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4월 17, 2023
209.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210. 기록 내용
- 전산 기본 지식이 약함
- 차분히 답변을 하는데 핵심에 대해서 의사소통하기 어려운 면이 있음
- 주변부 이야기를 먼저 말함에 따라 핵심을 전달받기까지 시간이 걸림
- 설계 경험 없음
- 의사소통이 다소 답답함
- 코딩테스트 수행 시간 = 20시간 정도
211.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고졸 - 3.8/4.5 - 군필 희망 4600 - 직전 4300 경남 거제 거주 삼성중공업(3.9) 미래 비전, 지속 성장 가능성 사규 상, 고졸 + 3년 경력 인정 C# GUI 프로그램 구현 경험 아이디어 구체화 팀의 조장 역할 5학기 성적은 준수 SW 개발 경험에 있어서 자세한 정보는 없음 자격증이 본인의 실력을 말해주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 같음 |
212. 질의 응답
| 구분 | 공통/개인 | 질문 | 답변 | 판단(상/중/하) |
|---|
| 기본 | 공통 | | | - |
|---|
| 공통 |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이미 기존 직장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 것 같은데 왜 이직?
SI 에서 무엇을 얻기 원하나요?
| - 지인을 통해 알게 되었음. 한다리 건너서 SI S/W 개발자가 있음
- 성장과 비전
- C# 개발 역량 성장하고 싶음
- 임직원에게 대표이사가 비전을 업데이트 해 줌
- 조선업보다 인공위성 도메인에서 성장하고 싶음
- 도메인 자체가 도전적인 부분
| - |
|---|
| 개인 | - 경력에 대해서는 사규 상, 고졸 + 3년 경력이 인정됨. 동의하나?
- 희망연봉의 경우, 사규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 동의하나? 직전 연봉보다도 낮을 수 있음
| |
|
|---|
| 개인 | - 어떤 이유로 고등학교에서 기계과를 나와서 SW 개발자가 되었나?
|
|
|
|---|
| 직무-Knowledge | 공통 |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 - 데이터를 UDP 처럼 막무가내로 줄 수가 없었음
- 응답을 위해서 TCP 를 선택, 데이터 신뢰성에서도 선택
- Packet Protocol 을 정의해서 읽는 파트에서 사용했음. 데이터 유효성 확인
| 중 (신뢰성을 중시했어야 했는데 응답이라는 잘못된 설명을 함) |
|---|
| 공통 |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
|
|---|
| 공통 |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
|
|
|---|
| 공통 |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
|
|
|---|
| 개인 | - 멀티쓰레드를 사용한 목적은?
- 쓰레드 간에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주고 받았나?
| | 하 (원하는 답변을 얻지 못함) |
|---|
| 개인 | - class 를 가장 많이 사용했던 프로젝트는?
- 몇 개? 누가 어떤 기준으로 class 를 나눴나?
| | 상 (본인만의 기준을 적용하려 했음) |
|---|
| 개인 | - 수행한 프로젝트 대부분 WinFrom 프로젝트로 구현을 했나?
- CrossThreadException 을 경험해봤나?
| - 자주 경험했음
- UI Main Form 에서 서로 다른 thread 가 main 을 건드릴 때 발생
| 상 (제대로 알고 있음) |
|---|
| 개인 | - Factorial 알고리즘을 본인이 설계해서 구현했나?
| - open source 활용 → 솔직함
- 잘 이해하고 있음
| 상 (솔직함. 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음) |
|---|
| 직무-Skill | 공통 | |
|
|
|---|
| 공통 | |
|
|
|---|
| 공통 | | |
|
|---|
| 직무-Attitude | 공통 |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
|
|
|---|
| 공통 |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
|
|---|
| 공통 |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
|
|---|
| 개인 | - 지속 성장 가능성때문에 퇴사한다고 했는데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그 성장을 위해 현재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 잘 알지 못하는 분야를 공부하는 것
- 입사 후, SW 를 아예 몰랐었음
- 퇴사 고민도 했음
- 공부하여 개발 역량 획득
- 사내 SW 교육 수강
- 외부 강의 수강
- 부서에 SW 개발 시니어에게 질의 응답을 통해서 배움
- 일을 먼저 하는 것을 우선함. 시간이 되면 찾아보고 정리함
- 알고리즘 역량 향상을 위해 공부하고 있음
- C#/Python 언어
- 평일 30분~1시간, 주말 3시간
- 올해 1월부터
- 백준/프로그래머스
- 못 푼 문제가 많음
- greedy 알고리즘 (최적해 구하기) - 동전 여러개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 금액에 맞는 동전 최소 개수 구하기 - 기억에 남음 - 다른 사람 코드 참고하여 이해 → 이해도가 낮은 부분이 있음
|
|
|---|
| 인재상-정직 | 공통 |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
|
|---|
| 인재상-배려 | 공통 |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
|
|---|
| 공통 | |
|
|
|---|
| 인재상-책임감 | 공통 |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
|
|
|---|
| 공통 |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
|
|---|
| 조직문화-소통 | 공통 |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 그렇게 생각했는데 면접을 보니 잘 못하는 것 같음
- 업무적으로는 잘하고 있음 → 고과가 좋은 것이 방증
- 바로바로 이해하는 편임
- 핵심 파악 안되면 바로바로 물어보는 편
|
|
|---|
| 조직문화-긍정 | 공통 |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