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406 전략 TF 운영 - 1차 교육
Created by 한재중, last modified on 4월 20, 2023
| 항목 | 내용 | 비고 |
|---|
| 인상 깊었던 내용 | - 문제의 핵심 파악하기 -> 틀에 박히지 말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파악하기
- 날일 자 한문에 한획을 추가해서 만들 수 있는 한자를 최대한 많이 만들어보기
- 내가 알고 있는, 정해진 글자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추가할 수 있는 한 획의 종류를 파악하여 존재하든 존재하지 않든 글자를 만들어보기
- 가능성이 없는 것을 지우고 그 이후에는 환경/정황/정보를 파악하기
- 정량/정성 분석 어떤 것이 더 옳을까? -> 데이터일뿐.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음
|
|
|---|
| 맥킨지사의 문제해결의 7단계 | - 문제 정의 (Define problem)
- 문제 구조화 (Structure problem)
- 이슈의 우선순위 (Prioritize issues)
- 그 구성 요소 중에서 고려해야 할 것과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 무엇이지?
- 이슈 분석 및 작업 계획 (Develop issue analysis and work plan)
- 분석 실시 (Conduct analysis)
- 결과 종합 (Synthesize findings)
- 결론 도출 (Develop conclusion)
- 모든 과정 중에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함
|
|
|---|
| 가정과 검증의 반복 | - 문제 해결 안을 만들고 검증을 하는 과정이 1회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수회 반복되어야 한다.
얼마나? 어디까지?
|
|
|---|
| 문제해결의 7단계 - 1) 문제정의 | - 핵심 문제를 정의한다.
- 문제해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핵심을 정확하게 이해
-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 STQ 방식 → Situation / Trigger / Question
- S: 현재 상황과 향후 전개 방향
- T: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장애요인 및 극복 가능한 대안
- Q: 핵심 문제
- 핵심문제의 이슈화
- 가급적 Yes/No 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
|
|---|
| 문제해결의 7단계 - 2) 문제 구조화 | - Logic Tree 의 전개
- 수직적/수평적으로 Issue 를 열거
- 수직적 - 모든 중요한 sub issue 들의 파악될 때까지
- 수평적 - 상위 이슈에 대한 결론을 제시할 수 있는 모든 하위 issue 가 포함되어야 함 (각 하위 issue 의 크기/목적성은 비슷해야 함)
- Logic Tree 는 MECE (미시) 를 만족해야 함
- Mutually Exclusive (상호 배타적) - 수평적에서 만족해야 함
- Collectively Exhaustive (전체 포괄적) - 수직적에서 만족해야 함
|
|
|---|
| 문제해결의 7단계 - 3) 이슈 우선순위화 | - 비핵심 이슈의 제거 (20/80 Rule)
- 시급한가?
- 연관도는 어떤가?
- 필요 시간과 주어진 시간이 맞는가?
- 우선순위는 실행 용이성 / 불확실성 측면을 고려해서 결정할 수 있음
- 효과 높은 것을 우선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되고 있음
- 이 단계에서는 깊은 분석을 할 필요가 없음. 우선순위 결정을 할 수 있는 정보만 획득하면 됨
- to much detail 하지 말자!
- 뭔가 PDR 의 느낌
|
|
|---|
| 문제해결의 7단계 - 4) 이슈분석 및 계획수립 | - 어떻게 팀을 구성하고 진행하는 것이 나을까? 에 대해 고민하고 팀 내 합의를 이뤄내는 단계
- 이슈를 선정할 때, Yes/No 로 답변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해야 함
- 가설을 세웠다면 가설에 부합하는 근거/검증방법을 고민해야 함
- 반대편에서 생각할 필요는 없음
- 마치 브레인스토밍(비난하지 말기)와 같음
가설에 대한 위험도를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인가? → 근거/검증방법이 가설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음
- 가설은 언제든 필요할 경우, 변경이 가능함
- 근거에서 bias 가 걸릴 수 있는 부분은? → 내부 합의를 통해 납득할 수 있는 근거만 있다면 가면 됨. 반대 극부때문에 멈출 필요가 없음
- 비지니스 측면에서는 맞다 틀리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최적의 솔루션, 설득의 자료를 찾는 것이기 때문임
- 문제해결은 증명을 하자는 것이 아님, 최적의 해를 찾는 것임
|
|
|---|
| 문제해결의 7단계 - 5) 분석 | - 디테일이 아닌 흐름을 볼 수 있어야 함
- 정확한 잣대가 아니라 명확/창의/개념적인 사고과정이 중요함
- 최종 의사결정자가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해야 함
|
|
|---|
| STQ Framework 실습 | - 예시
- S: 내년 진급을 앞둔 직장인 김과장은 업무 관련 영어실력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 T: 영어 실력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 Q 김모씨의 영어실력, 무엇이 문제인가?
