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511 전략 TF 운영 - 4차 교육

항목내용비고
쎄트렉아이 미션/비전/핵심가치
  • 미션 (22년 신년회 경영기획 회의자료)
    • 우주는 우리 열정의 근원이며 우리회사의 구심점
    • 우주로부터 가치를 찾아 사회에 기여
  • 비전 (https://satreci.recruiter.co.kr/appsite/company/callSubPage?code1=3000&code2=3100&code3=3110)
    • 우리의 비전은 '세계 최고 가치의 지구관측 위성 공급자' 입니다.
      • 쎄트렉아이는 국내 유일의 위성시스템 개발/수출 기업이며, 지구관측 소형위성 개발에 필요한 3대 핵심기술을 자체보유한 기업입니다.
      • 신기술 개발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실제로 그것으 개발하고 운용한 경험이 있는 우수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회사는 앞으로도 시장이 원하는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 비전 2030 (22년 신년회 경영기획 회의자료)
    • Best-buy Earth Observation Solution Provider
  • 핵심가치 (https://satreci.recruiter.co.kr/appsite/company/callSubPage?code1=3000&code2=3100&code3=3110)
    • 도전과 기술혼
      •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것은 즐겁다
      • 우리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선도자로서 최고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이어간다.
      • 우리는 스스로 탁원할 기준을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무결점을 추구한다.
    • 고객에 대한 진실
      • 고객은 우리의 진실성과 성의를 높게 인정한다.
      • 우리는 진실성으로 고객을 대하며 이에 대한 고객의 믿음은 상호 발전의 밑거름이다.
      • 우리는 결과를 넘어 과정과 교류에서도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한다.
    • 구성원의 안녕
      • 구성원과 회사는 함께 성장한다.
      • 회사는 구성원의 역량 개발에 대한 책임을 진다.
      • 우리는 동료의 안녕을 위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한다.
  • 2025 경영목표 (22년 신년회 경영기획 회의자료)
    •  VVHR(초고해상도) 지구관측 솔루션 공급 핵심기업
    • 독보적인 저궤도 국방위성 전문기업

지상사업부문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
  • 한재중 생각
    • 지상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노하우 축적 및 활용
    • 재미/보람을 느끼며 일을 하고 싶음
      • 내가 조직의 어떤 부분에 기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할 때
      • 의도/계획한 대로 결과물이 나올 때
      • 내가 속한 조직/과제의 추구 방향에 알맞게 일을 기획하고 진행할 때
      • 다 말을 하고 보니 '재미' 측면이 없음
  • 이영란 생각
    • 희열이 느껴지는 순간
      • 기대 이상으로 성과를 이뤘을 때
    • 일을 하며 재미를 추구한 적이 없음
    • 한재중이 실장으로서 무엇을 믿느냐, 무엇을 추구하느냐가 필요함
      • 스스로 옳다라는 믿음이 필요함 → 그래야 다른 사람을 움직일 수 있음
    • 사람을 움질 수 있는 경우
      • 일의 목적이 일을 할 사람의 이익과 일치할 때
      • 일을 시킬 사람이 일을 할 사람보다 일을 2배할 때
        • 일을 할 사람이 할 일을 위해 미리 많은 일을 했을 때

강사의 지상사업부문에 대한 조언
  • 사용자 친화적인 UI 를 제공하는 측면에 집중하기
    • 다중위성/군집위성을 제어하는 부분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함
    • 디자이너의 역할 및 한계
      • 디자이너의 역할 -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필요한 화면 설계 및 디자인 with FE 엔지니어
      • 필요한 역량/인원 어필
      • 얼마나 많은 과제에서 디자이너를 요구하나?
    • 디자이너와 개발자 간의 인터페이스 및 업무 방식
    • 고객의 화면 관련된 의견 취합 정리
    • 운영 흐름에 도움을 많이 줄 수 있는 플랫폼으로 변화
    • 지상은 다른 부문과 달리 고객이 직접 사용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SW 를 만들고 있음
  • 기 개발된 내용에 대한 공유
    • 활용도 / 중요도 / 잠재성 등으로 기 개발된 내용을 분석하여 집중할 부분을 선택
  • 사용자 측면을 생각한다면 우주와의 협업도 필요함
  • (이창균 님의 의견) 사용자 화면은 과제 수주 시에 적은 포션을 차지함. 과제 수주와 관련하여 더 큰 포션을 차지하는 부분에 집중하여 방향성을 설정하고 근거를 분석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판단함

간단히 지상의 이슈에 대해서 장표 만들어 보기
  • 방향성
    • 운영자의 운영 편의성을 강화한 지상국 SW 제공
      • GUI 보다는 운영 자동화에 집중해야 할 듯 함
    • 기 개발된 자원을 재활용하여 개발기간 단축 및 견고성을 높인 지상국 SW 제공
  • 인력 측면의 아이디어
    • 전사 계정으로 각 부문마다 2~3인에 대한 인건비를 지원
    • 각 부문에서는 해당 인력을 뽑아서 과제 직접비가 아닌 전사 계정 (간접비) 로 업무 투입
    • 각 부문에서는 과제 별로 영업이익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선제적으로 인력 확보 가능
    • 회계적으로 이슈가 존재하지 않는지 확인이 필요함


