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CAS18N] CAS18N-EXT-007 (2018-12-12) - Meeting with 1/2/3세부

320. 참석자

  • 김태정 교수, 신정일 교수, 연구실 여자, 연구실 남자 (인하대)
  • xxx 전무
  • 공간정보기술 남자1, 2
  • 공간객체추출 담당 남자3??
  • 모자이크 남자1, 2
  • 최재승, 한재중 (SI)

320.1. 배석도

___________니트 조끼 입은 50대 남성(??? 전무), 신정일, 블랙야크 파카 입고 안경 쓴 남성 (신안? 공간정보기술, 변화탐지), 검은 파카 입고 검은 뿔테 쓴 남성 (신안? 공간정보기술, 변화탐지), 흰색 맨투맨에 검은 뿔테 쓴 남성(공간객체추출 담당), 김태정, 연구실 소속인 것 같은 여성, 여구실 소속인 것 같은 남성

 

스크린

 

___________최재승, 한재중, 모자이크 담당 남성1, 모자이크 담당 남성2

321. 일시/장소

  •  14:00 ~ / 인하대학교

322. 회의 내용

논의/주요 언급 주제내용
1차년도 결과 브리핑 (김태정)
  • 1차년도는 큰 이슈 없이 서류 작업이 마무리되어가는 중
  • 지리원 운영실이 2019년 4/4분기에 준공이 될 예정임
  • 그에 따라 지리원에서 실제 운영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해 시연을 바라는 눈치임
  • 2차/3차년도 계획이 그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상황임
  • 현재 사업의 진행 상, 지리원의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기 어려움
모니터 크기
  • (최재승) 각 S/W 을 개발할 때, 설계된 모니터의 해상도 (2560x1440) 을 넘지 않게 개발을 해 달라고 언급함
H/W 배포
  • 전산실에는 System Rack 에 서버들 위치
  • 워크스테이션은 시스템 운영실에 위치
정밀영상생성시스템 구성
  • GCP DB 는 SQL 서버에 저장
  • DEM DB 는 정사보정 서버에(질문) 저장
  • DEM 의 경우, 3세부에서 생성한 DEM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님. 지리원에서 제공하는 것을 사용
  • (김태정) 정밀영상에서는 특정 영역 (한반도?) 에 대해서만 GCP/DEM 정보를 갖고 있음. 수집시스템에서 표준 영상 처리 후에 정밀영상 생성을 요청할 때, 해당 지역이 정밀에서 처리가 가능한지 아닌지 판단해야 함. 수집시스템에서 어떻게 처리할 계획인지 확인 필요. SI 에서 알려주었으면 함
    • (최재승) 특정 지역에 대한 영상을 구분하는 기능을 담은 S/W 는 이미 있으며 KARI 에 운영 중임 (DDS 를 뜻하는 듯)
  • (김태정) 정밀영상생성서브시스템 W/S 에서 자동기준점 매칭 성공율이 50% 정도임. 그래서 정상 운영을 하기 위해서 PIP 하나만이 아닌 수동으로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함. PIP 에서 해당 기능을 제공해줘도 무관함. 이는 운영자가 반드시 해야 할 일임
    • 운영자가 할 작업 중 매우 중요한 작업임
    • 숙련된 운영자라 가정하고 GCP 한점을 맞추는데 최대 3분 소요될 것으로 예상
  • (김태정) 영상융합모듈도 정밀영상생성서브시스템 W/S 에 포함되는 것이 맞음
  • (김태정) 정밀영상생성시스템의 구성도를 다시 그려서 최재승 PM 에게 제공해 주겠음
자동 기준점 매칭 S/W
  • 자동으로 될 수 있는 요소가 있지만 별도의 프로그램으로 띄우는 개념임.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부분
GCP 관리 S/W
  • GCP DB 를 수집의 MS SQL 에 설치한다고 했기 때문에 활용쪽에서는 해당 정보를 볼 수 없음
  • GCP 관리 S/W 를 설치할 HW 가 필요하며 그 HW 는 현재 예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
    • 하지만 WS 하나를 추가하는 것은 예산 상 무리가 없는 상태임
  • GCP 관리 SW 가 web 이어도 서버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WS 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나아보임
  • GCP 관리 SW 는 별도의 HW 에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운영하기로 함
2세부 DB 형식
  • (김태정) DB 형식이 필요하면 전달이 가능함. 필요한가?
  • (최재승) 필요하지 않음
활용물 생산
  • (김태정) 1세부와 3세부의 활용물 생성과 관련된 흐름을 도식화하여 다음 주 발표 때 발표 자료에 넣어주었으면 함
  • (김태정) 지난 언젠가의 회의 때, 검색및 주문에 아래의 내용을 요청했음
    • 특정 영역에 대해 신규 촬영 영상을 기반으로 A 활용물을 만들고 싶다고 사용자가 등록하면 검색주문관리 서브시스템에서 해당 정보를 알려주는 기능을 만들어 달라고 했음
    • 김태정 교수의 이야기는 영상 자료가 부족한 영역에 대해서 활용물 생산 주문을 넣고 영상이 다 생성되었다는 알람을 받기를 원하는 것 같음
    • 위의 내용은 내부 사용자에 대한 것임. 외부 사용자는 현재 설계된 내용대로 해도 상관없음.
      • 내부 사용자가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어떤 식으로 체인을 만들 것인지 고민이 필요함
