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계 | 프로세스 상 질문 | 질문 목적 및 도출 필요 항목 |
|---|
| 요구사항 분석 | 현행 업무를 충분히 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적정한 해결방안을 제시되었나? | - 업무 처리 개선 필요 사항
- 문제 원인, 영향 및 해결 방안 도출
- 시스템의 상위 수준 요구사항과 해결 방안 간 연관성
- 시스템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제약 사항 도출
|
|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및 분석의 충분석, 적성성(요구사항이 적절한가?) | - 요구사항 도출 방법 및 절차
- 이해 관계자의 참여 및 확인
- 기능/비기능 요구사항의 적정성 및 명확성
-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및 인터페이스
- 사용자의 활용성, 시스템의 효과성
|
| 시스템 기능에 대한 유스케이스 모형 상세화 수준 및 적정성 | - 기능 요구사항과의 충분석, 추적성
- 상호 연동되는 외부 시스템, 시스템 간 상호작용 식별
|
| 유스케이스로부터 개념 수준의 분석 클래스를 충분히 도출하였는가? | - 각 클래스 간의 관계, 연산, 메시지 흐름
|
|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이핑 계획을 적정하게 수립되었는가? | - UI 프로토타입 대상 업무 선정 적정성
- 프로토타이핑 일정, 범위, 평가 계획 적정성
|
| 설계 단계 | 개발 대상 시스템의 업무영역이 충분히 분석되었는가? | - 주요 업무 식별 및 업무 우선순위 선정
- 업무 수행자와 업무 간의 상호작용
- 업무의 흐름
- 법제도 정비 등 위험요인 도출 및 해결방안
|
| 요구사항과 업무분석을 충분히 반영하여 누락된 기능이 없도록 유스케이스 모형을 정제하여 실체화 하였는가? | - 유스케이스 정의, 역할, 엑터 목록 누락여부
- 유스케이스 시나리오, 이벤트 흐름(기본, 예외) 적정성
- 변경, 확장, 유지보수의 용이성 확보
|
|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이핑이 계획에 따라 적정하게 실시되고, 결과가 충분히 검토/반영되었는가? | - 화면설계 항목 식별 충분성
- 프로토타이핑 결과의 사용자 검토 및 결과 반영 충분성
|
|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타입과 유스케이스 모형을 기반으로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명확히 식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흐름을 적절히 설계하였는가? | - 사용자 입출력 화면 구성요소, 메시지 도출 충분성
- 업무 흐름에 따른 화면간의 제어흐름 설계
|
|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보고서 양식을 충분히 상세하고 일관성 있게 설계하였는가? | - 공통/개별 화면 및 보고서 레이아웃 설계
- 화면 및 보고서 양식 설계의 적정성, 편의성, 일관성
|
| 유스케이스로부터 분석 클래스가 충분히 도출되고 상세화 되었는가? |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클래스의 충분성 및 상세화 수준
- 제어 클래스의 충분성 및 상세화 수준
- 각 클래스 간의 관계, 연산, 메시지 흐름 정의
|
| 설계된 클래스가 구현 가능한 수준으로 충분히 상세화 되었는가? | - 유스케이스, 분석 클래스 간의 추적성
- 시스템 수준의 객체 식별
- 클래스의 도출의 충분성
- 클래스 정의, 속성/연산, 역할 명세의 상세화 수준
- 클래스간 관계 명세의 적정성
- 구현 언어 및 기술 특징의 반영
|
| 내/외부 시스템과의 연계에 대한 분석/설계가 이루어졌는가? | - 연계 대상시스템 및 데이터 식별
- 연계의 기술 방식 선정
- 연계 주기, 방법
|
| 사용자 접근통제 및 보안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고, 설계에 반영되었는가? | - 사용자 별/그룹 별/업무 별 접근권한, 감사기능
- 요구사항 및 보안정책 대비 보안기술 적용 검토
|
| 컴포넌트 구현 기술의 특징을 반영하여 컴포넌트 내부 구조를 정제하였는가? | - 필요한 클래스 및 인터페이스 도출 충분성
- 지속성 설계 적정성
- 컴포넌트 설계의 개발 가능 수준 여부
|
| 컴포넌트 구현/도입 여부와 공통 컴포넌트 식별을 위한 공통성과 가변성 분석이 충분히 이루어 졌는가? | - 초기 시스템 아키텍처 대비 재사용 컴포넌트의 선정기준 및 후보 선정 적정성
- 후보 컴포넌트와 업무 간의 차이 분석
- 공통 컴포넌트의 식별
|
| 구현 또는 도입할 컴포넌트를 구체적으로 명세하였는가? | - 요구된 기능과 컴포넌트 간의 추적성 확보
- 공통 컴포넌트의 명세
- 컴포넌트 정의, 인터페이스, 관련성
|
| 시스템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도입하였는가? | - 컴포넌트 도입 전략
- 도입한 컴포넌트와 컴포넌트 명세 간의 일치성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고려하여 컴포넌트 아키텍처를 정의하고, 컴포넌트가 적절히 구조화 되었는가? |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 컴포넌트 아키텍처의 일관성
- 컴포넌트 간의 관계
|
| 구현되는 컴포넌트의 완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단위시험 계획이 적정하게 수립되었는가? | - 시험 시나리오, 데이터, 시험환경의 적정성
- 예외상황 및 구현 기능의 완전성 확인 가능 여부
|
| 종료 단계 | 업무 기능 구현의 충분성, 완전성 | - 요구사항/유스케이스 대비 구현된 기능의 충분성
- 업무 흐름에 따른 기능 흐름
- 구현된 기능의 완전성
|
| UI 편의성 | - 사용자 이해, 학습 용이성, 사용 편의성
- 사용자 오류 방지
|
| 내/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 구현 충분성, 완전성 | - 연계 시스템의 기능 구현 충분성, 완전성
- 연계 데이터, 주기, 방식 구현의 적정성
|
| 접근 권한 및 통제 기능을 정확하게 구현했는지 여부 | - 사용자 별/ 그룹 별/ 업무 별 접근 권한, 감사 기능
- 요구사항 및 보안 정책 대비 보안 기술 적용
|
| 단위 시험 실시 여부 | - 컴포넌트 개별 기능의 완전성
- 예외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 반영
- 업무 규칙 대비 사용자 입출력 데이터의 정확성
- 시험 결과에 따른 오류 개선 및 시험 결과 정리
|
| 통합 시험 계획의 적정성 | -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 완전성
- 시험 환경, 절차, 시나리오, 데이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