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 최종 결과
|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153. 기록 내용
- 두려움 없는 새로운 도전, 배려와 존중이 키워드
- 대화를 통해서 문제 해결을 하는 편임
- 발표를 잘하지는 못함
-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설명하지 못함 (다른 사람을 위한 자료를 작성해 본 경험이 별로 없어보임)
- 건들건들?
- 인터페이스를 하기가 쉽지 않아보임 → 너무 긴장해서? 답변이 횡설수설하는 모습을 보임
- 말 끝 흐리기
- CS 기본(네트워크) 질문에 대해서 거의 답을 못함
- 컴퓨터 전공이 TCP/UDP 차이를 설명하지 못함
- 의사소통도 안되고 전공 지식도 없고, 스스로 프로그램 만드는데 흥미도 없어보이고.
154.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3.17/4.5 - 군필(공익) |
155. 질의 응답
| 질문 | 답변 |
|---|---|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대전에 연고가 있나? 취업하면 집을 구해야 함? | |
| CNU SW 에서는 Web 학습했는데 지원은 왜 Window Application? | JAVA 를 더 많이 사용해서 spring 이 web 기술인데 java 언어라서 spring 을 계속하고 싶은 마음은 없어서 |
| 컴퓨터 전공인데 왜 CNU SW 아카데미에 갔나? 어떤 목적으로? 목적을 달성했나? | CNU SW 아카데미에서 프로제트를 진행한다고 해서 수강했음 자바 기초를 다시 배우기 (이미 들었지만) 프로젝트 경험해 봤음. 전념해서 해 봤음. 설계, spring, 새로운 기술 취업을 하지 못해서 CNU SW 아카데미 수강 |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어떤 교수님? 무엇을 만들었나? 어떤 언어? 본인의 역할은? ARP Table 을 배웠을 것임. ARP Table 에는 어떤 정보가 존재하고 왜 있어야 하는가? | 김상하 교수님 chat 파일 전송 프로그램. JAVA. 개인으로 만들었음. 조교님이 거의 모든 코드를 알려줬음. 프로토콜 물어봤는데 패킷 ICD 를 언급함 TCP/UDP 중 무엇을 사용했는지 기억하지 못함. 둘의 차이도 뭔지 알지 못함 |
|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문서를 작성해 본 경험이 있나? 상대방의 피드백은 어땠나? 긍정적/부정적? | 큰 문제는 없었던 것으로 기억함 |
| 객체지향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Interface 가 필수임. 동의하나? 왜 필수인가? | 메소드의 특성을 파악하기 편함 외부에 정보 은닉 가능 해킹 방지, 보안 취약점 숨기기 → 동작의 흐름을 감추기 때문임 |
| 1차 코딩 테스트 난이도는 어땠나? 주관식 문제 영어 지문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나? | 시간이 부족했음. 난이도가 있었음. 영어는 이해했었음. 해답을 찾기 어려웠었음 |
| 기억에 남는 문제가 있다면? 왜 기억에 남나? | 파이 구하는 방식이 기억에 나지 않았음 문제를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음 |
| BigInteger 의 경우, 유효자리수가 얼마인가? (무한대) | 모름 |
| factorial 계산에서 반복문이 재귀함수보다 왜 빠르다고 생각했나? | 재귀함수는 메소드를 호출하는 방식 루프는 연산을 순차적으로 하는 방식 → 이게 더 빠르다고 알고 있음. 근거는 없음 |
| factorial 계산에서 time 의 단위가 무엇인가? | ns |
factorial 계산에서 각 자릿수를 일일이 더한 것과 10씩 나누면서 나머지를 더한 것을 비교했다. 어떤 목적에서 비교했나? | 10씩 나누는 것을 먼저 생각했었음 하지만 dictionary 로 구현한 뒤, 첫 번째 생각의 결과를 보기 위해서 비교했음 |
| 결과를 보면 단순히 큰 차이가 있다라고만 되어 있다. 친절하지 않은 것일까? 꼼꼼하지 않은 것일까? | 연산속도가 차이난다라는 것을 말하고 싶었음. 꼼꼼하지 않았다. |
| 객체지향에서 SOLID 원칙이라 부르는 것이 있음. 무엇인지 아는대로 설명해 달라. | 기억이 안 남 |
| 문제 해결을 위해서 가장 많이 찾는 사이트는? | 구글 검색해서 나온 블로그 |
윈도우의 일반 계산기를 구현하라고 한다면 얼마나 걸릴까? 어떤 절차로 구현할 것인가? 각 절차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소비할 것 같나? | |
| 회사에 입사한 친구가 누구? | 조정진 딱히 알려주지 않았음 |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DE 는? IDE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 3개? | InteliJ alt + enter → import 가 편하게 됨 |
156. 합격 전달 의견
- T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