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198. 기록 내용

  • SI 인턴 경험의 느낌은?
    • 전반적으로 잘 챙겨줬다고 기억함
    • 업무적으로 진행한 것은 별로 없었다고 생각함
    • C# 교육을 받았었음
  • JS 비동기 처리 방식
    • promise / async / await 에 대해서 잘 답변하지 못함. 개념적으로만 알고 있음
  • 본인만의 정리 방법
    • github 에 markdown 으로 정리

199.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3.57/4.5 - 군필
희망 5000
22년 우리 회사 인턴 경험 (방산1팀)
충북 충주 거주
성적 준수
SSAFY 출신
Application Program 도 어울려 보임. 본인이 최근 FE 개발을 해서 관심이 많은 것 같음.
FE 는 React 를 주로 사용했음. Angular 는 접하지 않았음
태도는 나쁘지 않아보임

200. 질의 응답

구분공통/개인질문답변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 조정이 가능한가요?
  • 지원서 상, 7/3
-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인턴하면서 도메인에 관심이 생겼음
  • 서비스 기업 FE 로 갈 수도 있지만 FE 로서 성장이 가능할 것 같다고 생각했음
하 (답변이 불분명함)

개인
  • 희망연봉이 내규와 맞지 않을 경우, 내규를 따를 수 있나요?


직무-Knowledge공통
  • React 에서 BE 정보를 어떻게 관리했나요?
    • 배포 후에 BE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했나요?



공통
  • Javascript 에서 일치연산자란 무엇인가요?
    • 언제 사용해야하나요?
      •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나요?
        • 그로 인해 얻게 된 본인만의 코딩 룰이 있나요?
  • 값과 타입을 함께 비교
    • 항상 3개를 사용하고 있음

공통
  • Javascript 에서 호이스팅이란 무엇인가요?
    • 어떤 목적에서 사용을 하나요?
      • 본인은 호이스팅을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나요?
  • 호이스팅 개념에 대해서 알고 있음
    • 하지만 사용하지는 않음 → 헷갈림 방지

공통
  • Javascript 에서 스코프가 무엇인가요?
    • 어떤 스코프가 있나요?
      • 함수 스코프와 블록 스코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중괄호 내부에서만 지역 변수가 활성화 되어 있음

공통
  • Javascript 에서 변수를 선언 방법은 무엇이 있나?
    • var / let / const 의 차이점은?
      • 각각 어떤 스코프를 갖나?
  • var / let / const
    • var 만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음

개인
  • Voice Synthesizer 에서 FE 개발자로서 본인의 의견이 적용된 부분은?
  • 디자인 쪽
  • REST API 설계도 하지 않았음. 설계자가 별도로 있었음

개인
  • Mobile Kiosk 만의 강점은? 기존 Kiosk 와의 차이점은?
    • 어떻게 쉽게? 버튼 크게가 끝?
  • 스마트폰을 이용한 접근성이 전부
직무-Skill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개인
  • FE 개발자로서 다른 개발자 대비 자신의 경쟁력은 무엇일까요?
  • BE 데이터 처리를 통해 로깅보다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FE 지망
  • Web Architecture 를 공부한 것은 전반적인 처리 흐름을 알기 위함이었음
    • 허웅> 아키텍쳐보다는 기술스택에 더 가까워보임
하 (딱히 없음)

개인
  • 언제 FE 개발자가 되기로 결심했나?
  • 3학년 때, Web programming 수업
-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노션 활용, Jira task 관리
    • 도구를 통한 일정 관리 → 도구를 잘 사용한다
하 (설득의 과정이 없음)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 로그인 창
    • 어떤 컴포넌트를 어떻게 만들지, Form 으로 갈 지
      • 디렉토리 구조를 신경 씀
        • 다른 협업하는 개발자 배려
중 (일관적이지 않은 답변)

개인
  • 복학 후, 최선을 다해서 성적을 올렸다고 했는데 어떤 노력이 있었을까요?
    • 다른 사람 대비 지원자의 노력이 더 빛났던 이유가 무엇일까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 주제 정할 때, 의견이 안 맞았던 경험이 있음
    • 한 명만 다른 의견을 강하게 냈음
    • 다수결로 정했음
    • 그 한명이 납득을 했음 → 도메인 지식이 없었기 때문에 납득했던 것 같음
하 (설득의 과정이 약함)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 아니요. 이해가 느린 편임. 되물을 때가 많음. 확인차원에서.
    • 먼저 이야기는 하지 않음
    • 안 그러려고 함. 최대한 경청하고 감.
    • 이해했다고 생각하고 자리로 갔는데 이해가 되지 않아서 다시 질문하러 간 적이 종종 있었음
중 (솔직함/개선의지가 약함)

공통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기타개인
  • 컴퓨터 전공자로서 SAFFY 의 경험이 어떤 도움이 되었나요?
  • 현업 개발 관련 지식을 갖기가 학부 과정에서는 어려웠음
  • 체계적인 교육을 받기 위해 들어갔음
상 (목적이 분명함)

Comments:

신입이라 생각하고 합격하는 쪽으로 결정

Posted by pdjj14 at 4월 12, 2023 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