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4월 12, 2023
185.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186. 기록 내용
- 성격이 급함
- 영업사원? 말을 잘하는 편
- 다누리에서 영역을 생성하는 기능 구현
- 알고리즘은 KARI 에서 제공. 공식은 Open Source 사용.
187. 내 서류 평가 의견
경력(8.8) - 고졸 - 군필 희망 6200 - 직전 5000 대전 전민동 거주 공군 중사(7.10) - 한컴인스페이스(0.10) 재직중 달탐사선 지상국 SW 개발 TPF SW 최적화 업무 수행 -> 끌리는 포인트 C# 희망 WPF 경험 등 방산에 적합한 사람이 아닐까? |
188. 질의 응답
| 구분 | 공통/개인 | 질문 | 답변 | 판단(상/중/하) |
|---|
| 기본 | 공통 | | |
|
|---|
| 공통 |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이직?
SI 에서 무엇을 얻기 원하나요?
| - 회사의 큰 프로젝트가 다누리 하나임
- 개인 커리어를 달성하고 싶음. 그게 뭐지?
|
|
|---|
| 개인 | | - 군/개발
- 7년 동안 개발 수행 (가능하면 다 인정받기를 원함)
|
|
|---|
| 개인 | | - 뒤죽박죽 되어 있음
- 유즈케이스를 개발 말미에 작성
- DT (Development Test) / OT (Operation Test)
| 하 (개념을 약간 알고 있음. 경험은 뒤죽박죽. 경력대비 아쉬웠음) |
|---|
| 공통 | - 왜 군에서 웹 개발했는데 왜 웹 프로그램 FE 가 아닌 지상국 SW 개발 직무로 지원?
|
|
|
|---|
| 직무-Knowledge | 공통 | - C# 에서 Thread 를 사용하는 방법이 무엇이 있나요?
- 어떤 것을 사용해봤나요?
- 해당 Thread 를 제어(시작/멈춤/종료 등등)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 사용했음
- Thread 사용하면 Main 화면 무조건 멈춘다
| 중 |
|---|
| 공통 | - GUI 에서 Cross thread excpetion 을 경험해 본 적 있는가?
| | - |
|---|
| 공통 | -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TCP 와 UDP 의 차이가 무엇인가?
- Socket 프로그램에서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했는가?
- 해당 프로토콜을 구현할 때,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무엇이 있는가?
|
|
|
|---|
| 공통 | - 구조화된 문서 형식 중, 대표적으로 XML / JSON 이 있는데 그 둘을 사용해본 적이 있는가?
- 그 둘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는가?
- 둘 중 하나를 선택해서 구현했다면 선택의 기준은 무엇인가?
|
|
|
|---|
| 공통 | - C# 에서 using 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가요?
|
|
|
|---|
| 공통 | - 객체지향의 4가지 기본 개념이 있습니다. 무엇인가요?
- 상속 / 캡슐화 / 추상화 / 다형성 중에서 다형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 다형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현을 한 경험을 말씀해 주세요.
어떤 경우에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했는지
| | 하 (개념이 아예 없음) |
|---|
| 공통 | - Overload 는 무엇이고 Override 는 무엇인가요?
|
|
|
|---|
| 개인 | | | 하 (약간 큰 토이 프로젝트의 느낌) |
|---|
| 개인 | - 사전 과제 FTP 의 요구조건에 File/Folder 를 구분하여 동작하는 것이 있었음
- File 수신만 구현했음. Folder 가 누락된 이유는?
| |
|
|---|
| 개인 | - SOLID 원칙
- AccessFTPServer() 에서 DownloadFTPFile() 을 호출하고 있음
- 단일책임원칙 위반
| - 모듈 단위로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서
- 한번에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렇게 구현했음
- 제대로 하지 못했다라는 것이라고 지금 생각함
| 하 |
|---|
| 개인 | | - Conversion 작업
- 기존 코드에서 오류 수정
- Refactoring 이라고 이해됨
- 기존 입력값/출력값이 동일한 지 확인
- 1달치 데이터 사용
- code coverage 확인하지 않았음
| 하 (단순 유지보수) |
|---|
| 직무-Skill | 공통 | | |
|
|---|
| 공통 | |
|
|
|---|
| 공통 | |
|
|
|---|
| 직무-Attitude | 공통 |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
|
|
|---|
| 공통 |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
|
|---|
| 공통 |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
|
|---|
| 인재상-정직 | 공통 |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
|
|
|---|
| 인재상-배려 | 공통 |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
|
|---|
| 공통 | |
|
|
|---|
| 인재상-책임감 | 공통 |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
|
|
|---|
| 공통 |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
|
|---|
| 조직문화-소통 | 공통 |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
|
|---|
| 조직문화-긍정 | 공통 |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