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62. 기록 내용

  • 무언가 의지가 없어보임. 무기력한 무언가 아우라가 있음. (어조에서 활기가 안 느껴져서 그런가?)
  • 깊이도 없고 SW 관련 지식도 낮음

262.1. 사전과제

  • 당황스러웠음. 바이너리/byte 단위 파싱을 처음해 봐서.
  • 3시간에 결과물 확인. 이상한 부분 인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2시간 소요

263. 내 서류 평가 의견

고급언어 프로그래밍만 해 봄. 자료구조/운영체제 등의 수업 안 들었음
SW사관학교 정글 (카이스트, 6개월 수강)
웹개발 프로젝트 주로 수행
팀원 갈등 조정 경험. 이 사람보다는 다른 사람이 더 매력적

264. 질의 응답

구분

공통/개인

질문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특화된 기술이 있다는 점에 끌렸음. 경험하기 힘든 것을 경험할 수 있다고 생각했음
  • 위성과 커뮤니케이션하는 무언가를 배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
  • 엄청 거리가 먼 장비와 통신을 하는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무언가가 있을 것이라 생각


개인
  • 왜 SW 개발자인가요? 19년 코스모스 졸업 후에 진로가 변경된 것일까요?
    •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4개월, 건축사사무소 테크뱅크 6개월
  • 현장은 위험해. 내가 더 행복할 수 있는 것을 찾게 됨
  • 연구원 경험이 가장 컸음. 그 당시 과제가 재미있었음
    • 처음에는 matlab → python porting
    • 알고리즘 개발자가 더 적합해보이기는 함
  • Pintos 과제를 수행해 본 적 있음
  • 개인적으로 일반적인 게시판 만들고 있음 → 게시글을 몇 명이 읽고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 구현 중
  • BE / App 직무에 대해서 크게 고민하지 않았음
    • BE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해서 App 지원


개인
  • 리팩토링은 어떻게 수행하고 있나? 잘 되었는지 어떻게 판단하나?
  • 제대로 이야기하면 성능 개선을 한 것임
  • 현재는 node.js 를 sprig 으로 porting 하고 있음
  • 리팩토링을 해 본 적은 없다고 할 수 있음


개인
  • 스크린샷의 숨겨진 인사이트가 무엇인가?
  • 스크린샷을 정리해줄 수 있는 프로그램
    • 태그/폴더로 관련있는 스크린샷을 연결
    • AI 기술은 활용하지 못했음
    • 텍스트 기반으로 동작


개인
  • 무수히 많은 오류 해결 경험 → 사례는?
  • 오류를 말해 달라고 했는데 성능개선 사례를 먼저 말함
  • 그 다음에 패킷 timeout 을 개선 중임


개인
  • 인증 / 인가 어떤차이?
  • 유효한 데이터 확인 → 인증
  • 인가 → 권한 부여

직무-Knowledge공통
  • C# 에서 Thread 를 사용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나요?
    • 어떤 것을 사용해봤나요?
      • 해당 Thread 를 제어(시작/멈춤/종료 등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공통
  • GUI 에서 Cross thread excpetion 을 경험해 본 적 있는가?
    •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나?
      • 어떻게 해결했나?



공통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 통신규약
  • TCP / UDP 개념 설명 제대로 했음
  • 제대로 된 사용 경험은 없음


공통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직렬화/역직렬화 사용해 본 적 없음
  • 1차원적으로 json key/value 만 사용해 봄 (DTO 사용하지 않았음)


공통
  • C# 에서 using 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 using 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나요?
      • 본인이 코드에서 사용해 본 경험이 있나요?



공통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 3가지 이야기함. 다형성 포함
  • 인터페이스가 같은데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것
  • 회원관리할 때 사용했음
    • 같은 DB → 잘 모르겠음


공통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 절반만 맞음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 성장의 측면에서 그리고 개발자 역량 개선 목적에서 무언가를 하고 있지는 않음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동문서답 많이 함. 핵심 파악 능력 부족함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Attac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