외부/내부환경구분분석결과분석근거
​외부(External)Political (정책)​

1. 민간 우주산업 창출  비중 증가

  •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우주산업 초기 시장 창출
  • 재난재해 관측 데이터 확보 위성 확대
  •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공청회​ 23, 28, 29p

Economics (경제)

1. 정부의 우주 R&D 투자 금액이 계속 증가

  • 연평균 8.6% 증가
  • GDP 대비 우주 투자 비율 증가
    • 선진국 대비 많이 낮은 현재
  •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공청회​ 13p


2. UI/UX 시장 규모 증가
  • 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Social (사회)

1. 민간이 우주기술 혁신의 주체로 부상 

  • 초소형 군집위성 시스템
  •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공청회​ 7p


2. 단일 위성 및 군집 위성을 위한 지상국 필요
  •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공청회​ 41p


3. 의사소통을 통한 SW 개발 생산성 향상 

  • 고객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개발 방향 설정 및 오류 제거


4. 위성 지상국 관련 기업의 신규 과제 참여 증가
  • 한컴 인스페이스, 컨텍 (경쟁 입찰에서 우리가 진 경우) 

Technological (기술)

1. 웹 화면과 관련된 기술이 끊임 없이 등장

  • 많이 사용되는 기술은 top 3 (React, Angular, Vue) 가 존재


2. SW 에 대한 UI/UX 의 기여도 존재

  • SW개발 과제의 경우 15% 추정
  • 지식정보서비스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내부(Internal)Strategy

1. 부문의 비전 수립 및 정기적인 공유 필요

  • 부문 생활 및 업무 수행 시 구성원의 공감대 구성 필요
  • 7s 설문조사 공유가치


2. 핵심 수행 과제 선정 및 자원 투입 필요

Process

1. 요구사항 분석부터 화면 설계까지 디자이너 참여 과제 증가

  • wireframe 작성까지 디자이너 참여율 증가
  • GK2 SOC / ESGS / JGS / STP 과제 등
    • 요구사항 분석 참여도가 낮은 과제도 있었음

Resource1. SW UI/UX 디자이너 보유 및 디자인 프레임워크 구축
  • 박혜영 (6년) / 배서연 (3년) 디자이너 보유
  • 디자니어들이 구축한 디자인 프레임워크 confluence page


2. 디자인 프레임워크 구축으로 인해 디자인 업무 효율성 증가
  • 디자니어들에게 인터뷰한 결과


3. 우수 개발 인력 보유


4. 신규 인력 채용에 어려움 존재


5. 지상사업부문의 공통모듈 구축 및 사용
  • C++/C# 공통모듈 라이브러리 존재
  • 공통모듈 활용 시도 로그


6. 신규 공통모듈 식별 및 반영 횟수 감소
  • 최근 3년 공통모듈 등록 현황 및 과제 별 필요로 하는 모듈 리스트


7. 신규 인력 확보 및 인력 유지를 위한 투자 필요
  • 기존에 예산 기반 인력 예측했던 자료
  • 공격적인 인력 확보 (전사 예산 사용)

Organization1. 디자인 및 FE 전담 부서 부재


2. 팀 간 도메인 및 기술 중복 존재
  • 7s 설문조사 조직구조


3. 공통모듈 관리를 위한 전담 부서 부재
  • 1인 관리로 인해 수동적인 관리
SWOT내용근거
​Strength

​EP-1, EE-1, ES-1, ET-1

IS-1, IP-1, IR-1, IO-1

Weakness

Opportunity

Threat

구분전략근거
​SO
S1, W1, O1, T1​
ST

WO

WT


비지니스 모델

<Value Proposition Canvas>

  • Costomer
    • 위성 운영 기관
    • 위성 사용 기관
  • Products & Services
    • 위성 운영
    • 위성 영상 획득
  • Gain Point
    • 위성 사용 기관
    • 위성 운영 기관
  • Pain Point
    • 위성 사용 기관
      • 원하는 지역을 원하는 시점에 촬영할 수 없음
      • 원하는 영상을 받아보는데 시간이 오래 걸림
      • 원하는 영상을 얻기 위해 촬영/수신계획을 수립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됨
      • 영상 획득 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찾기 어려움
    • 위성 운영 기관
      • 24시간 운영을 위한 모니터링 인력 필요
      • 위성의 문제 상황에 대한 원인을 찾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림

강사의 과제 리뷰 - 분석 방법
  • SWOT 분석 시, 각 분류별로 나온 항목의 개수와 Cross SWOT 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SWOT 의 개수는 동일해야 하며 각각 5개 이내로 수행하는 것이 좋음
  • 분석 내용 중 시사점 부분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구분해서 표기하면 좋음

전략 수립 프로세스 by 강사
  • 풀어야 할 이슈/현안 → 문제 정의 → 명제 설정 → 근거를 위한 외부/내부 환경 분석 → SWOT 도출 → SWOT 기반 전략 도출 → CROSS-SWOT 분석 기반 전략 방향 도출 → 명제 기반 Value Proposition Canvas (VPC) 구성 → VPC 의 Products & Services 를 Value Propositions 로 설정하여 Business Model Cavnas 구성 → 목표/전략방향/전략과제 수립 (CROSS-SWOT 분석 기반 전략 방향을 기준으로)
    • 전략 과제를 수립/구체화 할 때, VPC/BMC 를 통해 도출할 수 있음

과제
  • TBD

Attach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