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609 Web FE 김아영
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6월 09, 2023
225.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226. 기록 내용
- 대전 중구 거주, 희망연봉 3600
- BE 개발자에서 FE 개발자로 전향
- 발표를 잘하지는 않음
- 핵심을 말해줘야 하는데 발표 자료에는 핵심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말로써 설명을 하는데 해당 내용을 듣는 사람들이 따라가고 있는지 파악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음
- 평소 의사소통 시에 일방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상대방의 말을 안 듣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는지 확인 필요함
- 글자만으로 작성된 발표 자료
- 회사에서 성장을 신경쓰지 않는 상황이 느껴지더라도 본인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허용된다면 괜찮음
- 질의 응답 시에 질문자를 바라보며 정확히 답변을 하는 편임
- 발표할 때의 모습과 다른 모습을 보여줌
- 딴 데로 새지 않고 질문의 요지에 대해서 답변을 해 줌
- 단기 계약 수행하면서
- 좋았던 것
- 단위시험 절차서 작성하고 업무 수행
- 밥이 굉장히 맛있음
- 안 좋았던 것
- 할당되는 업무량이 적은 것
- 집이 멀어서 출퇴근이 힘듬
- 당황할 경우, 얼굴 색이 바로 바뀜
227. 내 서류 평가 의견
228. 질의 응답
| 구분 | 공통/개인 | 질문 | 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 | 판단(상/중/하) |
|---|
| 기본 | 공통 |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 | - |
|---|
| 공통 |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
|
|---|
| 개인 | - 직전 회사들의 퇴직 이유는? 개인적인 사유라고 했는데...
| - 첫 직장은 어린 나이에 많은 일을 하면서 정서적으로 좋지 않았음
- 초반에 기술 습득이 힘들었었음. 1년 후에는 괜찮아졌음. 그래도 마음의 여유가 없었음
- 자존감이 점점 낮아졌음. 팀원들과도 잘 지내지 못했음
- 두 번째 직장은 회사의 경영진이 바뀌면서 연간 계획이 틀어지고 FE 분야 일이 점점 없어졌음
|
|
|---|
| 개인 | - 왜 BE 개발자에서 FE 개발자로 전향을 했나요?
| |
|
|---|
| 직무-Knowledge | 공통 | - Angular 에서 BE 정보를 어떻게 관리했나요?
- 배포 후에 BE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했나요?
|
|
|
|---|
| 공통 | - Javascript 에서 일치연산자란 무엇인가요?
- 언제 사용해야하나요?
-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나요?
- 그로 인해 얻게 된 본인만의 코딩 룰이 있나요?
| - 자주 사용하고 있음
- 동등은 type casting 으로 인해 완전히 같은지 확인하지 않기 때문임
|
|
|---|
| 공통 | - Javascript 에서 호이스팅이란 무엇인가요?
- 본인은 호이스팅을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나요?
| - 잘 설명했음
- scopre, context, 변수 선언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음에 대해서 설명
- ES6 부터는 호이스팅을 사용학 있지 않음
|
|
|---|
| 개인 | - FE 분야 스터디를 주도하고 싶다고 했는데 어떤 부분에 대해서 하고 싶나요?
| - Typescript, Javascript 기초에 대한 스터디
- Angular RxJS 에 대한 스터디
- Angular 공식 문서 시터디
- React 신규 문서에 대한 스터디를 하면서 도움을 받았던 적이 있음
|
|
|---|
| 직무-Skill | 공통 | |
|
|
|---|
| 공통 | |
|
|
|---|
| 공통 | |
|
|
|---|
| 직무-Attitude | 공통 |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
|
|
|---|
| 공통 |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
|
|---|
| 공통 |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 기능 명세 수행
- 필요한 것들을 수집
- 개발 전에 commit message 작성하고 구현을 함으로써 딴 길로 가지 않도록 함
|
|
|---|
| 개인 | - 본인만의 Lesson Learned 자료를 가지고 있나요? 그리고 잘 활용하고 있나요?
| - 데일리 로그를 작성
- 오류 리포트를 따로 작성 (notion, 옵실리온?)
- 본인이 작성한 내용(z-index)에 대해서 질문을 했는데 잘 답변했음
|
|
|---|
| 인재상-정직 | 공통 |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 정직하다라고 생각하는 편임
- 중학생 때, 친구 시험지 채점. 공부 잘하는 친구. 친구가 실수로 답안 빼 먹음. 친구가 맞게 해달라고 했는데 제대로 채점해서 친구와 사이가 틀어졌음
- 다시 돌아가도 그렇게 할 것음
- 사이가 틀어진 것은 다른 범주의 일이라고 생각함
|
|
|---|
| 인재상-배려 | 공통 |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 소통하면서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
- 같은 포지션의 팀원과 대화하면서 예민해졌을 때, 참으면서 배려하면서 이야기를 하려고 노력했음
|
|
|---|
| 공통 | | - 기술 도입에 대해서 이견이 있었음. typescript 을 사용하지 않았는데 적용해보자.
- 바쁜 시기여서 적용하기 어렵다는 반응
- 문서 작성해서 설득을 해 보려 했으나 문서 작성하기 전에 퇴사해서 진행하지는 못했었음
|
|
|---|
| 인재상-책임감 | 공통 |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
|
|
|---|
| 공통 |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
|
|---|
| 개인 | - 본인이 기여를 할 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 것은 무엇인가요? 구체적으로 답변을 해 주세요.
| - 기술 찾아보는 것에 관심이 많음. 다양한 기술에 대해서 관심이 있음. FE 에 한정된 것이 아님.
- 신기술을 과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
|
|
|---|
| 조직문화-소통 | 공통 |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 대화의 주제에 따라 다름
- 문제를 파악하고 업무 대화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잘 파악하는 편이라 생각함
- 일상 대화에서는 눈치가 없다는 소리를 들을 때가 있음. 다 이해했는데...
- 그래서 이해했다는 리액션을 크게 하려고 노력했음
|
|
|---|
| 개인 | - 팀의 어떤 분위기가 본인과 잘 맞는다고 생각했나요?
| - 팀 구성원들이 친절함
- 본인이 조용한 편이라 에너지 넘치는 팀이 아니고 조용한 편이라 괜찮음
- 스몰토킹 정도 나누는데 어려움 없음
|
|
|---|
| 개인 | - 업무 또는 개인적인 의사소통 시에 본인이 상대방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상대방이 본인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나요?
|
|
|
|---|
| 조직문화-긍정 | 공통 |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 일이 잘 안 풀릴 때, 통제할 수 없는 사람 (경영진) 의 이해할 수 없는 행동/결정/가치관
- 일이 풀리면 해결
- 다른 사람들(동료)와 이야기하면서 해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