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 최종 결과
| 채용불가 (3~6) | 채용고려 (7~8) | 합격후보 (9~10) | 합격 (11~12) | 필히채용 (13~15) |
| 지식수준과 경험(경력), 직무동기를 감안하였을 때 지원직무에 적합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업무수행에 필수적인 기본역량을 갖추고 있는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 전반적인 인성 및 성장가능성을 보았을 때, 합격시킬만한 사람인가? | 1 | 2 | 3 | 4 | 5 | ||||||
168. 기록 내용
- 준비해 온 발표를 스크립트 그대로 읽었음
- 긴장 많이 함 → 끝까지 자신감이 별로 없는 답변으로 느껴졌음. 답변 시, 질문자를 잘 바라봄
- 면접 전 과제에 대해서 실수한 부분은 인지하고 개선점도 언급했음
- 시간의 압박으로 인해 이쪽 저쪽을 구현하다 보니 실수를 한 것 같다고 함
- 질문에 대해서 답변은 하지만 핵심을 잘 답변하지는 못하는 편
- CS 기본 지식이 없지는 않은데 많이 알거나 한 분야를 깊이 알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임
- 대전 / 수평적인 문화 / 자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원함
- SI (외부 받아서 개발, 대신 구현) 아니었으면 함
169. 내 서류 평가 의견
신입 - 학사 - 3.6/4.5 - 군필(공익) |
170. 질의 응답
| 질문 | 답변 |
|---|---|
| 채용이 된다면 언제 출근이 가능한가요? 대전에 연고가 있나? 취업하면 집을 구해야 함? | |
| 컴퓨터 전공인데 왜 CNU SW 아카데미에 갔나? 어떤 목적으로? 목적을 달성했나? | 백엔드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 웹에 대한 지식, framework 학습, 코딩테스트 측면, 프로젝트 진행(현업) 경험 코테 빼고 다 달성 |
컴퓨터 네트워크 수업 들었나? 어떤 교수님? 무엇을 만들었나? 어떤 언어? 본인의 역할은? ARP Table 을 배웠을 것임. ARP Table 에는 어떤 정보가 존재하고 왜 있어야 하는가? Router 와 ARP 의 차이는? | 이영석 교수님. 개인과제 |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Buffer 라는 개념을 사용한 경험이 있나? 왜 사용해야 하나? Buffer 를 위해 어떤 자료 구조를 사용하나? | buffer 를 사용해본 적은 없다고 답변 스택/큐 사용해봤다고 답변. 알고리즘 문제를 풀기 위해서 bfs 문제를 풀기 위해서 큐 사용 |
| 다형성을 위해 인터페이스를 언급했음. 객체지향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Interface 가 필수임. 동의하나? 왜 필수인가? | 동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체적인 객체에 의존하지 않고 추상 객체에 의존하게 할 수 있음 → 기능 확장을 위해서 필요함 |
| 1차 코딩 테스트 난이도는 어땠나? 주관식 문제 영어 지문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나? | 하, 영어는 어려웠음 |
| 기억에 남는 문제가 있다면? 왜 기억에 남나? | 마지막 문제 pi.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서. |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DE 는? IDE 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축키 3개? | InteliJ VS code → 주로 클릭해서 사용 |
| 객체지향에서 SOLID 원칙이라 부르는 것이 있음. 무엇인지 아는대로 설명해 달라. |
171. 합격 전달 의견
- 전산 전공자로서 CS 에 관련된 내용을 잘 알고있음
- 본인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웹 지식 학습 및 프로젝트 진행 경험 쌓기)을 갖고 CNU SW 아카데미를 신청했음
- 면접 질의 응답을 통해 확인했을 때, 지원자의 목적을 잘 달성했다고 판단함
- 프로그램 구현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인 접근을 하고 있음
- 면접 시, 질의응답을 할 때, 간혹 요점을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어느 정도 긴장의 영향으로 이해됨
- 그래도 명확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선임자의 가이드는 필요하다고 판단함
- 직무 변경 전화 통화에서 Application 개발에 대해 적극적인 동의를 해 주었음