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329 근태 설명회 by 박미

고정OT제 폐지

  • 연장 근무를 하지 않는 사람과 연장 근무를 하는 사람이 동일한 연봉을 받고 있음
  • 연장 근무를 하는 사람의 경우, 연장 근무 시간이 고정 OT 안에 포함되면 상대적으로 더 근무한 것에 대해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음
  • 연장 근무를 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보상을 해 주기 위해서 고정 OT제를 폐지함


선택적 근로시간제

  • 조기 출근의 경우에만 1개월 단위로 미리 설정
    • 의무적 근로시간대를 반드시 포함해야 함
    • 정시 단위로 설정(질문)
  • 오전 8시 이전 출근 협의 후 신청 없이 출근
    • 3일 이상 지속일 경우에는 조기 출근 신청서를 작성해야 함
      • 사유는 전사적으로 어떤 것들이 인정됨(질문)
        • 개인 사유 가능함
    • 1달 단위로 승인 필요
  • 24시 이후 근무는 사전/사후 신청을 해야 하며 승인이 되어야만 근무 시간 인정이 가능함
  • 휴일대체 폐지 → 휴일근무 신청 후 근무 → 휴일근무가산 150% 적용
  • 석식/외출 등을 자율적으로 휴게시간 입력해야 함 (Flex)
  • 법정근로시간 산정방식이 워킹데이 * 8 시간 → 주 40시간 / 7일 * 해당 월의 전체 일수 (근무 일수가 아님) 으로 변경
  • 근무시간은 Flex, 출장 비용신청은 ERP
  • 미사용 보상휴가는 연말에 수당으로 보상
  • 출장/재택/외근은 8시간으로 간주 근무
    • 8시간 이상 입력 불가 (질문)
      • 가능
    • 출장 갔다가 일찍 와서 회사에서 근무하면 (질문)
      • Flex 에 출장 시간, 근무 시간을 각각 넣으면 됨
  • 야간/휴일근무의 경우, 사전 승인이 없거나 충분한 사유가 없을 경우, 부서장이 반려할 수 있음
  • 근무 시간을 못 채우면 급여를 차감할 수는 있지만 시행은 하고 있지 않음
  • 근무 시간과 외근, 출장, 재택근무, 원격 근무 를 구분해서 넣어야 함
    • 회계 감사적인 측면


부서장에게 기대하는 바

  • 철저한 근태 확인
    • how to (질문)
      • 지속적으로 구성원들을 가이드
      • 구성원 근무 기록 내용 주기적인 확인
        • 팀 회식 등으로 늦게 들어온 경우, 휴게 시간을 기록했는가? 정도
  • 휴게 작성 공통의 기준 (질문)
    • 팀/과제회식을 1시간 초과하는 경우?
    • 흡연/티타임 등 동료와 수다하며 머리 식히는 시간?
    • 커피/음료/담배 사러 다녀오는 10분?
    • 각 개인이 알아서?
    • 2시간 이내는 외출로
    • 식사 후 늦게는 비근무 → 이것도 30분 기준?
    • 근무시간 중 30분 이상 부재


이영란 PM 질문

  • PM 입장에서 연말에 인건비 산출되는 부분에 있어서 과제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게 됨
    • 영업이익을 예상하기 어려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