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54. 기록 내용

  • Linux/Windows/Embedded 중 Linux 기반 선호

254.1. 사전과제

  • 구현 시간 얼마나?
    • 2시간
  • C++/JAVA 를 주로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C# 으로 제출? 사용 가능한 언어에 C# 이 없었는데.
    • C++ 지식이 있고 C# 도전을 하고 싶었음. C#/JAVA 중에 선택하라고만 되어 있어서 C# 을 선택
  • 예외 반환값으로 null 만 사용한 이유가 무엇일까?
    • 메모리에 잘못 접근하면 시스템에 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잘못된 메모리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서
  • 입력파라메터라고 할 수 있는 파일 개수/이름/확장자 등을 전역변수로 하드코딩한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
    • Parsing 이 핵심이라고 생각했음. 특정 데이터에 제한을 이미 두었기 때문에 조건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음. 빠른 구현에 방점을 두었음.

255. 내 서류 평가 의견

전공 성적 A 정도. 실리콘밸리 온라인 인턴십
C 주력. JAVA 초급
중학교 마인크래프트 서버 구축.
C++/JAVA 사용 가능

256. 질의 응답

구분

공통/개인

질문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SAFFY 에서 채용 공고 확인
    • 처음에는 한화 인수를 통해 인지
  • 왜? SI? 집도 서울인데?
    • SI 의 좋은 뉴스를 많이 접하게 됨
    • 선배들과의 coffee chat
    • 장기근속율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음 → 개발자가 힘을 가지고 있는 조직이라 생각함
    • 지원한 곳이 다 붙는다면 SI 는 세번째, 규모도 규모지만 시스템적인 측면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더 많을 것이라 생각함


개인
  • SAFFY 는 대부분 Web Fullstack 을 경험하던데 독특하게 embedded 를 경험했음
  • 우주 쪽에 임베디드 SW 가 있는데 왜 Window App 개발 직무에 지원했나?
  • 그 경험들이 Window App 개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나?
  • 대학 때 수강 못해서 한번 배워보고 싶었음
  • 현재 당장 embedded 실력이 현업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서
  • embedded 관련 과제를 할 때, 소통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
  • 넓은 영역에 관심이 많아서 새로운 기술 습득 좋아함
  • Github Action 을 통해 자동으로 리뷰어 등록 프로그램 개발, Bot 도 배포 → 사용자의 반응이 좋았음 (데이터 연결성 유지)


개인
  • Legacy Code 가 있음. 처리 속도 현재 10분 → 3분으로 성능개선을 해야 하는 업무가 주어졌다면 어떤 순서로 업무 진행?
  • 시간 복잡도가 높은 함수/알고리즘 코드 파악 → 시스템 콜의 빈도가 많은지 파악 → 병렬 프로그램 적용이 가능한 지 파악하겠음
    • 어떻게 파악? → 반복문/중첩 찾기
    • 왜? → context change → 왜 발생? → CPU Register 값, stack 값의 메모리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임


개인
  • 교양 점수가 낮았던 이유는?
  • 친구들과 듣기 위해서 선택한 과목들


개인
  • 이전 공채에서 취업이 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나?
  • 적극적인 활동을 하지 않았었음 → 채용 프로세스를 이해하기 위한 활동이었다라고 할 수 있음

직무-Knowledge공통
  • C# 에서 Thread 를 사용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나요?
    • 어떤 것을 사용해봤나요?
      • 해당 Thread 를 제어(시작/멈춤/종료 등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공통
  • GUI 에서 Cross thread excpetion 을 경험해 본 적 있는가?
    •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나?
      • 어떻게 해결했나?



공통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공통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공통
  • C# 에서 using 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 using 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나요?
      • 본인이 코드에서 사용해 본 경험이 있나요?



공통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공통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개인
  • 네트워크 수업에서 무엇을 배웠나? 팀 과제에서 본인의 역할은?
  • 실습도 수행했음
  • 소켓통신 프로그램 구현
  • TCP/IP 개인이 구현, JAVA 사용하여 구현
  • 100MB 까지 테스트 해 봤음
  • 전송할 데이터를 미리 전달하고 어떤 데이터를 어떤 크기로 몇 개나 보낼 지 미리 handshaking 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 lint, format 규칙 확인
  • python 등 특정 언어의 패턴을 최대한 준수하려고 하고 있음
  • ISO 문서를 보고 ReadLIne 함수 구현할 때, Linked Array 와 List 표준에 맞춰서 구현해 봤음. 성능 비교도 수행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비전공자들과 협업한 경험이 있음 → 프로그램적으로 놓치고 있는 부분들을 설명해 준 경험이 많음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본인의 시간을 투자하더라도 부탁을 받았을 때, 잘해주고 싶어함
    • 호구? 이용당함? → 있었음. → 현재 부탁은 해결해주고 다시 그 사람이 부탁할 때 다음부터는 같은 문제 해결해주지 않겠다라고 했음
      • 부탁만 해결해주는 것이 아니라 해결 방법까지도 알려주는 편임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 의사소통에 있어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
    • POSTECH 개발 경험에서 역할 분담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기획자와 갈등이 있었음
      • 소요 일정을 말하고 팀 회의를 통해 구현 목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했음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 리눅스가 아닌 윈도우즈 환경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짤 수 있는 역량 보유할 것임
    •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로망을 가지고 있음 → 전체 시스템에 대해서 설계하고 싶은 마음이 있음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핵심 파악 잘함 → 아이컨택 잘 함 → 이해되지 않거나 못 알아들은 부분에 대해서는 다시 질문함으로써 질문을 명확하게 이해하려고 함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Attac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