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10월 28, 2022
| 항목 | 발언자 | 내용 | 비고 (내 생각) |
|---|
| 지상 STP 운용 개념 | 이훈구 | - IRR 전(23년 7월)이라도 지상에서 STP 를 운용하는 개념이 정립되면 관련하여 회의를 수행할 계획임
- 지상의 Operation concept 과 우주의 operation concept 에 대해서 빨리 정리가 필요해 보임
| |
|---|
| STp Spec. 변화 | 이훈구 | - 500km SSO LTAN 10:30
- 0.25m PAN / 1m PMS
- >= 12km
- stereo imaging 촬영 범위도 55km → 35km 로 변경됨
- 4 strip mosaic imaging swath 100km → 78km 로 변경됨
- No. of images for Persistence Suveillance 가 무엇이지? 9 에서 8 로 줄었고 ESGS 에서 이슈가 되었던 것 같은데...
- 210 sec imaging / pass
- 직수신을 포함?
- Detector 에 대한 calibration 에 들어가는 시간이 있음
- 즉, 직수신도 포함되는 것으로 보임
- 시스템적으로 고장이 난다라던지, 시스템의 특정 모듈이 shut down 된다는 의미가 아님, 고장이 염려되고 영상 품질에 저하가 우려되기 때문임. 현재 해석 상의 결과임
- 지상에서 운영 contraint 로 꼭 설정해야 하는 부분임. VE 에서 기본적으로 검증해줘야 함
- SIIS 에서 operation 시, strip 의 경우, 500s 도 찍고 있음
- SIIS 관점에서 Operation 방식이 결정되어야 함. 그를 기반으로 우주에서 만족/불만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
- 차중 1/2호 / K3, 5분/궤도, 25분/day (박준용)
| - Spec. 의 변화가 GS 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내가 감을 못 잡고 있음.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는 것인지, 학습이 필요함!!!
- 위성의 spec. 해석과 실제 운영에서 필요한 spec. 사이에 이견이 있어보임
- 우주에서는 spec. 기반으로 해석을 한 기동 시간 등을 계산했으나 운영하는 측면에서는 다소 적은 성능임
- SIIS 에서 운영하는 입장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식별해 주면 우주에서 위성이 만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음
- 촬영시간, geolocation/geopointing error, MTF 등등
|
|---|
| Risk | 이훈구 | - SM 모델 검증이 아직 완료되지 못한 것이 가장 큰 risk 라 생각함
- wheel 입고 지연 및 thruster 성능과 관련된 내용이 risk 라 할 수 있음
|
|
|---|
| 이훈구 | - SSO ASC 에서 radiometric saturation 이 DESC 보다 더 잘 발생함. sun glitch 도 더 잘 발생함
- 제주도 수신한다고 했을 때, ASC/DESC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임
- launch 기회가 DESC 는 거의 없음, ASC 가 훨씬 많음
|
|
|---|
| 김이을 이훈구 우현욱 | - Payload Electronics 통합 시험
- SSRU Read/Write 가 거의
동시에 이뤄지는 것에 대한 검증 케이스가 필요함 - Single Strip Imaging Operation / Image Download Operation / 진짜 Operation 에 들어가서 사용할 운영 모드에 대해서 테스트가 이뤄져야 함
- simultaneous / Imaging & Download 등
- 가능하면 실제 운영 모드가 모두 Test Case 가 도출되는 것이 좋음
- SWAT(? swatch?) 에서 언급된 내용에 대해서 Test Case 가 꼭 필요함. swat 과 test case 가 별도로 가면 안됨
- FSW 에서 이슈가 많이 발생했는데 test case 에 대해서 정의하고 적용하기가 실 운영에서도 어려운 점이 있었음
|
|
|---|
|
| - STP 타겟 고객 중 하나가 국정원
- 국정원의 불만은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
- STP 하드웨어 스펙 상, 국정원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해외 사용 위성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 맞음
|
|
|---|
|
| - 지상과 우주가 동일한 용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 우주에서 작성한 CONOPS 기준으로 지상도 사용하기!!
|
|
|---|
|
| - Safehold 가 기존 2단계였는데 ESGS 계약 상의 이슈로 1단계로 통합했었음
- 다시 2단계로 돌아가기로 결정되었음
|
|
|---|
|
| - STU1/2 를 선택한 것과 관련 TM 의 매치 여부에 대해서 지상에서 확인을 해야 한다고 했는데...대충 무슨 소린지는 알겠는데, 무엇을 해야 할 지는 잘 모르겠음
|
|
|---|
|
| - User 를 위한 Authentication Key 를 1개만 생성할 수 있다고 함 (우주의 제한사항임)
- MAP ID 를 가지고 구분
- Authentication Key 를 2개 이상 저장할 TM 메모리 공간이 없다고 함. FPGA 까지 변경을 해야 한다고 함.
- 외부적으로는 Map ID 를 Authentication Key 라고 말하면 될 것 같음
- User 가 TM(Log 등) 저장하는 개념을 우주가 가지고 있음
- Recovery Period = 5분 정도 예상
- Direct Tasking Operation 관련 회의는 우주+지상+SIIS 모여서 회의 필요함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