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Start Meeting

  •  오전 10:00 ~ 10:30 @ 전민동 마즐리스 회의실
  • 로이드 인증원
    • 임대성 팀장 / 정병철 심사관 / 김태훈 심사관
  • 임대성 팀장이 이번 AS9100 심사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을 함
    • AS9100 Revision D 갱신 심사임
    • 쎄트렉아이는 별도의 예외조항이 없으므로 전체 조항에 대해 모두 적용하여 갱신 심사 수행
    • 위성/방산/지상 모두 갱신의 대상임

14. 심사

  •  오전 9:30 ~ 11:00 @ 전민동 Smart 회의실
    • 실제 심사에 소요된 시간은 40분 정도였음
    • 나머지 시간은 심사스케쥴/일본/독일/맥주 등의 이야기로 채워졌음
  • 참석자
    • 로이드
      • 정병철 선임심사원
    • SI
      • 한재중 팀장
      • 김주나 PA 과장
      • 이수연?
  • 심사 결과
    • 부적합 항목 없음
  • 전체적인 느낌
    • 약간 대충(질문) 한다는 느낌이 듬
      • 갱신 심사여서 그런 것일까? 심사관의 성향인 것일까?
    • S/W 의 경우, 방산도 봐야 하는데...어차피 똑같은 S/W 아니냐며 방산 S/W 팀은 안 본다고 함. 이걸로 땡한다고 함.

14.1. 인터뷰 내용 정리

질문 / 요청답변비고
지금 지상사업부에서 하고 있는 사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지상 전체적으로 하고 있는 사업은 많이 있음
  • 지상 2팀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지상국 시스템 개발을 주로 하고 있음
 
영어로는 뭐라고 하는가?
  • IRPE (Image Receiving and Processing Element) or IRPS (Image Receiving and Processing System) 라고 함
 
직책이 무엇인가?
  • 팀장임
 
현재 개발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무엇이 있는가? 두바이쪽과 일을 하는가?
  • KARI 와 일을 주로 함
  • IRPE 내부의 서브시스템인 수신 담당 수신 서브 시스템과 영상 처리 담당 서브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음
 
IRPE 시스템은 어떤 제품에 장착이 되는 것인가?
  • 위성 시스템의 일부에 포함되는 것임
  • 위성의 지상국에 대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개발됨
 
IRPE 시스템의 End User 는 누구인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가?
  • End User 는 KARI 임
  • 위성 운영 및 영상 서비스 등을 할 때, 사용하고 있음
  • 아리랑 2호~5호까지 IRPE 가 각각 구현되어 사용하고 있음
 
KARI 는 요구도를 어떻게 제공하나?
  • 제안요청서를 통해 요구사항을 전달 받음
    • MAP 과제의 제안 요청서를 띄워서 보여줬음
  • 설계/기능/성능/기타 요구사항들이 분류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음
    • 요구사항별로 ID 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확인
제안요청서는 언제 제공받았는가?
  • 제안요청서 표지에 기록되어 있는 작성 일자가 2017-02 버전임을 확인
 
해당 과제는 현재 종료 되었는가?
  • 아직 종료되지 않았음. 현재 구현 단계임

 

PDR 은 언제 수행되었는가?
  • PDR 은 고객과 PM 의 논의 하에 수행하지 않기로 했음
  • 고객의 요청에 따라 PM 이 고객과 논의해서 PDR 을 하지 않기로 했다면 괜찮다고 했음
CDR 은 언제 수행되었는가?
  • CDR 은 2017-09 에 수행했음
 

처음 만드는 제품을 뭐라고 명칭하나?

보통 시제품이라고 함. 시제 1/2/3/4~ 호기 식으로 부르다가 양산 1/2/~ 호기 식으로 부르는 것이 보통임.

