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최종 결과

채용불가
(3~6)
채용고려
(7~8)
합격후보
(9~10)
합격
(11~12)
필히채용
(13~15)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12345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12345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12345


163. 기록 내용

  • 인턴 후 부족함을 보완하고자 선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리팩토링을 위한 테스트 코드 학습
  • 발표 나쁘지 않았고 질의 응답 시에도 요점 중심으로 잘 진행되었음
  • 학부 성적이 좋지 않은 이유는 HW 관련 과목 때문이라고 했음
    • SW 관련 과목은 B+ 정도
  • 전산 지식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얕은 편임
  • 피드백에 대한 적극적인 액션이 본인의 장점
  • 자세는 나쁘지 않는데, 뭔가 찜찜한 이 느낌은 무엇이지? (좋은 자세처럼 보이려고 하는 것?) 최시환보다 더 나은가? 최시환이 더 나은거 같은데...


164.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2.98/4.5 - 군필
희망 4000
백마 인턴 (9팀)
소통의 중요성 인지. Zoom 사용하니 해결?
다양한 경험을 했다는 것을 강조
채용 설명회를 오는 등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었음
구체적인 질문들을 해 봐야 할 듯함
1 -> 0, 까리함

165. 질의 응답

질문답변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대전에 연고가 있나? 취업하면 집을 구해야 함?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어떤 교수님? 무엇을 만들었나? 어떤 언어?

본인의 역할은?

ARP Table 을 배웠을 것임. ARP Table 에는 어떤 정보가 존재하고 왜 있어야 하는가?


TCP/UDP 의 차이는? 사용해본 적이 있나? 어디에 사용하면 좋다고 들었나?에러컨트롤 여부, udp 가 더 빠름, 개념은 이해하고 있음. 구현 경험은 없음

가장 자신있는 개발 언어?

1차 코딩 테스트, 왜 python 이 아닌 JAVA?

1차 코딩 테스트 난이도는 어땠나? 주관식 문제 영어 지문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나? 난이도/영어/시간 중 어떤 것이 가장 문제가 되었나?

Python

직무가 JAVA 이기 때문임

중하, 시간이 부족했다. 영어가 문제였음

기억에 남는 문제가 있다면? 왜 기억에 남나?

check digit computation

python 에서의 형변환은 잘 알고 있었는데, JAVA 에서의 형변환을 몰랐음

객체지향에서 SOLID 원칙이라 부르는 것이 있음. 1가지에 대해서만 설명해 달라.

단일책임원칙

문제 발생 원인을 쉽게 찾고 개선하기 위함

객체지향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Interface 가 필수임. 동의하나? 왜 필수인가?
socket 통신 프로그램을 구현해 본 적이 있나? socket 통신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FE/BE API 결정 주체는?

시나리오에 따라 다름

상황에 따라 BE/FE 개발자가 협의해서 진행해야 함

TDD 가 무엇인가? TDD 로 구현하면 무엇이 좋은가?

TDD 정의는 알고 있음

만들고자하는 method 를 명확하게 선언하고 구현할 수 있음

TDD 의 핵심은 test code 를 잘 만드는 것이다. 동의하나? test code 는 어떻게 해야 잘 만들 수 있나? 무엇을 신경써야 하나?빠르고, 독립적이고, 검증가능해야 하고, 중복적으로 수행 가능, 적절히 사용 가능
코드 리팩터링이 무엇인가? 수행해 본 적이 있는가? 했더니 무엇이 좋았는가?했음. 가독성 늘었음. 이해하기 수월함.
발표 내용에서 테스트 코드 샘플이 http method 가 'GET' 인지 확인하는 것인데 제대로 만들어진 것이 맞나?고려사항에서 빠졌음
클린코드, 창발성/동시성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 주세요.이해하지 못했음
밤 새서 무엇을 개발? 개인 프로젝트(포트폴리오)
소통을 잘 하기 위한 본인만의 노하우?

적극적인 태도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기

서로 정의를 명확하게 하기

166. 합격 전달 의견

  • TB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