활용물 생산의 입출력
  • (스크린 윗쪽 4번째 남자) 활용물 생산에 필요한 정보(다른 활용물, 정밀영상, Shape 등)는 지원 S/W 에 의해 모두 제공받을 수 있는가?
  • (최재승) 각 활용물의 입출력에 대해서 정의가 필요함
  • (김태정) 중앙항업에서 중앙자료(질문)를 구축(질문)
  • (스크린 윗쪽 4번째 남자) 지원 S/W 에서 ROI 를 제공해 주는가?
  • (최재승) 자료관리 서브시스템에서 ROI 에 해당하는 영상을 제공 가능함. 활용물 생산 시 입출력을 정리하면 설계에 반영이 가능함. 오늘 자리에서 정하면 좋고 아니면 AI 로라도 잡아서 관리해야 함
  • (스크린 윗쪽 4번째 남자) Scene 이 아니라 Scene 을 ROI 에 대해 자른 영상을 제공해 주나?
  • (최재승) 자르지 않음. Scene 단위로만 제공
입체 기하수립 S/W
  • (김태정) 산출물이 나오는 것이 아님. 입체화면을 도시해 주는 것임. 지리원 기본 설계에는 없는 내용임. 지리원 로비에 설치되는 3 대의 모니터에 입체 기하영상을 출력해줘야 하기 때문에 입체 기하수립 S/W 는 그쪽에 설치되어야 함. 각 AGS 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StandAlone 으로 동작해야 함
  • (김태정) L1RP 2장이 있으면 입체 기하 영상 전시가 가능함
  • (김태정) 데이터를 USB 등을 통해서 수동으로 가져오는 것은 불편해보임. 네트워크로 연결된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영상을 얻어올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으면 함
  • (최재승) 활용시스템 내부와 연결되는 네트워크가 아니라면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다운 받아서 사용해야 함. 지원 S/W 는 운영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기능만 제공함
  • (김태정) 운영 개념에 대해 준비하여 SI 에 제공하겠음. SI 검토 요청하겠음
활용산출물 출력 형식
  • (스크린 윗쪽 5번째 남자) Shape 형태로 나올것으로 생각함. 하지만 현재 정의되지는 않았음
  • (김태정) Vector 가 아는 Raster 형식일 것임. 하지만 그 안에 어떤 주제를 담을 지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음
  • (스크린 윗쪽 3번째 남자) 변화탐지를 하기 위해서는 공간객체 추출 결과와 DEM 정보가 필요함
  • (스크린 윗쪽 5번째 남자) 공간객체 활용물 생산을 위해서도 DEM 정보가 필요함
  • (김태정) 각 활용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특정 영역에 대해 모자이킹된 영상이 필요하지 않나? (윗쪽 3~5 남자) 그러함
활용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 (윗쪽 3~4 남자) 지원 S/W 를 통해 영상만 다운로드 받고 운양자가 수동으로 생성하는 것이 맞아보임
활용물 입력 데이터
  • (김태정) 활용시스템에서 검색한 결과가 활용물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지 확인을 해 줘야 함
  • (윗쪽 4 남자) 활용물 DB 이 내용을 내부 운영자가 검색할 수 있는가? (최재승) 가능함
  • (윗쪽 5 남자) ROI 단위로 나오는 활용산출물을 어떻게 관리하 것인지가 이슈임. 왜냐면 사용자 별로 ROI 가 다를 것이기 때문임.
  • (윗쪽 3 남자) 활용물 생성을 위한 입력데이터 (타 활용물) 가 없으면 어떻게 요청할 것인지 고민이 필요함
  • (김태정) 각 활용 산출물 담당 업체들이
활용물 주문 화면
  • (김태정) 각 산출물에 따라 주문 입력 화면 구성이 변경되어야 함. 예를 들면 Stereo 의 경우, pair 가 되는 영상 표기.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서 SI 에 전달해 주겠음
  • (김태정) DSM/DEM 이 아님. 본 과제에서는 DSM/DTM 을 사용하기로 했음. (최재승) 해당 슬라이드에서만 오타였음
  • (한재중) 활용물 주문을 할 때는 필요한 영상이 존재하는지 확인이 필요함. 없다면 해당 Catalog 가 입력 데이터로 생성되지 않아야 함. 그리고 검색주문관리 서브시스템으로 Catalog 에 대한 표준영상/정밀영상 생성 여부를 전달해 줘야 함
활용물 생산 S/W 환경
  • (김태정) 각 담당 주체에서 S/W 이름을 정해서 12/13까지 SI 에 전달해야 함
  • (모든 주체) Windows 10 Pro 에서 S/W 구동하는데 문제 없음
DBM (Building Model) 제공
  • (윗쪽 5 남자) DBM 제공 받을 수 있나요? (김태정) 없음. 그거 만드는 과제만 65억 필요함
운영시간 관련
  • 현장에서 질문을 했으나 어느 누구도 대답하지 않음
활용물 생산 단위
  • (김태정) 모자이크를 제외하고 나머지들은 도엽단위 1:5000 을 사용하기로 했음

323. AI

324. 다음 회의

325. 느낌

  • 최재승 PM 과 김태정 교수가 나름 각을 세우는 느낌
  • 김태정 교수가 본인 발표할 때는 많이 유해보이더니...최재승 PM 발표 시에는 굉장히 까칠해졌음. 표정도 사뭇 달랐음 (짜증이 묻어있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