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4월 17, 2023
217.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218. 기록 내용
- 현재 퇴사 상태
- 새로운 것을 개발하는데 익숙
- 눈을 잘 마주치지 못하고 답변을 함. 소극적인 모습
- 단위테스트 정의, 결과서 작성 경험
- SW 를 처음부터 개발했던 것은 제조 작업자 관리 프로그램, 안드로이드 app
- SQL Query 기본은 알고 있음
- 개발 관련 기본 지식은 있어보임
- 같이 일하는 팀장에게 reference 구한다면 뭐라 답할까?
219. 내 서류 평가 의견
경력(4.6) - 학사 - 3.17/4.5 - 군필 희망 5000 - 직전 4200 서울 거주 인프라시스템(4.6) 재직중 C# 개발 경험 있음 - ERP 개발 MSSQL 사용 경험 있음 - Stored Procedure 사용 성적증명서에 개별 학점이 없음 성적이 좋지 않음. 전공의 경우, 평균 B0 정도 직장 생활에서 소극적인 성격 고침. 시간이 해결해 주고 도메인 지식이 해결해 줌 DB 최적화, 쓰레드, 소켓 통신 경험 강조 고객의 불편을 해결하는 유지보수 경험 현재 재직 중이라면서 이전 회사를 퇴직한 이유라고 표현한 것이 무엇이지? 일단 면접 가능한 사람 |
220. 질의 응답
| 구분 | 공통/개인 | 질문 | 답변 | 판단(상/중/하) |
|---|
| 기본 | 공통 | | | - |
|---|
| 공통 |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SI 에서 무엇을 얻기 원하나요?
| - 개발 범위 한정됨 - 다양한 사람들에게 선 보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하고 싶음
- 다양한 경험
| - |
|---|
| 직무-Knowledge | 공통 |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
|
|
|---|
| 공통 |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
|
|---|
| 공통 |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
|
|
|---|
| 공통 |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
|
|
|---|
| 개인 | - CrossThreadException 을 경험해본 적이 있나?
| | 하 (화면 연관 thread 가 별도로 있었는데 경험이 없었다는 것이 말이 안됨) |
|---|
| 개인 | | - 5~7개 정도
- 설비에서 넘어오는 값을 표기하는 목적
- 데이터 저장목적
- 입력데이터 관리를 위해 큐를 주로 사용했음
- 화면 표기를 위해 데이터 동기화 수행
- static queue 활용, hash 를 사용하여 동기화
| 중 (static queue 를 통해 데이터 동기화하는 부분이 걸림) |
|---|
| 개인 | - Factorial 알고리즘을 본인이 설계해서 구현했나?
| - 잘 설명함
- 30분 정도 소요
- 전체적으로 1시간 조금 넘게 소요
| 상 (제대로 답변, 수행 시간 짧음) |
|---|
| 개인 | - DB 최적화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설명해 달라. 한가지 포인트만 짚자면 어떤 것이었나?
| - row 수 증가 → 조회 성능 저하
- 조회 시에 table lock 걸지 않게, index 를 통한 속도 개선
- index 를 주기적으로
| 중 (일반적인 답변) |
|---|
| 개인 | | - query 외부 노출 방지
- 기능 수정 시, 코드 수정 방지
| 상 (잘 답변함) |
|---|
| 개인 | - DB 설계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는?
| - primary key 설정
- 중복값 방지를 위해
- 정규화는 설계 시에 중복 방지 용도로 사용
| 하 (제대로 설명을 못함. 너무 기초적인 부분) |
|---|
| 개인 | | - 화성코스메틱
- 파일 120개, class 약 300개
- 2명이서 작업, 담당 팀장 1명, 본인
- 개발 4개월
- 기능 확인 - 구현 가능 항목, 개발 범위 - DB 구조 설계 - 화면 구현 - 화면에 따른 SQL 구현
- 화면 단위로 분업해서 구현
- 데이터 저장 class 구분, 기능의 구분이 필요할 때 새로 class 생성
| 중 (class 구분에 대해 설명을 제대로 못함) |
|---|
| 직무-Skill | 공통 | | - 코드를 전체적으로 try catch 걸어서 exception 메시지 확인
- 코드를 line by line 으로 뜯어보기
| 중 (논리 흐름이 없음) |
|---|
| 공통 | | | 중 (코드 형상관리 경험 있음) |
|---|
| 공통 | |
|
|
|---|
| 직무-Attitude | 공통 |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 - 변수명/함수이름 부여 방식
- 사전과제에서는 신경쓰지 못했음
| 하 (말과 행동이 달랐음) |
|---|
| 공통 |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
|
|---|
| 공통 |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
|
|---|
| 개인 | - 소극적인 성격을 나아지게 하는데 도메인 지식이 역할을 했다고 했음. 도메인 지식을 어떻게 쌓았나?
- 기존 경험을 기반으로 새로운 도메인 지식을 더 잘 쌓기 위해서 어떤 부분을 개선해야 할까?
| - 출장, 팀장 교육, 프로젝트 수행하면서 직원들과 대화
- 개선
| 중 (나쁘지 않은 접근) |
|---|
| 개인 | | - 꼼꼼하다고 생각함
- 경험을 통해서는 설명할 수 있는 근거는 없음
| 하 (경험이 없음) |
|---|
| 인재상-정직 | 공통 |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
|
|---|
| 인재상-배려 | 공통 |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
|
|---|
| 공통 | | - 업무 지연되면 트러블
- 언제까지 될지 계속 물어봄
- 안되면 내가 받아서 함
|
|
|---|
| 인재상-책임감 | 공통 |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
|
|
|---|
| 공통 |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
|
|---|
| 조직문화-소통 | 공통 |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
|
|---|
| 조직문화-긍정 | 공통 |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