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 답변 |
|---|---|
| 오늘 발표의 목적이 무엇인가? | 수습 기간을 어떻게 보냈는지 정리 |
|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 질문하지 않음 |
수습은 잘 종료했나? | 잘 종료했다고 생각함 |
|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 발표자료에서 언급했음. 기록 |
| 기존 직장 대비 쎄트렉아이에서의 새로운 문화가 무엇이었나? 잘 받아들여졌나? | JIRA/WIKI 사용하여 업무 수행 호칭 문화 (님 호칭) - 수평 문화 |
| 의사전달을 잘 하기 위해서 어떻게 접근? | 기록을 통한 의사전달이 부족했다고 생각함. 대면이 아니라... 페이지 간소화, 페이지의 전달력 향상, 구어체를 문어체로 변환하려고 노력하기 보다는 구어체라도 그대로 기록 |
| 면접 때를 기억해보면 C# 을 자신의 자신있는 기술로 이야기했었는데, C# 을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로 받아들어야 할까? | 기능 구현을 위한 C# 사용에 대해서는 문제 없음 책을 보니 고급 스킬이 훨씬 많다는 것을 알게 됐음. 그런 부분을 공부하고 싶다는 것임. |
| 각 책들을 통해 얻고 싶은 역량이 무엇인가? | 딱히 없음. 아직은 추상적. 타겟팅 해서 택을 읽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전달해 줌 |
| 직전 직장에서 도입하고 싶었으나 하지 못했던 JIRA 를 경험했는데 기대만큼 좋은가? 아쉬운가? 어떤 점에서? | 좋음 |
FTS 에서 테스트 코드는 Move 기능만? 어떤 케이스? 테스트 사전 작업은? 테스트 종료 후 작업은? SMB/FTP/SFTP, 다중 경로 전송 포함? | SMB/FTP 에 대해서 테스트. 다중 경로는 하지 않았음. 왜 테스트를 해야 하는지 고민을 해야 함 |
| 본인에게 리팩토링을 자극하는 요소는? | 중복된 코드 |
| 기억에 남았던 PR 피드백은? 왜? 그로 인한 변화는? | MS Test 보다는 n/xUnit 을 사용하라고 했던 정래님의 코멘트 작업을 다시 해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들었음 |
| 질문 | 답변 |
|---|---|
| 오늘 발표의 목적은 무엇인가? | 수습기간 동안 잘 적응하고 업무 수행 가능한 지 확인하기 위함 |
| 우리 부문은 수습을 통해 서로 무엇을 얻기를 원한다고 생각하나? | |
수습은 잘 종료했나? | 잘 했다고 생각함 입사 초기 대비 지식도 늘었고 사교성도 늘었음 |
| 수습 Before / After 업무 역량적인 측면에서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이 있다면? | 코드 작성 시, 가독성을 신경 쓴다. 내 코드를 다른 사람이 보기도 하고 코드 리뷰 시, 피드백을 받았기 때문임 |
| 기존 직장 대비 쎄트렉아이에서의 새로운 문화가 무엇이었나? 잘 받아들여졌나? | 코드리뷰 (PR) 하는 것 PR 은 수습 기간 동안 1번 밖에 없었음 |
| 개인의 용어집/약어집이 있나? | 아직 없음 |
AIWA 과제에서 FE 가 아닌 BE 업무를 한 것으로 보임. BE 업무를 현업에서 수행하는 것이 어떠했나? 할만하다, 이 기회에 Full Stack? FE 업무만 하고 싶음? | BE 처음 해 봤음. 재미있었음. Full Stack 해 보고 싶음 |
| 어떻게 전진? 어떻게 노력? 어떻게 발전? 어떻게 개선? | 아쉬웠던 점 해결하기에서 언급한 부분으로 갈음할 수 있음 |
UIS Navigation 은 FE 작업만 하면 됐는데, 왜 BE 를 위해 Spring 을 설치 및 구현? FE 개발자로서는 BE 에 대한 Mockup 을 사용하는 법을 학습했어야 했을 것 같은데... | FE 뿐 아니라 BE 까지도 직무를 맡길 계획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