  • 우리는 그냥 소프트웨어라고 부름
  • 납품 소프트웨어를 EM Software 라고 명명하고 진행하기로 함
EM (Engineering Model) 은 언제 만들기 시작했고 언제 끝나나?
  • 2017-09 부터 시작했으며 2018-10 종료 예정임
 
몇 개를 만드나?
  • 한 소프트웨어만 구현해서 전달하면 됨
  • 1 Unit 이라고 단위를 붙이면 된다고 함
마스터 스케쥴을 보여달라
  • 상세사업계획서를 띄워서 마일스톤 보여줬음
  • 이것이 실수(질문)였음. 제안서를 보여줄걸...
상세사업계획서의 승인자가 없음. 승인은 누구에 의해 이루어지나?
  • PM 이 관리하는 문서라서 PM 에게 확인을 해야 함
  • 과제의 승인된 문서/자료에 과제 참여자가 모두 접근할 수 없는 것은 문제라고 했음

감사가 요청한 문서를 보여줄 때는 승인된 문서를 보여줘야 함

과제에서 작성된 승인된 문서를 과제 참여자가 확인할 수 없으면 안됨

 
  • 상세사업계획서의 경우, 과제 참여자들이 설계/개발을 위해 참고하는 문서가 아니기 때문에 부적합으로 분류하지는 않았음
  • 문서에 대해 승인자가 없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음
CDR 자료를 보여달라
  • CDR 발표 자료를 띄워서 보여줬음
  • 각 항목들 (개요/요구사항 정리/설계 내용) 에 대해 심사관이 훑어봤음
CDR 에 대한 검토 결과를 보여달라. 어떻게 고객이 승인하는가? 회의록을 보여줘도 됨
  • CDR 회의록을 보여줬음
 
설계 변경 요구사항은 어떤 프로세스로 반영하는가? ECR (Engineering Change Request) 등을 작성하여 처리하나?
  • ECP 은 별도로 작성하지 않음
  • 회의 시에 Action Item 을 할당 받아서 수행함
  • 설계 변경 AI 도 ECR 을 작성하지 않고 바로 설계서에 수정을 했음
  • 수행 결과는 월별 진도 점검회의를 통해 수행 완료 여부를 고객에게 승인 받음
  • 고객의 변경 요청 사항에 대해서는 기존 요구사항 대비 추가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함.
  • 그로 인해 비용이 더 드는지 안 드는지 확인이 필요함
  • AI 가 관리되고 고객의 승인 여부가 확인되면 괜찮음
  • 기 승인된 설계 변경에 영향을 끼치는 사항에 대해서는 Class 1/2/3 로 구분해서 관리해야 함
    • 하드웨어 설계서는 위의 사항을 반드시 따라야 하는데, 소프트웨어는 설계서 또한 최종 소프트웨어에 포함되는 개념(질문)이기 때문에 이해하고 넘어갔다고 함
시험은 내부/외부에서 수행이 가능한데 내부에서 모두 수행하는가?
  • 내부에서 모두 수행함
 
기능 시험에 대해서 보여 달라
  • MAP 과제의 테스트 코드를 보여줬음
  • 기능 요구사항 구현을 위한 구현 작업들을 JIRA 를 통해 관리함
  • 각 JIRA 작업들에 해당하는 코드들이 있고 해당 코드들이 정상 동작하는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여 확인을 하고 있음
 
조금 전에 보여준 테스트를 뭐라고 명칭하나? 해당 테스트의 절차서가 있는가?
  • Unit Test 라고 명명하며 Unit Test 의 절차서는 존재하지 않음
 
기능 시험 절차서는 있는가?
  • FAT (Factory Acceptance Test) / SAT (Site Acceptance Test) 를 수행함
 
FAT / SAT 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요구사항을 모두 만족함을 보여주기 위해 절차서를 작성하여 사내에서 수행하는 것이 FAT 이며 동일한 절차서 Site 에 설치하여 수행하는 것이 SAT 임
 
FAT / SAT 중 어떤 것이 먼저 수행되는가?
  • FAT 가 먼저 수행됨
 
FAT/SAT 는 언제 수행했나?
  • 아직 수행하지 않았음. 2018-11 수행 예정
 
그럼 최종 납품 전에 수행되는 것이 맞는가?
  • 맞음
 
FAT / SAT 시험 절차서는 어디에 있나?
  • 아직 수행 전이기 때문에 작성하지 않았음
  • 작업 전이라 FAT/SAT 시험 절차서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서 이해했음
결과보고서는 고객에게 전달하여 승인 받나? 그리고 납품이 이루어지는 것인가?
  • 맞음. 시험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고 고객의 승인을 받음.
  • 그 이후에 납품이 이루어짐
 
