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42. 기록 내용

  • 엄청 긴장함. 손을 많이 떰.
  • 이론적인 지식에 자신감 많아보임
  • 사전과제
    • 공간해상도/PSLR/ISLR → 잘 답변함
    • Ambiguity Level → 잘 답변함
    • 3dB → log 를 언급하며 수식을 이용하여 설명 시도하고 판서하며 잘 답변함
    • Nyquist Sampling → 잘 답변함
    • 전표적 품질 검증? methodology → 잘 답변함
    • Interpolation 안하면? 왜 해야 함? → 답변하지 못함. 본인 생각에 interpolation 하면 부드러운 이미지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함.
  • Python 독학으로 공부 중
  • 질의 응답 시, 아이컨택트 잘함
  • 회사가 3가지 요구를 들어준다면?
    • 역량개발 프로그램
    • 직원 복지가 좋았으면 함. 여유로운 티타임 정도.
    •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근무. 눈치 안보는 정도. 연차를 자유롭게. 흡연 자유롭게.

243. 내 서류 평가 의견

SAR 영상 관련 연구 수행
과대표, 학생회 임원
SAR 에 대한 열정 있어보임

244. 질의 응답

구분

공통/개인

질문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SAR 시장 성장 → 전공으로 이어짐 → SI 는 위성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
  • 박사제의를 받았으나 그리고 연구에 대한 열망도 있지만 취직하고 싶은 마음이 컸음 → 주변 친구들이 거의 다 취업했음. 그에 따른 부담감


개인
  • 별명은? 모범생?
  • 추추 (부르기 편해서)
  • 친구들은 같이 있으면 편하게 느끼는 사람이라고 생각함

직무-Knowledge개인
  • 몇 개 위성의 SAR 영상 다뤄봤나? 가장 좋은 위성은? 어떤 면에서?
  • Sentinel-1 주력. ALOS-2
    • 활용도 측면에서 Sentinel-1 이 더 좋다고 생각함


개인
  • InSAR 가 무엇인지 간략히 설명해 주세요.
  • 동일한 지역을 시간차를 두고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동일한 궤도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위상차 도출
  • 동일 궤도이어도 위성의 고도가 다를 것이기 때문에 


개인
  • 광석 채광량을 DEM 변화를 통해 어떻게 감지할 수 있나?
  • InSAR → 지형 정보 → 서로 다른 시점의 DEM → 광물이 노상광산이었음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1저자 논문 몇 명이서? → 모두 혼자 수행
  • 학부 졸업 논문 팀 프로젝트 조장 역할 수행
    • 업무 분담 수행
    • 본인 포함 5명
    • 대학원 진학 생각이 다른 사람들은 없었음. 2명은 전공과 다른 진로를 선택.
    • 중간부터 혼자 하는 비율이 늘어났음 → 교수님께 꾸중 들었음. 퀄리티 때문에.
    • 팀원들과 저녁 먹으며 다같이 잘해보자고 이야기했었음. 1명빼고 통했음.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그렇게 생각함
    • 불이익 경험은 너무 많음
    • 군시절 행보관이 담당자 색출 시, 후임에게 넘겨도 됐는데 그러지 않았음
    • 내가 정직해서 남이 피해보지 않으면 정직함이 낫다고 생각함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 자료처리 분담 과정에서 담당자 선정에 있어서 의견 대립이 있었음
    • 다소 강압적으로 업무 할당. 본인이 도움을 주겠다고 했음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 과거 실수/실패를 두번 다시 하지 않는 것
    • 딱히 생각이 안 남
  • 생각나는 가장 큰 실수/실패는? → 철광석 채광 연구 시, 북한이다보니 공개된 자료가 없어서 ground truth 발견이 어려웠음. DEM 2개 밖에 없었음. 과거 조선 지형도 발견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 Focusing 관련 업무 수행에 자신이 있음
    • SAR 이론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자부함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 개발자 역량. 회사에서 요구하는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역량
    • 지원 직무가 개발이기 때문에 개발자로서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생각함
  • 코딩하는 사람에게 위성을 알려주는 것보다 위성을 아는 사람에게 코딩을 알려주는 것이 더 적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바람이기도 함.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잘 답변하는 편임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본인에게 무례할 때, 스트레스를 받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