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3.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14. 기록 내용

  • 건강 문제
    • 우울증상, 저체중, 수면패턴 불규칙
    • 병원 진단을 받은 것은 아님
  • 반도체 분야에서 벗어나고 싶은 생각이 있음
  • 사전과제 36시간 투입
    • factorial 13~14 시간 투입
  •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지는 않았음
    • 멀티캠퍼스에서 프로젝트 진행 중
  • 전산 기초가 없음


215. 내 서류 평가 의견

경력(3.10) - 학사 - 3.41/4.5 - 군필
희망 4000 - 직전 4000
아이쓰리시스템(3.10) - 퇴사, 교대근무 건강악화
JAVA 희망
ShareBridge 개발 경험 (JAVA Spring)
멀티캠퍼스 6달 수강 - 퇴직후 수강
경력은 인정하기 어려움. HW 개발 공정의 경험임
반도체 엔지니어에서 IT 개발자로 전환 시도 중
의지가 있어보임. Web, Application 의 차이점도 인지하고 있음

216. 질의 응답

구분공통/개인질문답변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 지원서 상, 4/2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SI 에서 무엇을 얻기 원하나요?


직무-Knowledge공통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공통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공통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 상속개념은 알고 있음
    • member service, dao 에서 상속 구조 사용


공통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개인
  • 전산 전공 대비 부족한 부분이 뭐라고 생각하나요?
    • 그 부분을 따라가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나요? 하고 있나요?
      • 그 결과가 어땠나요?
  • 교육 하루 8시간 * 4개월
    • JAVA 문법 교육
    • 강사 예제 따라하기
  • 복습하기
  • 알고리즘의 경우, 못 풀었던 문제 풀려고 고민
    • 검색 활용
    • 작성한 코드를 line by line 디버깅
    • output 확인하며 디버깅
  • 서류 통과 연락을 받고 어떻게 합격을 했을까 생각이 들었음
  • 디버깅 하는데 일가견이 있다고 생각함
    •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회원 가입 등이 DB 문제로 정상 동작하지 않았음
      • github 에 특정 파일이 누락되었었음
  • 다룰 수 있는 언어가 적음
    • 보완하는 노력은 없음


개인
  • pwd 가 varchar 임. 암호화를 하지 않은 것인가?
    • 암호화를 하지 않은 이유는?
      •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암호화를 하겠나? 그 이유는?
  • 암호화 하지 않았음
    • 생각해보지 못했음
      • 소수 적용 방법


개인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무엇인가?
    • 어떤 특징이 있는가?
      • 어떤 경우에 사용을 해야 하는가?



개인
  • DB 에서 외래키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 사용의 용이성
    • 데이터 일관성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하지 못함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