EC (Engineering Change) 목록이 존재하는가?
  • 없음
 
후속 물량에 계획이 있는가? 후속 물량이란 본 과제 이후에 개발이 예상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함.
  • 해당 부분에 대해서는 PM 이 알고 있을 것임
 
지상사업부의 KPI 를 보여 달라
  • 지상사업부의 2018년 성과 목표를 보여줬음
    • 심사관이 설계/개발에 대한 KPI 가 보이지 않는다고 했음. 또한 Index 가 구체적인지 않다고 했음
  • 그래서 지상 2팀의 KPI 를 보여줬음
    • 별 말이 없었음
 
실적 관리는 어떻게 하는가?
  • 주요성과지표 계획 및 실적표_지상사업부_지상2팀_2018.doc 를 보여주고 상반기 평가 결과에 대해서 설명

 

지상사업부의 실적은 지금 확인할 수 있는가?
  • 부문장님이 관리를 할 것임. 현재 여기에서 확인이 불가함
 

Code Coverage / Line Coverage / Branch Coverage 는 적용하지 않는가?

  • 지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표이기는 하지만 현재 적용하고 있지 않음
  • 우주 쪽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KPI 로 해당 내용들을 언급했었던 것으로 보임
설계의 대표 지표가 On Time Schedule 인데 확인이 가능한가?
  • 과제 일정 관리는 PM 이 수행함
 
개발 산출물은 무엇이 있는가?
  • 소프트웨어 및 각종 설계 문서
 
설계 문서는 무엇이 있는가?
  • 요구사항 분석서 / 인터페이스 설계서 / 화면 설계서 / 데이터 설계서 가 있음
 
모두 납품 문서인가?
  • 모두 납품 문서임
 
산출물들은 모두 승인이 되어 있는가?
  • 아직 승인 전임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를 측정하는 기법은 무엇이 있는가? 고객 요구사항에서 언급되는가?
  • 고객 요구사항에서 본 적이 없음
 
S/W 를 Prove 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 기능 요구사항은 대부분 Demo 로 진행됨
  • 설계 요구사항의 경우, Inspection 으로 진행됨
  • (김주나) Inspection 은 어떻게 진행되나?
    • 예를 들어 OS 를 Win 10 을 써야 된다는 요구사항이 있으면 Win 10 을 썼는지 고객이 눈으로 확인
S/W 는 검사 성적서가 있는가?
  • SAT 문서로 갈음되는 것으로 알고 있음
  • (김주나) COC 발급을 하는가?
    • PM 이 알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 (김주나) 지상 PM 에게 COC 발급을 요청 받은 적이 없음
    • 해당 문서가 COC 인지는 모르겠으나 납품 시, 무언가 주는 것 같음. 잘은 모르겠음
과제 진행 시, 특정 단계에서 무엇 무엇을 확인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는가?
  • 없음
  • (심사관) 하드웨어와 다르기 때문에 없을 거라는 것에 동의함
지상 2팀 인원 및 사업부 인원은?
  • 지상 2팀은 7명이며 사업부는 약 40여명임
 
사업부 매출은 얼마인가?
  • 해당 부분은 PM 들이 알고 있을 것임
  • (심사관) 사업부의 일원으로서 / 팀장으로서 알고 있으면 더 좋다고 생각함
S/W 업그레이드는 ECP (Enginerring Change Proposal) 에 의해서 이루어지나?
  • MSTR (Maintenance Support Task Request) 에 의해 관리됨
 
MSTR 은 누가 작성하나?
  • 고객이 작성할 수도 있고 고객의 요청에 따라 우리가 작성하기도 함
 
MSTR 에 의해 S/W 수정 시, 형상 관리가 되는 것인가?
  • 맞음
  • (심사관) Advanced Engineering Change 와 같다고 생각함
MSTR 샘플을 보여 줄수 있는가?
  • KARI 최신 MSTR 을 보여줬음
    • KARI-MSTR-2018-021 Margin At AOS In Sec(K3,K3A,K5)
 
해당 MSTR 의 진행 상황은 어떻게 되는가?
  • 현재 기록된 바에 의하면 원인 분석까지 완료된 상황임
 

15. 관련 문서

Attachments:

AS9100 QA sheet (지상사업부문)_20180816.xlsx (application/vnd.openxmlformats-officedocument.spreadsheetml.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