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420 전략 TF 운영 - 2차 교육

항목내용비고
실습 - STQ

Situation

(현재의 상황과 향후 전개 방향)

Trigger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장애요인 및 극복 가능한 대안)

Question

(핵심 문제)

  •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업무가 몰리는)가 있음
  • 산출물 품질은 낮아지고 인력이 모자람
  • 적정한 인력과 산출물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를 줄이고 싶음
  • 어떻게 해야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를 줄일 수 있을까? 

  • 직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변화가 필요함

의사결정자성공기준
  • ​부문장 / 실장 / 그룹장 / PM / 팀장
  • ​산출물 품질이 현재 상태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 줄어드는 것
해결방안의 제약사항해결방안의 범위
  • 법적 조항
  • 형평성
  • 대상/공간은 지상사업부문 인력
  • 시간은 2년으로 함
    • 할 일과 인력 구성 변경으로 인해 주기적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실습 - Logic Tree
  • 전문성 있는 사람에게 일이 많이 감
  • 신입에게는 일이 적게 감
  • 교육이 부재함
  • 전문 인력이 부재함


어떻게 해야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를 줄일 수 있을까?역할로 구분



비보직자팀원월 근무시간 준수



업무 수행 전문 교육

보직자PL근무시간에 적합하게 업무 할당팀원 역량 파악




업무 범위 파악


PM과제의 필요 인력 유지


부문장/실장/팀장부문의 인력 Pool 및 역량 유지2년 이내 필요 인력 파악




현재 인력 역량 향상

시스템 관리자
법적 근로시간 준수 시스템 구축

실습 - Pyramid Structure
    • 결론
      • 핵심 인력 업무 의존도 해소 전략
        • 막대한 보상을 치르더라도 전문 인력 채용 및 기존 인력 역량을 단기적으로 증진하는 교육을 실행하여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를 줄여야 한다.
    • Argument 형
      • Situation
        • 구성원의 근무 시간에 차이가 있음
          • 선임 및 일을 잘하는 사람에게 일이 몰림
          • 신입 및 역량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일이 적게 할당되고 있음
      • Complication
        • 이로 인해 우수 인력은 근무 시간이 증가하여 법적 근로시간을 초과할 위험이 있고 비우수 인력은 실제 근무시간이 법적 근로시간에 부족함을 보이고 있음
      • Resolution
        • 전문 인력을 추가 채용하여 인력을 늘려야 함
          • 헤드헌팅 등
        •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비우수 인력에 대한 교육을 수행해야 함
      • Expectation
        • 그를 통해 구성원의 업무 할당이 균일해 질 것이고 산출물의 품질도 유지될 것임


    • 강사님 검토 후
      • 결론
        • 직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변화가 필요함
      • Argument 형
        • Situation
          • 전체적인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음
            • 품질 점수 하락
            • 일정 지연 빈도 상승
        • Complication
          • 특정 인원에게 업무가 몰림
            • 일을 잘하는 사람에게 일을 주는 것이 당연시 되는 문화가 있음
          • 업무를 많이 수행하는 사람들이 불만을 표출하고 있음
          • 업무를 많이 수행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은 생산성이 평균 이하의 수준에서 향상되고 있지 않음
        • Resoulution
          • 제도
            • 교육을 통해 구성원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 증진
            • 헤드헌터를 통한 전문 인력 추가 확보
          • 문화
            • 사람을 보고 일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역할을 기반으로 일을 할당
          • 직원 만족도
            • TBD
      • Grouping 형
        • Why?
          • 전체적인 생산성이 떨어지고 있음
            • 품질 점수 하락
            • 일정 지연 빈도 상승
          • 특정 인원에게 업무가 몰림
            • 일을 잘하는 사람에게 일을 주는 것이 당연시 되는 문화가 있음
          • 업무를 많이 수행하는 사람들이 불만을 표출하고 있음
          • 업무를 많이 수행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은 생산성이 평균 이하의 수준에서 향상되고 있지 않음
          • <각 내용에 대해서 근거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함>
        • How?
          • 제도
            • 교육을 통해 구성원의 전반적인 업무 역량 증진
            • 헤드헌터를 통한 전문 인력 추가 확보
          • 문화
            • 사람을 보고 일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역할을 기반으로 일을 할당
          • 직원 만족도
            • TBD

강사 의견 - STQ


SituationTriggerQuestion기타
  • ​Fact 를 작성해야 함
    • 주관적인 의견이 아니라 객관적인 사실을 작성해야 함
  • 문제가 되는 내용을 정확하게 기술해야 함
    • 문제시 되는 것을 명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focusing 이 되어야 함. 애매모호하게, 광범위하게 fact 를 작성하면 trigger/question 을 제대로 추출할 수 없음
  • ​Fact 에 대한 장애요인이어야 함
    • 산출물의 품질이 낮아지는 이유에 대해서 접근해야 함
    • 그를 통해 Question 을 만들어야 함
      • 제도적/운영적
  • ​측면을 나누어서 MECE 하게 만드는 것도 좋음
  • Trigger 르 제한조건을 꼭 포함하여 Question 을 만들어야 함
  • 기획력 향상을 위해서는 주관성에 매몰되어서는 안됨
    • 사고의 확장과 축소를 유연하게 할 수 있어야 함 → 본 교육의 목표 중 하나
  • 효율 vs 효과
    • 효율은 비용 절감
    • 효과는 비용 유지하면서 개선되는 부분 (질문)
  • 이슈트리의 핵심
    • 답을 뽑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려해야할 사항이 무엇인지 충분히 고민해보는 것이 필요함

피라미드 글쓰기 실습 - 삼국지
  • 내가 작성한 내용
    • Argument 형
      • 동맹군이 낙양을 함락시키려고 함 → 낙양에는 동탁을 반대하는 내부 적이 많이 있음 → 동맹군의 목표는 수도 낙양을 함락시키는데 있고 장안은 방어도 유리함 → 현재 수도 낙양을 버리고 장안으로 천도하면 1석 2조임 → 우리는 내부 위험 제거와 방어력 향상을 위해 낙양에서 장안으로 천도해야 함
    • Grouping 형
      • 우리는 내부 위험 제거와 방어력 향상을 위해 낙양에서 장안으로 천도해야 함
        • 낙양에는 내부의 적이 많음
        • 장안은 굳건한 방어가 가능함
          • 동탁의 홈그라운드와 같은 곳
        • 동맹군의 목표는 수도 낙양을 함락하는 것
          • 동맹군에게 성취감이 아닌 상실감을 줄 수 있음
  • 검토 의견
    • 핵심 결론은 '아무것도 남지 않은 낙양' 을 포함해야 함
    • Grouping 형에서는 Why? How? 를 고려해야 함

과제
  • 외부/내부환경 분석
    • STEEP(외부), 7S(내부) 방식으로 지상사업부문의 환경 분석해보기 → 생각해보기
  • 7S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타 기관 대비 떨어지는 항목에 대해서 주요 이슈 도출
    • 전사 평균이지만 각 부문의 생각을 정리해보기
  • 과제 수행을 위한 참고 자료는 강사 제공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