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7.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58. 기록 내용

  • 발표 목소리 차분함 → 긴장하지 않은 듯 함

258.1. 사전과제

  • 10시간 정도 소요

259. 내 서류 평가 의견

솔탐 재직중. 차중3호, 425 관제 개발 참여
C# 주력. C++ 가능
포트폴리오에 차중 위성 3호 GUI 들어가있음. 이래도 되나?
공고. 자소서 1번 구체성이 떨어짐. 어떻게가 없음.
C# 현업 개발자로서는 괜찮을것 같은데 깊이가 있을까 싶음

260. 질의 응답

구분

공통/개인

질문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지인들에게 들었을 때, 개발환경이 좋다라고 들었음 (아래 내용과 동일)
  • 급여 상승 가능하다고 생각함


개인
  • 솔탑에서도 현재 425 관제를 하고 있고 거기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이직을 생각하나?
  • 아직 과제가 종료되지 않았는데 이직을 고려해서 책임감이 부족하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 SW 개발 측면에서는 하는 일은 비슷하다고 생각함
  • 성장의 측면에서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함 (직원에 대한 지원, 협업활동, 코드리뷰, 기술세미나 등등)
  • 이전 이직에서 유지보수를 잘 마무리했었음
중상 - 지원 동기 명확한 편이라 생각함

개인
  • 전파 분석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을 위한 디자인 패턴의 적용 및 구현
    • 어떤 목적, 어떤 패턴, 어떤 기여?
  • 기존 프로그램 성능/기능 개선
  • MVVM 패턴, 다양한 DB 인터페이스 REspository 패턴, Strategy 패턴
  • % 로 성능 개선 언급하기는 어려움. 결합도 등에서 수치화해서 언급
중 - 논문의 기여도는 그리 크지 않다고 생각함

개인
  • SOS 에서 Client 를 담당하고 있음. 서버 기능에 대한 이해도는?
  • Client 에서 DB Access 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나?
  • 직접 코딩을 하지는 않았으나 일련의 흐름을 파악하고 있음
  • Web Service 에서는 Server 가 DB 접근 관리. 보안적인 측면에서 올바르지 않음. 사용자가 많아질 경우에도 성능 저하 예상. → 어필하지는 않았음
중상 - 서버를 개발하지는 않았으나 관제의 이해도가 어느정도 있음

개인
  • FDIR 들어본 적 있나? 무엇인가?
  • 고장에 대한 자동 회복 기능이라고 이해하고 있음
  • 스크립트 내용은 모르고 있음 (보안인 듯 함)
중 - 기본 개념 이해하고 있는 정도

개인
  • SOS 에서 MSSQL, SQLite 를 병행해서 사용했는데 각각 어떤 목적으로 사용했나?
  • SOS 에서 사용한 것은 아님
  • 다른 과제에서 주를 MSSQL 을 사용하고 동일한 Table 을 SQLite 에 기록하여 Server 연결 해제되었을 때, 임시로 SQLite 를 사용
  • 다시 연결이 되었을 때는 어떻게 동기화? switchin 아 아님. Standalone 으로 사용할 때를 위함

개인
  • Web App, Window App 을 한 경험에서 SOS 의 아키텍쳐를 본인에게 결정하라고 한다면 어떤 것을 선택? 그 사유는?
  • Web 으로 해도 될 것 같음 → 데이터 처리 서버가 이미 따로 있음. Client 는 데이터 표출/전송만 하고 있기에 Web 으로도 가능할 것 같음 → 추세상 Web 이 더 사용하기 편리하다고 생각함 → Client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고 생각함
  • 솔탑에서는 전례를 따라서 구현해야 하기 때문에 Window 를 유지하고 있다고 생각함
중 - Web 의 장점에 대한 기본 개념 있음

개인
  • 이전 지원 이력?
  • 2차 면접에서 탈락한 이유가 무엇이라 생각함
  • 이직 사유를 부정적으로 말한 것 같음

직무-Knowledge공통
  • C# 에서 Thread 를 사용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나요?
    • 어떤 것을 사용해봤나요?
      • 해당 Thread 를 제어(시작/멈춤/종료 등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공통
  • GUI 에서 Cross thread excpetion 을 경험해 본 적 있는가?
    •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나?
      • 어떻게 해결했나?



공통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공통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공통
  • C# 에서 using 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 using 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나요?
      • 본인이 코드에서 사용해 본 경험이 있나요?



공통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공통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 C# 속성을 자동 속성을 적용하려고 함 (최근에 배운 무언가를 적용)
    • 가독성 증가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관제 PL 이 되기 위해서 기존 자료를 살펴보겠음 → PL 경험은 없음 → 본인이 이해하고 있는 개념이 맞는지 검증하겠음 → 회의를 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배경 지식을 높이겠음 → 개발 기술도 필요한 것을 학습하겠음
  • 리딩을 한 경험? → 없음
    • 코딩할 때, 고민하는 편임 (이게 맞나? 입에 달고사는 편임) → 트러블은 아님. 그냥 혼자의 생각
중 - 리딩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요구사항 수집부터 설계를 해 본 적 있음
  • 설계서는 DB 설계서, Class 다이어그램 일부 작성
  • 그 과정은?
    • 성능개량 사업이었음. 기존 DB 참고
    • 그를 기반으로 요구사항에서 추가된 것을 업데이트
  • 현업화는?
    • 구현 내용을 바탕으로 문서 업데이트
    • 감리 시점에 업데이트 했음
중 - 경험은 있으나 PL 로서의 역량은 부족하다고 생각함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면접 내용을 봤을 때,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솔직하게 답변함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 수용하는 편임 → 아직까지는 수용이 안되는 것은 없었음
  • 납들할 수 있는 이유로 설득해 나가겠음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일이 몰렸을 때. 일 처리를 해 줄 수 없을 때.
    •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없어지는 편. 운동을 통해서 품

Attac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