간 관계 명세의 적정성
  6. 구현 언어 및 기술 특징의 반영

내/외부 시스템과의 연계에 대한 분석/설계가 이루어졌는가?
  1. 연계 대상시스템 및 데이터 식별
  2. 연계의 기술 방식 선정
  3. 연계 주기, 방법

사용자 접근통제 및 보안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설계에 반영되었는가?
  1. 사용자 별/그룹 별/업무 별 접근권한, 감사기능
  2. 요구사항 및 보안정책 대비 보안기술 적용 검토

컴포넌트 구현 기술의 특징을 반영하여 컴포넌트 내부 구조를 정제하였는가?
  1. 필요한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 도출 충분성
  2. 지속성 설계 적정성
  3. 컴포넌트 설계의 개발 가능 수준 여부

컴포넌트 구현/도입 여부와 공통 컴포넌트 식별을 위한 공통성과 가변성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 졌는가?
  1. 초기 시스템 아키텍처 대비 재사용 컴포넌트의 선정기준 및 후보 선정 적정성
  2. 후보 컴포넌트와 업무 간의 차이 분석
  3. 공통 컴포넌트의 식별

구현 또는 도입할 컴포넌트를 구체적으로 명세하였는가?
  1. 요구된 기능과 컴포넌트 간의 추적성 확보
  2. 공통 컴포넌트의 명세
  3. 컴포넌트 정의, 인터페이스, 관련성

시스템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도입하였는가?
  1. 컴포넌트 도입 전략
  2. 도입한 컴포넌트와 컴포넌트 명세 간의 일치성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고려하여 컴포넌트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컴포넌트가 적절히 구조화 되었는가?
  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컴포넌트 아키텍처의 일관성
  2. 컴포넌트 간의 관계

구현되는 컴포넌트의 완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단위시험 계획이 적정하게 수립되었는가?
  1. 시험 시나리오, 데이터, 시험환경의 적정성
  2. 예외상황 및 구현 기능의 완전성 확인 가능 여부
종료 단계업무 기능 구현의 충분성, 완전성
  • 요구사항/유스케이스 대비 구현된 기능의 충분성
  • 업무 흐름에 따른 기능 흐름
  • 구현된 기능의 완전성

UI 편의성
  • 사용자 이해, 학습 용이성, 사용 편의성
  • 사용자 오류 방지

내/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 구현 충분성, 완전성
  • 연계 시스템의 기능 구현 충분성, 완전성
  • 연계 데이터, 주기, 방식 구현의 적정성

접근 권한 및 통제 기능을 정확하게 구현했는지 여부
  • 사용자 별/ 그룹 별/ 업무 별 접근 권한, 감사 기능
  • 요구사항 및 보안 정책 대비 보안 기술 적용

단위 시험 실시 여부
  • 컴포넌트 개별 기능의 완전성
  • 예외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반영
  • 업무 규칙 대비 사용자 입출력 데이터의 정확성
  • 시험 결과에 따른 오류 개선 및 시험 결과 정리

통합 시험 계획의 적정성
  •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 완전성
  • 시험 환경, 절차, 시나리오, 데이터
항목내용결과/답변
​내 역할응용 시스템 감리 담당자​

요구정의 단계 확인 사항

http://sigma:9091/pages/viewpage.action?pageId=28549125#id-5.%EA%B0%90%EB%A6%AC%ED%94%84%EB%A1%9C%EC%84%B8%EC%8A%A4(%EC%9A%94%EA%B5%AC%EC%A0%95%EC%9D%98%EB%8B%A8%EA%B3%84)-%EC%A0%90%EA%B2%80%EB%8C%80%EC%83%81

요구사항 정의서 확인

  • 사업 수행 계획서와 추적 가능해야 함
  • 사업 수행 계획서와 요구사항 정의서는 1:N 관계일 수 있음
  • 요구사항 항목 간 중복되지 않아야 함
  • 기능/품질 요구사항의 완전성/정확성 확인
  • 기능 요구사항은 검증 가능성 확인 (재중 생각)
  • 품질 요구사항은 추적이 가능한지 확인 (재중 생각)


대비표 확인

  • 요구사항 별로 개발 단계 별 산출물을 확인 할 수 있는지 검토
  • 현재 값이 있지는 않더라도 확인할 계획인지(관련 컬럼 등이 존재하는지) 검토


유스케이스 모형 기술서 확인

  • 요구사항 하나 당 유스케이스 하나가 생성되었는가? → 그렇지 않다면 요구사항 분리 요청(질문)


사용자 이터페이스 프로토타이핑 계획서

  • 프로토타이핑 할 항목이 식별되었으며 관련 계획이 수립 되었는가?

설계 단계 확인 사항

http://sigma:9091/pages/viewpage.action?pageId=28549155

  • 외부 시스템, 액터, 내부 시스템의 역할이 분명하게 식별되었는가?


  • 내부 시스템의 업무 영역이 명확하게 식별되었는가?


  • 요구사항으로부터 유스케이스가 충분히 식별되었는가?


  • 내부/외부 인터페이스 항목이 명확하게 식별되었는가? 형식 정의 및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 정의되었는가?


  •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혼란의 여지가 존재하는가? 통일성 없는 GUI 가 있는가?


  • 컴포넌트가 충분히 식별되었고 COTS, 구현 항목을 결정했는가? 기준에 따라 분류되었는가?


  • 각 컴포넌트의 완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단위시험 계획이 수립되었는가?


  • 수립된 컴포넌트가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하는가?

종료 단계 확인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