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30. 기록 내용

  • 피드백을 중요하게 생각함
  • 이진아/김준영을 대신할 수 있는 신입으로 고려

231. 내 서류 평가 의견

'- 거주: 서울
- 학점 나쁘지 않음
- 인턴: T map 전기차 충전결제 서비스 백엔드 경험 (9개월)
- 포트폴리오 준수함 (문서 작성 능력 우수)
- 요구사항 분석-설계-개발-테스트를 전반적으로 수행해봄

232. 질의 응답

구분

공통/개인

질문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채용 공고를 보고 쎄트렉아이를 알게 되었음
  • 위성 기술이 있다는 것에 매리트를 느껴서 지원했음
  • 고유기술을 가지고 있는 곳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싶어서 지원
  • 기존 회사들은 외주를 받아서 기한 내에 제공하는데 집중. 더 나은 방향의 SW 개발에 시간을 쓸 수 없음
    • SI 에서 외주사업하면 여쨌든 역량이 쌓일 것임 (모순되는 답변)
  • 무결성 SW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부분에서 본인이 도움이 될 것임.

개인
  • 왜 현재 인턴을 하고 있는 회사를 지원하지 않았나? 지원한 회사는 몇 개나 되나? 결과가 나온 곳도 있나?
  • 학점연계형 실무 경험
  • 공고가 없었음
  • 다른 회사들 지원했음. 지금이 2번째 면접

개인
  • 왜 공군 지원? 병역 기간이 더 긴데...
  • 원하는 보직을 받기에 리스트가 컸음

개인
  • 충전소 위치 지도 회사 근처로 의도한 것?
  • 의도했음

개인
  • 기존에 Express → CPP 를 사용한 의도는 무엇이었나? 해당 의도가 손실되지 않는 선에서 개선 방안이 결정되었나?
  • 기존 기능에 대한 검증은 유닛테스트 코드 작성하여 확인. 추후 통합테스트 수행. 그 후 검증 기간 두었음.

개인
  • 본인에게 가장 중요한 회사 결정 요인은?
  • 자체기술 보유 여부 (BE 가 아닌 회사의 identity 를 원함)
  • 유지보수 전문이나 외주 업체는 가능한 피하고 싶음
  • 돈? 희망연봉? → 회사 내규 우선

개인
  • 본인은 어떤 사람?
  • 의심이 많은 사람 → 의심을 확신으로 바꾸기 위해 테스트 코드 사용 → 타인이 사용할 수 있는, 이해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해주고 싶은 사람

직무-Knowledge공통
  • C# 에서 Thread 를 사용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나요?
    • 어떤 것을 사용해봤나요?
      • 해당 Thread 를 제어(시작/멈춤/종료 등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공통
  • GUI 에서 Cross thread excpetion 을 경험해 본 적 있는가?
    •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나?
      • 어떻게 해결했나?



공통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공통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YML 선택 → 탭으로 오브젝트 구분 가능함. 괄호 생략 가능함


공통
  • C# 에서 using 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 using 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나요?
      • 본인이 코드에서 사용해 본 경험이 있나요?



공통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공통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개인
  • 테스트코드에서 한글로 작성한 이유?
  • 한글을 작성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 다른 사람들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 OS 에 따라서 컴파일 에러 발생할 수 있음


개인
  • Spring 에서 제공하는 것을 재정의해서 사용한 이유는? HttpStatus 는 웹 표준인데? 왜 x 100 했나?
  •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response 를 정의해서 사용하기 어려웠었음
  • 표준에서는 그대로 따르고 body 내의 코드만 x 100 한 것임. 더 확실히 내용을 식별하기 위해서였음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 중단점 → 변수 확인 
    • 로거를 이용해서 해당 정보 사전에 확인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 Github, Bitbucket 사용
    • Jenkins 도 사용, CI/CD 파이프라인 사용
  • Commit 는 세세하게 하는 것을 선호 → 주석 없어도 이력을 쉽게 확인 가능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 IntelliJ → 자동화 기능, 여러 툴 → Ctrl+D 동일한 언어 선택을 할 수 있는 것
  • Plugin 은 사용 경험이 별로 없음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학교 과제, 캡스톤 등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구조 고려, 다이어그램 → 목적에 맞게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서 →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주로 그림. 현업화는? → 핵심만 그림 → 현업화는 계속해나가는 편임
  • 역할 기준으로 클래스 구분 → 예시 설명은 적절치 않았음 (생성/조작을 클래스로 나눈다고 함. 메소드가 아니라?)
    • 사전 과제는 답변대로 하지 않았다고 허웅/이진아 이야기해 줌 → 지원자 당황함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가끔씩 본인의 생각과 다르게 말을 함 (선의의 거짓말)
    • 정직하게 말을 해도 아무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때
      • 결과적으로 주로 좋은 결과가 나왔었음
  • 본 인터뷰에서 선의의 거짓말 1개 했음. 클래스 다이어그램.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 본인의 의견을 많이 내지 않는 동료가 어려웠음
  • 계속 적극적으로 물어봐서 가끔씩 대답나오면 호응해줌
  • 경험/백그라운드가 다를 때 의견 충돌이 있다고 생각함.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려고 노력함. 상대방의 의도가 합리적이라면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따를 수 있음.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 다양한 시야를 가지게 되는 것
    • BE 만 공부한 것이 아니라 FE/DevOps 도 공부함. App/Web 도 공부함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 5년 이내에는 맡은 업무에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음
  • 본인의 경험을 후배들에게 전해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음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질문을 하지 않았지만 아이컨택을 하며 질문에 대한 요점을 잘 답변함

개인
  • FE 개발자와 협업을 해봤나?
  • 학교 과제에서도 수행해봤음
  • API 문서 자동화 기술 몰랐을 때는 notion 으로 의사소통 수행 → 추후에는 Swagger 사용해서 사용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제 의도와는 다르게 일이 진행될 때
    • 드라이브. 조용한 산길. 바닷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