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 최종 결과
|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173. 기록 내용
- 발표자료 확인하는 모습 보임
- 그런데 adress 오타...
- 회사에서 인턴 수행한 내용을 밖으로 가지고 나간 것?
- 개인 블로그에 게시를 했다면 삭제해 주길!
- CS 지식이 깊지 않음. 중하 정도
- class/object/instance 는 모호하게 이해하고 있음
- 오버로딩/라이딩 개념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음
- process/thread 차이를 설명하지 못함
- cross thread exception 을 알고 있지 못함 (경험한 적이 없는 듯)
- 상대방에게 쉽게 설명하기 보다는 자신의 입장에서 설명한다고 느껴짐
- 발표자료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변을 할 때, 상대방의 수준을 생각하지 않는 모습을 보임
- 프로그램을 구현하는데 큰 흥미가 있어보이지는 않음 → 적당히 관심이 있는 정도
- 원만한 인간관계 강점, 급한 성격 (꼼꼼함 부족) 이 단점
174.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3.22/4.5 - 군필 |
175. 질의 응답
| 질문 | 답변 |
|---|---|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대전에 연고가 있나? 취업하면 집을 구해야 함? | 대전에 부모님과 같이 살고 있음 |
| 백마인턴 후에 취업을 위해서 무엇을 준비했나? | 코딩테스트 준비하면서 C# 준비. 1~2달 간 꾸준히. 1주일에 한두번 계산기 프로그램 구현 (이틀) → 공학용 계산기 목표 → 일반 계산기 정도 구현 |
Wifi 어떤 분석? 어떤 목적? 실수부와 허수부를 왜 구분해서 봐야하는가? | 수신기 설계가 목표였음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wifi 데이터 분석하는 것 설명이 |
| MSB/LSB 가 무엇인가? 배열에 값을 넣는다고 했을 때, MSB 는 몇 번째 index 에 값을 할당해야 하나? | 0 번째 → 거꾸로 대답 |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어떤 교수님? 무엇을 만들었나? 어떤 언어? 본인의 역할은? ARP Table 을 배웠을 것임. ARP Table 에는 어떤 정보가 존재하고 왜 있어야 하는가? TCP/UDP 차이는? | ARP Table 들어봤으나 잘 모름 TCP/UDP 는 이론적으로만 알고 있음. 실제로 프로그램 구현에 사용해 본 적이 없음 |
| 객체지향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Interface 가 필수임. 동의하나? 왜 필수인가? | |
| 프로그래머 선택 이유는? | 알고리즘 풀어가는 것이 재미있고, 내가 만든 결과물을 직접 볼 수 있음 |
| 어떤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 싶은가? |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고 알아보기 쉬운 GUI 를 갖는 프로그램 |
| 알고리즘을 주고 프로그램 만들라면? | 자신이 살짝 없음. 현업에 대한 경험이 없어서 걱정됨 → '즉시 전력' 이 될 수 있는 지원자라는 발표 타이틀과는 괴리가 있지 않나? → 그러함 → 자신감을 가지라고 이야기 해 줌 |
| 1차 코딩 테스트 난이도는 어땠나? 주관식 문제 영어 지문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나? | 적당했음. 시간의 압박이 있었음. 주요 키워드 중심으로 이해. |
| 기억에 남는 문제가 있다면? 왜 기억에 남나? | 맨 마지막 문제. 문제가 기억이 난다면 다시 풀어보고 싶음 |
| 백마인턴으로 C# 을 접한 이후에 C# 에 대해서 공부를 해 봤나? | 코테 |
| BigInteger 의 경우, 유효자리수가 얼마인가? (무한대) | 모름. int 보다 더 많은 자리수를 표현 |
| BigInteger 로 문제풀이를 완료했는데 배열을 이용해서 한 번 더 풀어본 이유는? | 회사의 사전 과제를 다른 방법으로 풀어보고 싶었음 |
| 배열 연산의 경우, 10000 까지만 제대로 된 답이 나오는 구조임. 왜 그런가? | 일반화는 생각하지 못했음 |
| 배열을 이용한 연산의 경우, BigInteger 에 비해서 수행 속도가 엄청나게 느림. 개선을 위한 노력은? | 고민은 했으나 방법을 찾지 못했음 |
| 객체지향에서 SOLID 원칙이라 부르는 것이 있음. 무엇인지 아는대로 설명해 달라. | 단일책임원칙 1개의 class 에서는 1개의 책임/기능만 수행해야 함. 결합도를 낮추는 것. 유지보수 용이성을 위해서 결합도를 낮추는 것이 좋음. 수정/보완점을 잘 찾아갈 수 있음 |
| 문제 해결을 위해서 가장 많이 찾는 사이트는? | 구글링. 스택오버플로우 알기는 하지만 답을 구해본 적은 없음 |
| 소극적인 과제 참여에서 적극적으로 바뀌었다고 했음. 구체적인 사례 하나만 들어서 설명해 달라. | |
윈도우의 일반 계산기를 구현하라고 한다면 얼마나 걸릴까? 어떤 절차로 구현할 것인가? 각 절차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소비할 것 같나? | |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DE 는? IDE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 3개? |
176. 합격 전달 의견
- T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