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34. 기록 내용

  • 동일한 사람들이 모이면 단순 + 결과가 나옴. 서로 다른 결의 사람들이 모이면 * 2.x 가 나옴. 그래서 물리학하면서 전산학 복수 전공
  • 사전과제
    • 공간해상도, PSLR, ISLR 에 대해서 답변함
    • 3dB 에 대한 설명도 잘 답변함. 왜 절반인지도
    • 전표적 분석? → 잘 답변함
    • 전표적 품질 검증? methodology → 잘 답변함
  • 물리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업무를 맡아서 하고 싶음
    • 전산보다는...
  • 주어진 업무는 어느정도 해낼 것 같음. 하지만 협업을 하는데 있어서 의사소통/대인관계에 있어 염려되는 부분이 있음 (면접에서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끼는 듯한 모습을 보여줬음)
    • 공감 능력이 떨어져서 상대방의 기분을 파악하며 이야기를 이어간다고 표현하는 것 등
  • 회사가 3가지를 들어준다면 무엇을 요구?
    • 다양한 직군 살펴보고 싶음
    • Ai, 홀로그램 접목 가능한 팀을 구성하고 싶음
    • 학위 취득 지원
  • 도플러 효과 및 SAR 와의 연계성에 대해서 잘 설명함

235. 내 서류 평가 의견

직무 관련성 없어보임

236. 질의 응답

구분

공통/개인

질문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대학원 진학도 고민하고 있었음. 회사 취업은 생각하지 못하고 있었음.
  • 채용박람회에서 SI 알게 되었음
  • 5~6개 지원했음
  • 돈을 빨리 벌고 싶었음
  • 물리학사 졸로는 크게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곳이 없다고 생각했음. 그래서 전산학을 생각했음
  • 물리와 전산을 합칠 수 있는 것이 인공위성이라 생각했음
    • 영상처리를 위한 노이즈 제거를 할 수 있는 방법에 접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했음


개인
  • AI 에 관심이 있다면 SIA 가 적합하지 않았을까?
  • AI 가 SAR 영상처리에 어떤 이득을 줄 수 있을까?
  • 코딩 경험을 많이 경험하지 않았다고 생각함. 머신러닝 분야에 바로 성과를 낼 수 없다고 판단
  • 물리를 AI 보다 더 좋아함. 그래서 AI 안해도 상관없음


개인
  • 원래 원했던 대학이 KAIST? 왜 KAIST?
  • 초딩 때 대학 탐방 카이스트였음. 이과스러운 성격. 최고를 가자!
    • 이과스러운 성격 → 결과물 중시. 방법론적인 부분 고민
  • 강의는 기대 이상. 재수/병역하고 나서 시간이 없다고 생각해서 공부를 무리하게 몰아서 한 느낌이라고 함


개인
  • 새로운 분야에 대한 강점 어필!
  • 지금까지의 삶에서 다채로운 경험을 했음 → 그 과정에서 잘 적응했음 → 새로움이 장벽이 되지는 않았음

직무-Knowledge개인
  • 제공되는 자료 및 면접 과정에서 생각나는 질문을 기록하기!!!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무언가를 숨기려는 성격은 아닌 것으로 보임 → 하지만 목적 중심적인 모습으로 인해 알게모르게 주변 사람들에게 상처(질문) 를 주었을 수도 있을 것 같음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노력은 하지만 딱히 기억나는 것은 없음
    • 말을 할 때, 상대방의 감정을 생각해봄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 상대방이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파악 → 설명이 잘못된 것인지. 상대방의 이해도 낮은 것인지 파악. → 결과에 따라 액션 수행
  •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편임 → 공감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음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 내가 조금이라도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 성장. 스몰 석세스도 성장. 회고를 통한 변화
    • 최근에는 면접 의상을 고르려는 안목이 성장


개인
  • 나 이거는 못참어! 라는 것이 있다면? 흔히 이야기하는 역린. 터졌을 때, 어떻게 수습?
  • 내가 맞다는 것을 정확히 알고 있는데 그 부분을 의심하고 본인을 부정했을 때
  • 시간이 지나니 감정이 차분해지면서 자연스레 해결되었음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 위성 역할에 따라 영상처리 방법이 달라진다고 생각함. 위성의 역할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 같음. 알고리즘의 원리에 대한 이해
    • 깊게 파고드는 타입. 기존 코드를 보고 이어서 작성도 가능함. 
    • 코드 이해를 한 다음의 산출물은 뭐가 있을까?
      • Pintos OS 수정하는 작업 수행 중 → 원래 코드에 주석을 달음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개인
  • 지원서. 완벽하게 해내려는 욕구에 대해서 사례 설명해 달라
  • 코딩 → 100점인데 최적화를 위해 발전
  • 소프트웨어 공학 과목이 인상깊었음 → TDD 인상 깊었음 → 아직 경험은 없음. Unit Test 는 작성해 봤음.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대화에 있어서 불분명한 부분은 없었음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스트레스 잘 받지 않음 → 본인도 다른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는 타입이라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