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4월 04, 2019
337. 참석자
| | 최재승 | | 이형주 | 장광호 | 이현구 |
| | 김주현 | 이승희 | 정진호 | 한재중 | |
338. 일시/장소
- 13:00 ~ / 가이아3D
339. 회의 내용
| 논의/주요 언급 주제 | 내용 |
|---|
| OrderID 의 채번 문제 | - (이승희) PK 의 명명 규칙을 이렇게 가는 것이 맞나? 왜 이렇게 하는 것인가? PK 를 만들 때, 채번 및 transaction 관련 이슈가 있을 수 있음
- (최재승) KARI 에서 사용하던 OrderID 명명 규칙이었음
- (한재중) 채번을 위한 테이블을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하면 됨
- (이승희) 그래도 성능에 이슈가 있을 수 있음
- (최재승/한재중) 데이터의 양이 맞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성능을 염두해 두고 설계한 DB Table 은 아님
|
|---|
| 운영인력 | - (이승희) 항우연에는 주문관리하는 사람들의 수가 10명 이상되는 것으로 들었음
- (이형주) 오프라인 배포가 많으면 배포관리 쪽에 사람이 많이 필요할 수 있음
- (이승희) 무료로 영상 배포하면 항우연에서 영상 사던 사람들이 다 몰리는 것 아닌가?
- (최재승) 누가 무엇을 어떻게 배포할 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음
- (이승희) 현재 국토부에서는 위성영상지도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음. 위성 영상만 유료로 판매한다는 것이 이상해 보일 수 있음
- (최재승) 현재 활용시스템에 돈 지불과 관련된 모듈은 없음. 그리고 돈을 받고 판매한다면 품질 관리가 되어야 하는데 현재 해당 서브시스템이 없음. 추후 고도화에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을 한 적이 있음
- (이형주) 보안지역처리에 필요한 인원이 4~5명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음
|
|---|
| 계약 변경과 관련된 내용 | - (김주현) 이번 사업에서는 현재 설계대로 하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활용주문 변경사항 등에 대해서는 고도화 사업을 통해 추가적인 돈을 받고 진행할 수 있는지 문의가 가능한가?
- (최재승) 지금 논의되고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사업 목적과 부합하기 때문에 인하대에서 쳐 내기가 어려움. 완전 새로운 것은 쳐 내고 있다고 알고 있음. 작업하다가 정 안되겠는 이슈가 있으면 말을 해 주기 바람
|
|---|
| 웹서비스관리 서브시스템 관련 | - (최재승) 활용시스템 내부에 운영관리가 있음. 수집에도 운영관리가 있음. 웹서비스도 합칠 수 있지 않을까 함. 활용의 운영관리를 웹 운영망 쪽에 설치를 하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함
|
|---|
| 지도데이터 | - (이형주) 개발 시점에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면 함
- (이승희) 공문을 보내면 빠른 기한 내에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 (김주현) 지리원에서 제공해 주는 웹 지도서비스가 바로이맵인 것으로 알고 있음. 그런데 회사 내부에서 과거에 사용하려 했을 때,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음
- (김주현) 어떻게 지리원에 요청을 해야 할 지 정리해서 SI 에 알려주겠음 (AI to 김주현)
|
|---|
| 구현 진행 상황 검토를 위한 환경 (AI 검토) | - (이승희) 유동 IP 문제가 있어서 고민 중임
- (이형주) TeamViewer 도 잘 보임
- (장광호) Chrome Desktop 을 이용해도 됨. 다소 느리기는 함.
- (이승희) SVN 등을 SI 에서 제공하여 소스 통합관리가 가능한가?
- (한재중) 네트워크 정책 등으로 인해 그 부분에 대한 서비스는 어려움
- (김주현) 언제까지 필요한가요?
- (최재승) 2/27 에는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었음
- (최재승) 유료 서비스라도 SI 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
|---|
| 주문처리버스시스템 관련 정리 (AI 검토) | - (최재승) 검색주문관리 서브시스템을 3set 설치가 가능한가?
- (이형주) 2set 는 가능하지만 3set 는 어려움
- (김주현) 주문처리에서 지도의 역할은 촬영주문의 영역 확인인가? 활용주문까지 받으려면 배보다 배꼽이 커질 것 같음.
- (한재중) 12/05 회의 시에 논의했었음. 요구사항 만족을 위해 주문처리에서는 최소한의 인터페이스(편의성 고려 X) 로 주문을 넣을 수 있어야 했음. 그리고 지도는 촬영주문의 shape 영역 확인 정도의 기능으로만 사용
- (최재승) 오늘의 결론은...주문처리에서는 촬영/배포주문만 넣고 활용주문은 외부에서만 넣는 것임!!!
- (이형주) 여러 카피를 설치하는 것은 문제가 없을 것 같음. 하지만 인터페이스 환경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어보임
- (최재승) 어차피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것임. → (이형주/이승희) 이해했음
- (이승희) 설치 후, 과제 마무리 되기 전까지 운영자 요구사항을 받을지/거부할지에 따라 형상 관리가 어려울 수 있음
- (최재승) 현재 상황에서 주문관리를 내부망에 설치하는 것이 어떤 장점이 있는 것인지 아직 판단이 서지 아님
- (이승희) 운영자에게 상당한 베네핏을 제공해 줄 수 있음. 외부망으로 가서 주문을 넣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음
|
|---|
| 설계서 업데이트 (AI 검토) | - (이형주) 해당 내용은 수정했음. 수정한 설계서를 SI 에 제공해 주겠음
- (한재중) 해당 파일을 받으면 본 AI 는 closed 하면 됨
|
|---|
| 설계문서 배포 (신규 AI) | - (김주현) 설계문서 v0.9 를 배포해 주기 바람. 아직 받지 못했음
- (최재승) 2/28 까지 배포하겠음 (AI to 한재중)
|
|---|
| 아리랑 사이트 주문 ID 관련 확인 (신규 AI) | - 아리랑 사이트에서 PK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확인하여 SI 에 전달 (AI to 김주현)
|
|---|
340. 다음 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