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재중 : 20230213 03 DX개발팀 유영민 B/C R&D P2-8 -> P3-1 (부, ?)

  • 성과에는 보상을, 역량에는 승진을
    • 승진에는 인정과 연봉 상승이 동반되어야 함
  • 50453000→ 직급 전사/부문 49333526/49839333, 직군 전사/부문 50086364/51245500


질문답변비고
특이사항
  • 아직 역량이 부족한 것 같은 자신 없는 답변이 몇 번 반복되었던 것 같음
    • 혼자서 하느라 시간이 없었던 것도 이유라고 이야기했음
  • 일정에 찌들게 업무를 수행하고 성취감을 느끼지 못하면서 일을 했던 것 같음
  • 준비되었다라는 느낌이 별로 들지 않음. 해 온 일에 대해서도 스스로 의미 부여를 잘 못하고 있어 보임
  • 아쉬움을 제대로 못 느낀 것인지, 면담 자리에서 감춘 것인지 모르겠지만 아쉬움을 느낀 것과 해소 방안에 대해서 큰 고민을 하지 않는 듯한 느낌이 듬

기타
  • (이호진) 지금까지 했던 업무 중 자랑하고 싶은 것? → 지금까지 했던 모든 것
  • (이병훈) DX 를 위한 설계가 구현보다 중요할 것 같은데? → 본인도 그렇게 생각함. 하지만 개발자로서 구현에 더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은 맞음

본인이 정의하는 승진이란?

조금 더 책임감을 갖는 자리로 가는 것

회사의 기대치에 응답하는 것


승진이 본인에게는 어떤 의미를 주는가? 

일을 주도적으로 해야겠다는 생각을 들게 할 것 같음

시키는 일만 했다고 할 수 있는데 주체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부여가 될 것 같음

업무적으로 or 회사 생활적으로 or 개인적으로
일을 할 때, 동기부여를 받는 요소는?성취감 / 끝맺음 했을 때, 개인적으로 얻은 것 또는 회사에 기여한 것을 기억하기 회고하기
최근에 성취감 느낀 경험은?기능 구현 완료 후, 사용자로부터 만족도를 들으면서 실제 내가 영향을 끼치는 일을 하고 있구나 라고 경험했던 것
2022년 C 를 받았는데 작년에 목표한 바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어떤 어려움이 있었을까요?

여러 기술 스택으로 여러 요구사항을 동시에 해야 한다는 점. 한가지를 깊게 수행할 수 없었음.

작년 일의 절반은 기존에 정해졌던 것이었고, 스스로 만든 일도 조금 있었음. 일의 끝맺음을 명확히 해 줬더라면 좋았을 것 같았음.

인원이 충원됨으로 인해서 해당 부분은 해결이 될 것이라 생각함


TOPCIT 공부 및 시험을 준비했는데, 어떤 목적? 남겨진 것은?

소프트웨어 개발과 관련해서 전반적인 지식을 쌓기 위함

짧게 준비해서 남겨진 것은 딱히 없음



후임에게는 끝맺음 없는 일을 주고 싶지 않음. 작은 단위로라도 끝맺음을 할 수 있는 일로 나눠서 일을 부여하고 싶음

후임과 할 수 있는 기술 공유 - 코드리뷰, 기술 스택에 대한 정보 공유

주도적이라는 표현은 스스로 기획해서 일을 진행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음. 본인이 주도적으로 한 것은 API Server 관련 된 것이라 할 수 있음


본인에게 일의 의미는? 또는 어떨 때 재미있나?

집중을 오래 했을 때, 쾌감이 있음

구성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했을 때


본인의 포부는?

모든 팀의 업무 프로세스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고 싶음

업무 수행 시, 팀 간의 진행 상황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에 있어서 참여자들의 이해도를 맞출 수 있도록 하고 싶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