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목 | 내용 | 비고 |
|---|---|---|
| 결론 | 부문장도 SPC 가 받는 불합리함에 대해서 알고 있으며 얼마나 속이 상할지도 인지하고 있음 다만, 지상에서 R&D 와 SPC 직무에 대한 정의가 부문장으로서는 확고하고 그에 맞춰서 조직을 운영해야 함 GT8 이나 디자이너들은 지상에서 SPC 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맞음 업무를 잘하고 있는 인원에 대해 보상 측면에서 SPC 의 불합리함에 대해서는 연봉조정 시점에 충분히 보상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 |
| R&D 에게 기대하는 바 |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그에 부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기를 바람 (과제 특화적) 요구사항 분석부터 설계/구현/테스트/유지보수까지 수행할 수 있는 역량 | 전사의 기준이 아닌 지상의 기준 |
| SPC 에게 기대하는 바 | 부문 내에서 수행하는 과제에서 공통으로 적용해야 할 기준/프로세스를 만들어서 고도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기를 바람 특정 과제에 적용을 하면서 customizing 하는 부분은 부문 공통의 영역으로 만들지, 과제 특화된 부분으로 지원할 지 그 때 그 때 결정해야 함 | 전사의 기준이 아닌 지상의 기준 |
| GT8 의 업무 | QA/DevOps/TFW 는 지상 공통으로 적용한 목적이 더 강하기 때문에 SPC 의 업무 영역이 맞음 | 같은 결에서 디자이너도 SPC 에 더 부합함 |
| 개발자 중 SPC 인 인원 | R&D 에게 기대하는 바를 달성하기는 어렵지는 프로젝트의 개발 주기 중 일부분을 담당할 수는 있는 역량을 가졌다고 생각하여 채용한 인원 | |
| GT8/디자이너가 R&D 로 갈 수 있는 방법 | 일단 방향성 측면에서 추천하지 않음 R&D 로 트랙 전환을 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전문 영역 외에 프로젝트 개발 주기의 모든 것을 수행할 마음을 가져야 함 | |
| SPC 에 대한 보상 | 업무가 아니라 보상 측면이 불만이라면 연봉조정 시점에 조정될 수 있도록 하겠음 | 과거의 성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겠지만 부문장이 신경 쓸 생각 |
| 부문장의 공감 | 김의중 팀장에게 전달되는 메일들을 봤을 때, 부문장이 김의중 팀장이라면 입에 불을 뿜을 것 같다고 이야기 함 전사적으로 SPC 가 겪는 불합리함을 부문장도 인지하고 있음 차라리 입사 시점에만 연봉을 다르게 설정하고 인상율은 같이 가져가지 대체 왜 이렇게 설정했는지 모르겠다고 함 (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2023년에 공표된 인사제도가 만들어졌고 그를 위해 부문장님도 신경을 썼다고 한재중은 생각함. 부문장에게 확인을 하지 않은 사항) 김의중이 승진 축하금을 받지 못한다고 했던 것도 부문장이 강창완에게 목에 핏대를 세워가며 따졌다고 함. 그래서 승진 축하금을 받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그 이후로 정말 그렇게 받았는지는 확인하지 않았음 | |
| DevOps 직무에 대해 우주와 지상 직무가 다른 부분 | 실장으로서 당혹스럽고 난감한 부분이었음 부문장님의 말로, 우주 부문의 기준을 지상이 맞출 필요는 없음. 반대로 지상의 기준을 우주가 맞출 필요도 없음. 바라보는 관점이 다를 수도 있지만 보상보다는 수행하는 업무, 그리고 부문의 직군 별 정의에 관점을 맞춰줬으면 함 (보상은 연봉조정 시점에 최대한 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