- Question 에는 구체적인 액션을 할 수 있는 단순한 내용으로 채워져야 한다.
- Trigger 를 해소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작성해야 함
- 필요한 경우, Situation 과 동어 반복이 되어도 상관 없음
- 문제 풀이
- S: 신제품 출시
- T: 출시 지연 / R&D 문제 및 시제품 품질 / 제품 출시에 대한 회의감 / 조직의 분열
- Q: 품질 개선 및 프로세스 개선 포인트가 무엇인가? / 제품 출시를 지연하더라도 신규 제품이 회사에 줄 이익이 얼마인가? /
- 정답
- S: 신제품 출시할 계획
- T: 출시 지연
- Q: 출시를 당길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
- 문제 정의
- 안 좋은 핵심 문제 예시
- 사원들이 열심히 일해야 하는가? / 회사의 이익이 증가해야 하는가?
- 답변이 너무 당연하거나 추후 액션이 별 의미가 없는 질문
- 현 매출액이 3,000억인가?
- 좋은 핵심 문제 예시
- 우리회사의 수익성 향상을 위해 평균 업무량을 증가시켜야 하는가?
- 추후 액션, 의미있는 결론이 나올 수 있는 질문
- 문제 연습
- S
- 선택적 근로 제도로 변경로 인해 관리자의 근무시간 관리가 필요함
- T
- 선택적 근로 제도에서 규정한 법적근로시간을 매달 채워야 하는 것인지 팀원/팀장이 헷갈리고 있고 채워야 한다면 팀장은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하는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 근무 시간 예측을 하는 성숙도가 낮다.
- 일하는 사람은 더 많이 일하고 노는 사람은 논다.
- Q
- 어떻게 해야 근무 시간 예측의 성숙도를 높일까?
|
|
|---|
| Logic Tree 실습 | - 문제 상황 원인 파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
- 이미 우리 현업에서 MSTR 처리할 때, 또는 디버깅할 때, 알게 모르게 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함
- 출장비 절감
- 쎄트렉아이는 어떻게 하면 직원 출장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까?
- 접근 1안
- 국내 출장비를 절감해야 하는가?
- 해외 출장비를 절감해야 하는가?
- 접근 2안
- 출장 인원을 줄일 수 있는가?
- 출장 체류비를 줄일 수 있는가?
|
|
|---|
| Problem Definition worksheet: SI case | - 우리 회사, 또는 우리 사업부문에 대한 배경 정보를 종합하여 향후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Problem Statement 양식 기준으로 논의
Situation (현재의 상황과 향후 전개 방향) | Trigger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장애요인 및 극복 가능한 대안) | Question (핵심 문제) |
|---|
- 선택적 근로 제도로 변경로 인해 근무시간 관리가 필요함
| -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예측 시간 대비 실제 시간)가 있음
| - 어떻게 해야 일을 할당하는 사람이 적합한 근무시간을 예측할 것인가?
|
| 의사결정자 | 성공기준 |
|---|
| - 산출물 품질이 현재 상태 이상으로 유지되면서 구성원의 근무시간 편차 줄어드는 것
| | 해결방안의 제약사항 | 해결방안의 범위 |
|---|
- 법적 조항
- 형평성
- 구성원의 만족 포인트가 다름 (시간, 품질)
| - 대상/공간은 지상사업부문 인력
- 시간은 2년으로 함
- 할 일과 인력 구성 변경으로 인해 주기적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
|
- Logic Tree
- 어떻게 해야 일을 할당하는 사람이 적합한 근무시간을 예측할 것인가?
- 접근 1안)
- 일을 주는 사람이 고려해야 하는 사항
- 일을 받는 사람이 고려해야 하는 사항
- 접근 2안)
- 예측 실패의 요소가 관리자에게 있는가?
- 예측 실패의 요소가 수행자에게 있는가?
|
|
|---|
| System Thinking | - 필요성
- 시스템 내 구성요소는 목표 달성을 위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데, 문제 발생 요소를 단편적으로 처리할 경우 근본적 문제가 풀리지 않을 수 있음
- 기본 구성 요소
- 강화(reinforcing) 피드백
- 균형(balancing) 피드백
- 지연 → 컨설턴트 시, 제거하는 목표로 삼는 포인트
- 시스템 순환 시 '멈춤' 현상으로 시스템에 혼란을 부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