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202. 기록 내용

  • 신뢰할 수 있는 코드 / 우주에 대한 동경
  • 발표자료 깔끔 / 발표 잘함
  • 테스트 코드 작성 기준
    • 초기 경험을 통해 test convention 통일 (BDD 도입)
    • 중요한 로직에 대해서 작성
  • IoC 설명
    • 제어의 역전
    • 답변을 했지만 알맹이가 없는 답변
    • 왜 사용?
      • 하나에서 여러 개 관리, 쉽게 적용할 수 있음 (질문)
  • Functional Programming 공부 이유?
    • 의존성 변경 경험이 많았음
    • 순수 함수는 외부 의존성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함
  • 결합도/의존성을 낮춰야 하는 목적은?
    • 변경에 강해야 유지보수성이 좋음
    • 의존성 높으면 사이드 이펙트 높다고 알고 있고 그런 경험을 했었음
  • 팀 스파르타 부트캠프 회사
  • 본인의 경쟁력
    • 책임감 / 신뢰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성향
      • 술머꼬 - 화상채팅 - BE 개발자 개발 포기 - 문서를 확인해서 화상채팅용 서버를 별도로 둘 수 있음 확인 - 팀원 동의 얻은 후, 영상채팅 도입
  • compound component 패턴
    • profile 을 바꾸면서 넣을 수 있는 것
  • props, state 차이
    • 부모 상속
    • 컴포넌트 안에서만 사용됨

203.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3.59/4.5 - 미해당
희망 4000
토익 점수 925
성적 좋은데, 컴퓨터 그래픽스가 C+ 인데 FE 지원
팀스파르타 (2022/06~2023/09)
Javascript 희망
React 주로 경험. TS 도 경험 있음
AWS 사용 경험
Angular 레거시 코드 수정 경험
블로그를 관리하지는 않는 듯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 및 수정 내용을 지원서에 명확하게 기술
TDD 적용하여 개발 중
CI/CD 경험 있음
코드의 정확성/일관성 중시

204. 질의 응답

구분공통/개인질문관련 있는 답변 (타 면접관이 비슷한 질문을 했을 경우에도 여기에 작성)판단(상/중/하)
기본공통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자취를 하게될까요?
  • 지원서 상, 5/4
  • 동생이 대전에서 학원으로 자취 → 같이 자취를 할 예정
-

공통
  • 우리 회사를 어떤 경로로 알게 됐나요? 왜 SI 인가요?
  • 4번 구직 면접을 봤음. 3번 FE, 1번 그래픽
  • 좋지 않은 결과였음
  • 면접 스킬이 떨어진다고 생각했음
  • 모의 면접을 친구들에게 부탁해서 진행
  • 우주에 대한 동경 살짝, 인공위성 데이터 다루는 것은 흔치 않은 경험. 다양한 데이터 다루고 싶음
직무-Knowledge공통
  • Angular 에서 BE 정보를 어떻게 관리했나요?
    • 배포 후에 BE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했나요?



개인
  • Angular 와 React 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 그 차이가 지원자에게는 어떤 경험으로 다가왔나요?
      • 본인의 선호도는 어떤가요?
        •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개인
  • TDD 에서 느낀 부족함이 무엇인가요?
  • 협업 시에 convention 기준 모호 → BDD 도입

개인
  • WebP 포맷 사용을 제안한 사람이 누구인가요?
    • 어떤 조사 과정이 있었나요?
      • 결정을 위해 고려했던 요소는 무엇인가요?
  • FE/BE 개발자가 회의를 하면서 도출
  • 서버사이드 랜더링을 하면 된다고 생각함
  • PNG 500 장 랜더링 어떻게?
    • 한번에 보이지 않아도 된다면 lazy loading. 필요한 영상 우선 순위. 여러 방식이 있는지는 몰랐음
    • traffic 관리 측면에서는? → 미리 로딩하고 브라우저에 캐싱

공통
  • Javascript 에서 일치연산자란 무엇인가요?
    • 언제 사용해야하나요?
      •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나요?
        • 그로 인해 얻게 된 본인만의 코딩 룰이 있나요?
  • type 및 메모리 주소까지 같은지 확인
    • BE/FE 통신 시에 데이터 출력 방식에 오류가 있었던 경험이 있었음
      • 타입 체킹을 확실히 하는 언어 사용을 희망
        • typescript 를 사용하기를 원했음

공통
  • Javascript 에서 호이스팅이란 무엇인가요?
    • 본인은 호이스팅을 활용하여 코드를 작성하나요?
      • 어떤 목적에서 사용을 하나요?


