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7 맹조완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전 직장 대비 우리 회사가 이것은 좋았다, 이것은 아쉽다!

TLE (Two Line Elements), EOP (Earth Orientation Parameters), Leap second 가 무엇인가?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 개인 용어집 가지고 있고 계속 업데이트 중
  • 개념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음. 현재 상태 유지.

발표 자료 작성 후, 발표 연습을 해 봤나? 앞으로 기회가 언제 있을지 모르지만 발표를 할 때는 발표 연습은 필수임!

최종 연습은 실제 발표장에서 해 보기!


MPPE 이해 및 기능 구현에서 본인이 흐름도를 직접 그렸나?
MPPE 이해 및 기능 구현에서 기능 흐름 순서도의 경우, 표로 구성해서 각 단계의 수행 주체/부주체를 더 명확히 표현하면 좋음
기능적인 측면에서 STP GS 의 MPPS 와 ESGS 의 MPS 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MSTR 처리 후, 사이드 이펙트 점검 대상 기능 목록을 어떤 기준으로 도출했나?

전체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한 상태였나?

  • 진행 흐름을 미리 정리해 본 것이고 그대로 진행하지는 않은 상황임

미흡한 점들은 어떻게 하면 보완 가능?

  • 전달력 향상, 스스로 이해하지 않으려 노력, 기존 library 활용

임무계획이란?
본인이 생각하는 탄탄한 설계란?

고민의 시간에 대해서는 본인만의 규칙을 만들면 좋음.

10분은 찾아보자.

질문하러 가기 전에 내가 알고싶은 것이 무엇인지 정리하고 10분 찾아본 과정/결과를 기록해서 질문 시에 말해주자.

등등

  • 일단 먼저 질문하라. (전유길)
peudo code 까지 만드는 설계가 필요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 개념/로직 설계만 해도 됨.
  • 변동 없는 설계는 불가능함, 설계의 완벽성 보다는 확장성/객체지향 고려가 더 필요 (전유길)
업무적인 부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 (김인영)
  • 한재중 고민 필요함!!!
GT4 김동진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배포 후, 오타 수정되었음. 스스로 인지? 누군가 조언? (Pre-launch 자료 분석 → Pre-launch 자 분석)

색으로 범례를 표현할 때는 가능한 한, 차이가 명확하게 보이게 하기! (색맹검사 아니니까 ^^;;)

  • 스스로 인지

발표 자료 작성 후, 발표 연습을 해 봤나? 앞으로 기회가 언제 있을지 모르지만 발표를 할 때는 발표 연습은 필수임!

최종 연습은 실제 발표장에서 해 보기!


Metadata 와 Auxillary Data 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배포 위성마다 구분 기준이 다름
  • 개념이해하고 있음
Pre-launch 분석 웹 서비스에서 DB 사용을 하지 않은 이유는? 분석 건수가 50만건인데 구동 때마다 분석 다시 수행하는 것이 의도?
  • 결과 저장을 위해 DB 대신에 CSV 를 사용
Pre-launch 분석 대상 데이터는? 이미 운영 중인 위성이라면 분석결과와 실제 값 비교도 가능한가? 가능하면 분석 정확도 측면에서 논문~
  • STP GS
클린 코드을 위해 이것만은 지키겠다. 3가지!
  • 반복 코드 수행 지양
  • 주석을 잘 달겠다
GT7 김성한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고민했던 점에 대해서 답을 얻었나?
FE 개발 시, 몇 개의 Catalog, 주문 영역을 커버해야 된다고 생각했나?
PMS / UIS 차이? (비슷한 기능이 있을지언정 역할이 다름. GS Operation Document 읽어보길!)
  • 조언 완료
Sidemenu/Map 간에 Interaction 을 어떻게 얼마나 줄였나? 성능 개선된 부분을 측정했나?
  • 아직 개선하지 못했음
  • 100개 주문 영역 올리면 성능 저하가 바로 보임
L1R 은 정상적으로 못 올리고 L1G 는 정상적으로 올릴 수 있었던 이유는? L1G File format 은?
  • 조언 완료
코드리뷰 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본인이 리뷰어로서 의견을 남긴 적이 있나?
  • 리뷰어로서 요청은 받았으나 참여한 적은 없음
주석은 왜 달까? Clean Code 를 최대한 유지한다면 주석은 불필요하지 않을까?
  • 조언 완료
GT9 노희정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기술 영상에서 학습한 내용 중 현업에 반영한 사례가 있나?
  • 있음
클린코드를 위한 본인의 코딩 규칙이 있다면?
SOE / DSE?
성공/실패 토스트에서 토스트란?
변경 지점 관리 페이지는 계속 유지/관리되고 있나? 그 전에는 없었는데 본인 제안으로 생성?
deleteInfo → doDelete/executeDelete 가 더 명확하지 않을까?
  • 조언 완료. 확인한다고 함
수습 Lesson & Learned (회고, 좌충우돌 수습 경험기?) 라는 주제로 기술공유 컨퍼런스 발표해 봅시다~
  • 조언 완료
검색 시, 위성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까? sateliiteId: ALL 을 두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 목적이 있었음. daily 정보이기 때문에 위성 구분이 불필요함
GT9 김아영A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구현 절차는 본인의 정의? 다른 사람의 가이드? 절차를 업데이트하고 있나?
  • 본인의 선택. 이전 직장에서 수립
  • 우리 회사에서는 단위시험 절차 추가
  • 어느정도 완성된 절차라고 생각함
  • 본인에게는 맞는데 다른 사람에게는 안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해서 공유하지는 않았음
GT6 안혜성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DoD / STS?

