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 답변 |
|---|---|
|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 무엇을 배우고 부족한지 스스로 회고하는 시간 |
|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 |
수습은 잘 종료했나? | |
| 수습 목표 3가지 (문서화/커뮤니케이션/작업수행) 을 잘 달성했나? 그 근거는? | |
|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 작업 내용 정리, 요약을 통해 검토자를 배려 |
| 본인에게 리팩토링을 자극하는 요소는? | |
| 기억에 남았던 PR 피드백은? 왜? 그로 인한 변화는? | |
| 자신만의 용어집을 만들었나? 대략 몇 개의 용어가 정리되어 있나? 가장 최근 추가한 용어는? | |
화면만 보고 발표 진행. 발표 연습 얼마나 수행? 면접 발표와 다소 다른 느낌. 참여자, 발표 시간 고려? | |
학습 및 정리에서 최후의 고민은 작성한 내용을 어떻게 하면 더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을까 가 아닐까 싶음 학습한 내용에서 꼭 필요한 부분을 혹시 별도의 페이지로 구성했나? 마치 wiki 처럼 (데이터 중복을 피하면서 link 를 통해 세부 내용을 찾아갈 수 있도록) | 왼편의 내용을 설명해줬음 |
| workflow 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에 대해 본인이 제안? 얻어지는 이득은? | 본인이 설계했다고 발표 자료에 존재 수정 내용이 주는 장단점을 꼭 생각해야 함. 장점만 보면 먼 길을 돌아올 수 있음 |
service 자동 실행은 무한 재실행? 1회 재실행? 재실행이 되었음을 시스템 레벨에서 인지 필요? 어떻게 인지? | |
| 실패하는 테스트 케이스는 어떤 기준으로 얼마나 많이 작성? | |
| ADE / SOE / DSE 약자의 Full Name 은 무엇? | 용어집은 한동안 관리가 필요함 |
| 기존에 Shiro 를 사용한 이유가 있었을 것임. DB 로 변경해서 해당 목적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지 확인했나? | 역시, 개선하는 부분에 대해 설계의 장단점을 고민해야 함 |
| CNU SW 아카데미에서 만들었던 RPA 와 과제에서 구현한 스케줄러와 무엇이 어떻게 다른가? | |
| mark 사용하지 말고 mirror 에 yyyyMMdd 까지의 경로를 만들어주면 되지 않나? 왜 mark 가 필요한가? | mirror 와 mark 의 상위 디렉토리가 동일함 file watcher 는 file 만 감지하기 때문에 marked 파일을 생성했음 |
| 질문 | 답변 |
|---|---|
| 오늘 발표의 목적은 무엇인가? | |
|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 |
수습은 잘 종료했나? | |
|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 |
| 기존 직장 대비 쎄트렉아이에서의 새로운 문화가 무엇이었나? 잘 받아들여졌나? | |
|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 |
| java 와 많이 친해졌나? 테스트 코드 작성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한 문법적인 skill 은? 예를 들면 ParameterizedTest 등등. | given when then 구조를 지키기 위해 노력함 가독성 좋음. BDD 방식 |
작성한 테스트 코드 중 가장 기억에 남은 테스트 코드는? 어떤 이유에서? | 정규표현식 관련 테스트 코드 query 실행시키는 코드를 스스로 만들었던 테스트 코드 → 정말 없었나? |
| GSQMS 에서 테스트 코드의 코드 커버리지를 측정해 본 적이 있나? 얼마나 되나? 각 과제에서 코드 커버리지를 얼마나 맞춰야 할까? | |
| 정규표현식 중 가장 많이 사용한 것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페이지가 있나? | 정리 페이지 없음 북마크는 해 놓았음 |
| 업무 의사소통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 테스트 가이드에 '목차' 존재? 자료의 내용이 많을수록 목차는 꼭 필요함 | 목차 없음 |
| 수습 마치자마자 다소 급한 감이 있긴 하지만 김나래 과장의 빈 자리를 못 느끼게 해줄 준비가 되었나? | 열심히 일하겠다는 마음은 있음. 잘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음. |
| 많은 어떤 노력? | 구체적이지 않으면 목표로 삼을 수 없음을 이야기해줬음 |
| 질문 | 답변 |
|---|---|
| 오늘 발표의 목적은 무엇인가? | |
|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 |
수습은 잘 종료했나? | |
|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 |
|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 |
| 본인이 이해한 지상이 나아가야할 DevOps 방향은? 최소 품질 기준이 현재 정의되어 있지 않음. 본인이 제안한다면? | 기능 개발이 빠르게 테스트 단계까지 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 강력한 규칙 필요 → 코딩 convention, 정적 분석 지표, test code coverage |
| 삽질을 어떻게 했나? 삽질의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면? | 삽질도 정리하며 해야 한다고 전달했음 |
| FastAPI 에서 messenger 를 호출하는 부분이 추상화 되어 있나? chat 에서 slack 으로 쉽게 갈아탈 수 있도록... | 전달했음 |
| CI 만 있으면 소프트웨어 품질이 유지되나? 필수로 필요한 것은? | DevOps 방향 관련된 질문의 답변으로 갈음 |
File 복사, DB Dump 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텐데 다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어떻게 확인? 그 사이의 데이터 intergrity 는 어떻게 검증? → 어차피 QA 혼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관이 없나? | 전달했음 |
| 목적과 목표 구분하기. 목표는 가능하면 측정가능한 수치를 기반으로! 수치를 적을 수 없다면 최대한 구체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