직무-Skill개인
  • Angular 레거시 코드 수정을 했을 때, 어려움을 느낀 부분이 있었나요?
    • 해결을 위해서 어떤 계획을 수립했나요?
      • 수행 결과는 어땠나요?
        • 결과에서 아쉬움이 남았던 부분이 있었나요?
  • Angular 를 따로 공부한 적은 없음. 개념만 알고 있음.
  • Angular UI 부문만 봤었고, 로직에 대해서는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음

공통
  • 디버깅을 수행한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의 디버깅 수행 흐름은 무엇인가요?
      • 개선을 위해서 노력한 적이 있나요?



공통
  • 형상관리 도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 어떤 형상관리 도구를 사용해봤나요?
      • 사용하기 전과 후가 어떤 차이가 있었나요?



공통
  • 주로 사용하는 IDE 가 무엇인가요?
    • 다른 IDE 대비 장점이 무엇인가요?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가 무엇인가요?



개인
  • FE 개발자로서 CI 의 필요성이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 실제로 도움이 되었던 경험이 무엇인가요?
  • CI 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 로직 변경하고 테스트하고 배포하는 것이 배포 룰이었음
    • 테스트 빼 먹고 푸시한 적이 있었는데 CI 가 배포되지 않도록 걸러줬음
직무-Attitude공통
  •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스스로 꼭 지키는 규칙이 있나요?
    • 그 규칙을 세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 세운 규칙을 적용하기 전의 코드와 후의 코드가 무엇이 다른가요?



공통
  • 협업의 경험이 있나요?
    • 협업을 잘하기 위한 본인만의 강점이 있나요?
      • 그 강점이 발휘된 경험이 무엇인가요?
        • 그 강점에 대해서 같이 협업했던 사람들은 어떤 의견을 줬나요?
  • 팀 스파르타
    • 배려가 강점
      • 소통 시에 상대방에게 기분이 나쁘지 않도록 이야기했음
        • 배려하는 팀원으로 봐 줄 것이라 생각함

공통
  • 개발을 시작할 때, 작은 단위더라도 설계를 수행하나요?
    • 어떤 부분을 신경쓰나요?
      • 그 신경을 쓴 부분이 구현 시에 어떤 영향을 줬나요?


인재상-정직공통
  • 본인은 정직한 편인가요?
    • 정직함으로 인해서 불이익을 당한 적이 있나요?
      • 그 경험이 본인의 행동 지침에 어떤 변화를 줬을까요?


인재상-배려공통
  • 다른 사람을 배려한 경험이 있나요?
    • 그 배려로 인해 본인이 감수해야했던 불편함은 무엇인가요?
  • 상대의 관점에서 물어봐야하기 때문에 더 고민했던 시간이 있었음

공통
  • 다른 사람과 의견이 대립한 경험이 있나요?
    • 대립 상황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했나요?



개인
  • 본인에게 성장이란 무엇인가요?
    • 성장을 위해서 현재 노력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받고 싶나요?
        • 동료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나요?
  • 현재 무엇을 하고 있는지 질문
    • RxJS 강의를 보고 있음. 1개월 정도 됐음
      • Extream Todo 에서 이벤트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함
      • 2018년부터 지금까지 수강한 모든 것에 대해서 notion 에 정리하고 있음
    • 캠프를 2022 년 여름~9월 (3개월)
    • 12월까지 경진대회 참여
    • 그 이후에 extream todo 프로젝트 진행 중
  • 과거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 이전의 결과를 보고 개선 포인트를 알게 됐을 때
    • 코드리뷰를 열심히 해 주겠음
인재상-책임감공통
  • 직무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요?
    • 그것들이 지원자에게 모두 존재할까요?
      •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우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공통
  • 3년 후, 본인은 어떤 역량을 갖게 되었을까요?
    • 왜 그 역량을 골랐나요?


조직문화-소통공통
  • 대화를 할 때, 핵심을 잘 파악하는 편인가요?
    • 핵심 파악이 어려울 때, 어떤 시도를 하나요?


조직문화-긍정공통
  • 스트레스를 어떨 때 받나요?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본인만의 방법은 무엇인가요?



공통
  • 왜 스파르타에 참여?
  • 혼자 개발하면서 새로운 것을 도입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음
  • 협업하면서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었음
  • 온라인 강의였음
상 (목적이 분명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