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223 실장의 역할 정의

289. 작성 배경

  • 조직문화 TF 에서 아래와 같이 요청이 왔음
    • 한실장님… 이병훈입니다.

       

      아까 말씀 드렸듯이 실장의 역할에 대한 Draft를 만들어 다음 모임에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오늘 논의한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 실장의 가장 중요한 역할 3가지 정도를 정리해서 초안을 공유
        • 대표님) 한재중 실장님이 실장 역할을 수행하는 쭉 지켜 봤는데… 매우 인상적 이었음. 따라서 재중님께 초안 준비를 요청해 보자. ^^;;
      • 오늘 논의해 본 실장이 담당할 인재관리 역할에 관한 핵심 키워드
        • 인재관리의 핵심 키워드: “확보”, “개발”, “활용”
        • 즉 실장이 담당하는 인재관리 역할은 “적합한 인재를 채용”하고, “구성원은 조직과 함께 성장”, “구성원의 역량 발휘 환경을 구축” 하는 역할

       

      일단 감사합니다. 저도 한실장님의 생각을 듣고 싶네요. ^^;;

       

      이병훈 드림

       

290. 내가 생각하는/하고있는 실장 업무

2021년 부터 GTS 업무 기록을 보면 가장 많이 눈에 띄는 단어가 아래와 같았음

  • 회의
  • 면담
  • 성과/수습 검토
  • 채용/면접


No업무 구분세부 업무내용비고
1​인력 확보 및 관리채용
  • 부문 내 채용 소요 정리 및 이력 관리
    • 팀장에게 신규 인력이 필요하지는 않은 지, 틈틈히 확인 → 필요하면 PM 을 설득(질문)해서 소요 제기하라고 요청
    • 신규 소요에 대해 각 팀장에게 직무명세서 작성 요청
    • 신규 소요를 모아서 기안 작성
  • 서류 평가 요청 및 취합
  • 1차 면접 주관 및 합격자 최종 결정
  • 필요 시, 2차 면접 참관
2
홍보
  • 채용 박람회 참석
  • 인턴 소요 확인 및 필요 시, 진행 할 수 있도록 팀장 가이드
  • 인턴의 중간/최종 발표 참석하여 채용 가능 인원 확인 → 팀장을 통해 틈틈히 확인

3
인력 관리
  • 모니터링 및 면담 (주로 팀장을 통해 찔러보기)
    • 들어주기. 끊임 없이 들어주기.
      • 과제 힘들어요. 이직하고 싶어요. 사람 때문에 힘들어요. 저 친구 좀 관리해봐. 등등..
  • 개발 문화 고민 및 도입 (? 내부 역량 강화?)
  • 교육 및 학습 지원 및 진행 상황 확인
  • 신입사원 수습 계획서 검토
  • 신입사원 부문 교육 주도
  • 팀장 상태 확인 → 팀장 전체 회식, 개별 회식, 티 타임 등을 통해 상태 확인
    • 주로 눈에 띄는 사람만 하게 됨. 주기적으로 골고루 확인이 필요하다 생각함

4
성과목표 관리
  • 실 성과목표 작성 및 설명
  • 팀 성과목표 검토 및 점검
  • 가끔 팀원의 성과목표 검토 및 점검

5
조직 개편
  • 실 내 조직의 구성 및 인원 재편 제안 to 부문장

6
승진 심사
  • 승진 대상자 추천서 작성
  • 전사 승진 심사

7내부 역량 강화공통 모듈 관리
  • 공통모듈 사용 현황 확인
  • 최신 공통모듈 적용 독려
  • 신규 공통모듈 등록 장려

8
역량 강화
  • 구성원(주로 팀장)으로부터 부문 내 갖췄으면 좋겠는 역량 수집
  • 필요하다 판단되면 계획 세워서 진행

9소통팀장 회의 주관
  • 매주 팀장 회의를 통해 전사/부문 소식/요청사항 전달 및 팀 내 건의 사항 확인


291. 챙겨야 할 일


해야 할 일상세 정리수행 주기비고
주간보고서 취합
  • 각 팀 별 주간 보고서를 취합하여 부문장님에게 전달
  • 부문장님께 전달해야 할 주요 항목 컴파일(질문)
  • ENG 논의 필요 항목 정리해야 함
매주 금요일
성과 목표 수립
  • E 항목에 대해 실 성과 목표 수립
  • 장기적으로 유지 및 관리 필요
매년 초
성과 점검
  • 매월 초에 전월 해결됨 작업 평가 요청 to GPM/GTL
  • 상하반기 성과 점검 계획 수립
  • 성과 점검 진행
  • 결과에 대한 유효성 확인

상반기(작년 12월 ~ 당해 6월)

하반기(당해 7월~당해 11월)


​채용
  • 소요 관련
    • 팀 별 채용 소요 파악​
    • 부문장님과 채용 소요 결정
    • 팀 별 직무명세서 작성 확인
    • 실 채용 기안 상신
    • 팀 별 채용 기안 결재
  • 서류 평가 관련
    • 1차 코딩테스트 준비 및 응시자에게 응시 요청 메일 전달
      • 팀 별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필요
    • 서류 면접 대상자 확인 및 평가 템플릿 배포
    • 팀장으로부터 서류 평가 결과 취합
    • 면접 대상자 결정 (with 부문장/그룹장)
    • 팀 별로 2차 코딩 테스트 준비 및 응시 요청 메일 전달할 수 있도록 가이드
      • 2차 코딩 테스트는 각 팀장이 준비 및 평가
  • 면접 관련
    • 각 면접자 면접 가능 일정을 팀장들로부터 취합
    • 면접 후보 날짜를 채용담당자(현재 김민국 과장)에게 전달
    • 모든 면접에 참여하여 통과자 결정 (with 부문장/그룹장)
    • 최종 합격자를 채용담당자에게 전달
  • 입사 관련
    • 신입사원 자리 결정
    • 전사적으로 준비해주는 항목 확인
      • 이메일 생성, 전화 세팅, 그룹웨어 계정 생성, PMS 계정 생성
    • 지상에서 준비해야하는 항목 확인
      • Confluence/JIRA/BitBucket 계정 여부 확인 및 할당
​채용이 필요할 때마다
신입사원 교육
  • 신입사원 교육
    • 교육 자료 업데이트 필요성 확인 및 업데이트 수행
    • 입사 전에 교육 일정 잡아야 함
    • 각 담당자 및 팀장들과 일정 조율 필요
신입사원 입사 시마다입사 후 전사 교육을 가기 전에 최대한 빨리 수행해야 함
수습
  • 계획서
    • 각 팀 별 입사자에 대한 수습 계획서 작성 확인
  • 종료 발표
    • 수습 종료 발표 일정 수립
      • 수습 종료 2주 전에 수행해야 함
    • 수습 종료 발표 모두 참석
수습 종료 시마다
인턴
  • 인턴 소요 파악
  • 인턴 소요 대비 수행 가능 여부 확인
    • 작업할 자리가 확인되어야 함
  • 인턴 망 별도 분리 및 관리 방법 확인
  • 인턴 종료 시, 인턴 수료증 챙기기
인턴 채용 시 마다
교육 프로그램
  • 정기 교육 커리큘럼 검토 및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