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190. 기록 내용

  • 백준 문제 풀이, 자바의 신 책 학습
  • 문제 풀이가 좋은가? 프로그램 구현이 좋은가?
    • 제대로 답 못함. 문제 풀이가 좋은 쪽

191.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3.89/4.5 - 군필
희망 3200
세종 거주
성적 준수. 전산 과목 6~7개 정도 수강. 성적 좋음
JAVA 주로 했음
DB 실습에서 IT 과목 관심 갖고 1등함
3개월 30KG 감량, 도전과 기술혼, 새로운 것 시도에 즐거움, 배움의 즐거움
IT 역량 강화 프로그램 - 요구사항부터 프로그램 구현까지 경험

192. 질의 응답

구분공통/개인질문답변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 지원서 상, 4/1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SI 에서 무엇을 얻기 원하나요?
  • 개발자를 하고 있는 지인이 회사를 추천
  • 인공위성을 경험하기 어려워서 지원
직무-Knowledge공통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 TCP 만 들어봤음
    • 특성은 모름


공통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공통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공통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개인
  • 사전과제 Factorial 에서 배열을 사용하지 않고 HashMap 을 사용한 이유는?
  • 그냥 떠오르는 것을 사용했음
  • Key 를 어떻게 사용할 지 딱히 고민하지 않았음
하 (고민이 없음)

개인
  • 자연어를 SQL 로 변환하는 것은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나?
    • 해당 알고리즘은 누가 정했나?


개인
  • Listener 에서 본인의 역할은?
    • FE/BE 의 API 는 누가 설계?
    • DB 로 Oracle 을 선택한 이유는?
  • 자유게시판 CRUD
    • BE/FE 모두 구현
    • REST API 사용하지 않았음
    • MVC 방식으로 구현
    • java spring framework 에서 view 를 사용했음 (어노테이션, requestMapping)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개인
  • 기억에 남는 새로운 시도가 무엇인가요? 가능하면 최근 것으로요
    • 왜 그 시도를 했나요?
      • 결과는 어땠나요?
        • 그로 인해 본인의 삶/가치관/역량 등등의 측면에서 변화된 점이 무엇인가요?
  • 유럽 1달 살이
    • 막연하게 시작 → 축구로 인해 시작
    • 사람을 보는 눈이 달라졌음
      • 여러 사람이 있구나를 느낌
        • 한국은 여유 없음. 유럽은 여유로움
      • 급하게 해야 할 때, 협업할 때, 사람에 대한 이해를 먼저 하려고 함
        • 이해하고 설득하는 쪽으로
상 (즉흥적인 모습이 보임)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개인
  • 소통하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고 했는데 소통의 대상이 무엇인가?
    • 현재 본인의 상황 상, 겪고 있는 또는 예상되는 어려움이 무엇인가?
      •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가? 할 계획인가? 
  • 팀원
    • 먼저 다가가기
    • 말 안통하는 상대
      • 그 사람에게 맞춰줌
        • 상대방이 그렇게 표현하는 이유를 물어보고 나의 생각을 말해주고 적당한 타협점을 찾음
상 (이건 다차원적)

개인
  • 소통을 원활하지 않아서 고생했던 경험을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세요.
  • 소통을 잘 하지 않았던 팀원
    • 내 것을 끝내고 그 친구의 진행 상황 확인. 먼저 다가가기
중 (일차원적)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개인
  • 프로그래밍을 부정적으로 바라본 이유는?
    • 인생의 결정이라 할 수 있는데 단순한 흥미가 직업으로 변경된 이유는? 
  • 막연히 벽이 있다고 생각했음
-

개인
  • 신중한 성격? 즉흥적 성격?
  • 즉흥적 성격에 가까움
    • 계획을 잘 짜지 못함
    • 상황이 변화하는 것에 맞추기 위해서는 즉흥적인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함
    • 경험이 쌓이면 나아질 것
      • 이해를 해야 함
        • 시간을 투자함. 문제 해결해도 완벽히 이해할 때까지 보는 편
          • 백준 문제를 revise 한 경험 - 거의 매일 하고 있는 편
            • 내가 스스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전제조건 - 성능
중 (업무의 수정 사항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