  • 있음. 용어 이해하며 가고 있음
전 직장 대비 우리 회사가 이것은 좋았다, 이것은 아쉽다!
Java 는 call by reference 없나? → 찾아봤는데 없음, call by address 라는 개념만 있음N/A

fortran to java 포팅 정리 페이지를 봤을 때, 구조적으로 잘 되었다라는 것은 알겠음. 정확도 확인은 어떻게?

개별 method 에 대해서 정확도 확인을 한 것 같은데 전체 흐름 (좌표변환-동역학모델계산-선형방정식계산-수치적분) 을 만족한다라는 것도 확인했나?

  • 하고 있고 전체 흐름도 확인 예정임
알고리즘 확인을 위해서 테스트 코드를 작성을 요구받지는 않았나?
  • 테스트 코드로 확인하고 있음
GT3 이준형


질문/의견답변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수습은 잘 종료했나?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비슷한 듯 생소한 용어)
4 slide > 작업/시간 worklog 남겨둔 것이 도움이 됐나? 어떤 면에서?
  • 단위 시간별로 업무량이 가시적으로 보였음
  • 스스로 회고를 할 수 있는 계기
  • 도출된 Action Item 을 반영하고 있음
FSW/MCS interface, SC/MCS interface 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 SC/MCS 는 layer 기준
  • FSW/MCS 는 TM/TC 기준
코드 분석 시에 인터페이스 분석에 집중한 이유가 무엇인가?
  • 설계의 의도, 구조 파악을 위해서 본인이 결정
7 slide > 화살표의 의미는? 호출 관계? 데이터 전달 의미?
  • 제어/데이터가 겹쳐있음
ESGS SCS 에서 TM 저장을 위해 MSSQL/MongoDB 를 사용하고 있는데 왜 2개의 DB 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나?
  • 선임자에게 질문을 했었으나 현재 기억이 나지 않음
MCS Server 종료 정보를 화면에 직관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로그만 남기는 것이 아니라.
  • 주어진 작업이 로그 추가였음
MSTR 처리할 때, 주어진 정보는 충분했을까? 로그에 이런것이 있다면, 아니면 덜어낸다면 유지보수 측면에서는 더 좋을 것이라 생각하는 면이 있나?
  • 충분했다고 함
  • 조언 완료

8 slide > 3초의 sleep 에 대해서 우주의 검토 의견을 받아달라고 PL 에게 요청했나?

차라리, 위성으로부터 등록이 완료되었다라는 ack 를 받은 후에 한번 더 검증하는 측면에서 scenario list 를 획득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 동일 이슈가 ESGS 에서 해결을 했기에 그것을 기반으로 NueSAR 에 반영했음
모방하는 연습 후, 본인의 스타일 만들기! 본인의 생각? 누군가의 가이드?
  • 본인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